자원봉사활동관리의 구성요소, 자원봉사활동관리의 정보화, 자원봉사활동관리의 유지와 보존, 자원봉사활동관리의 선행연구, 자원봉사활동관리의 면접, 자원봉사활동관리 문제점, 자원봉사활동관리 활성화 방안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자원봉사활동관리의 구성요소, 자원봉사활동관리의 정보화, 자원봉사활동관리의 유지와 보존, 자원봉사활동관리의 선행연구, 자원봉사활동관리의 면접, 자원봉사활동관리 문제점, 자원봉사활동관리 활성화 방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자원봉사활동관리의 구성요소
1. 자원봉사 프로그램 기획
2. 업무설계
3. 모집과 선발
4. 배치와 업무부여
5. 교육과 훈련
6. 지도감독과 평가
7. 인정과 보상

Ⅲ. 자원봉사활동관리의 정보화
1. Change Agent System
1) 구성
2) 정보화 대상 업무
2. Client System
3. Target System
4. Action System
1) 구성
2) 정보화

Ⅳ. 자원봉사활동관리의 유지와 보존
1. 오리엔테이션, 교육 및 훈련
2. 지도감독
1) 코칭(Coaching)
2) 인정(Recognition)
3) 건설적 비판(Constructive Criticism)
4) 성장의 기회(Opportunitive for growth)
5) 안전하고 건강한 환경제공(Safe and Healthy Environment)
3. 인정과 보상

Ⅴ. 자원봉사활동관리의 선행연구
1. 자원봉사자 활용
1) 자원봉사자 활용유무
2) 자원봉사자 활용목적
3) 활용하지 않는 이유
4) 자원봉사자 활용업무
2. 자원봉사자의 모집
3. 자원봉사자의 교육․훈련
4. 자원봉사자의 보상방법
5. 자원봉사자에 대한 평가 및 활용성과

Ⅵ. 자원봉사활동관리의 면접
1. 면접
2. 선발과 배치

Ⅶ. 자원봉사활동관리의 문제점

Ⅷ. 향후 자원봉사활동관리의 활성화 방안
1. 자원봉사관리 지원․육성단체의 활성화
1) 지원․육성단체로서 활동을 강화한다
2) 효율적인 자원봉사자 수급조절의 역할을 한다
3) 다양한 모집방법을 활용한다
4) 교육과 훈련을 체계적으로 실시한다
2. 자원봉사자 관리자의 육성과 배치

Ⅸ.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도움을 호소하는 글이나 복지관 홍보자료를 통신과 인터넷에 널리 알리게 하는 것도 좋은 자원봉사의 예가 될 것이다. 이때 뉴스그룹이나 메일링그룹 혹은 전자게시판을 그 성격을 가려서 신중하게 선택해야 한다. 무분별하게 뉴스그룹이나 게시판을 오·남용하는 결과가 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천재지변, 대형사고와 같은 대규모 봉사수요 정보를 통신과 인터넷으로 긴급히 알려서 이들이 일시적이나마 적절한 봉사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조정하고 관리한다. 이런 일이 발생했을 때 네티즌들은 미력이나마 도움을 주고 싶지만 어떻게 해야 좋을지 모르고 또 개개인이 갖고 있는 힘과 자원은 너무 작아 봉사활동에 선뜻 참여하기가 쉽지 않다. 복지기간에서 이들을 조직화해 주고 필요한 정보와 기술을 알려 주는 사업으로써 이들에게 봉사의 기쁨과 보람을 느끼게 해 줄 수 있을 것이다. 이제 천재지변이나 대형사고와 같이 대규모 봉사수요가 발생했을 때 가상공간에 비상대책 사무실을 개설하고 자원봉사활동을 관리해 보자.
3. Target System
때로는 자원봉사자들이 자원봉사사업 대상의 자격(eligibility)을 상실할 수도 있고, 또는 자원(봉사수요, 일감)이 만족스럽지 못하여 자원봉사활동을 중단할 수도 있다. Coordinator가 제공하는 자원봉사활동이 지속적이고 만족스러운 서비스가 되기 위해서는 이러한 자격상실의 요인과 불만족 요인을 제거해야 한다.
이와 같이 자원봉사활동의 지속성과 만족도를 떨어뜨리는, 그래서 변화되어야 할 표적체계는 자원봉사자들일 수도 있고, 봉사수요자들 혹은 사업 담당자와 그 기관일 수도 있다.
자원봉사자 자격을 상실하거나 자원봉사 활동의 기회를 박탈당하게 되는 요인이 무엇인지, 즉 클라이언트(자원봉사자) 자신들에게 있어서 변화되어야 할 점이 무엇인지를 찾아낼 수 있도록 도와야 하는데, 자원봉사자 개개인에게 부적격 요소를 지적하는 것은 자칫 감정을 건드려 부정적인 효과가 생길 수 있다. 그러므로 정보시스템을 이용하여 모든 자원봉사자들이 객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게시하는 것이 좋다.
즉, 표적체계 중 자원봉사자 자신들의 문제를 다루는 것이 정보화 과제로서 적당할 것 같다. 웹 커뮤니티의 토론실에서 표적체계의 설정 - 변화전략 협의 - 실행 - 평가의 과정을 반복해 나가는 일을 프로그램화 해 볼 수도 있을 것 같다.
4. Action System
1) 구성
자원봉사자 모집, 관리를 위한 행동체계로는 기업체 사회봉사 담당자, 학교 자원봉사 지도교사, 교회 지도자, 단체 지도자 그리고 가상공간에 사업을 알리는 일을 돕는 자원봉사자 등이 있겠지만, 행동체계는 과업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또 그 크기나 구성원도 달라질 수 있다.
자원봉사자 교육에 있어서는 강사와 행사도우미들, 그리고 봉사자 및 봉사수요자들이 행동체계의 구성원이 될 수 있다.
2) 정보화
웹커뮤니티, 전자우편, 통합메시징 서비스를 통한 의사소통 및 자료 공유, 업무연락
(1) 웹 커뮤니티 만들기
복지인마을 클럽, 다음 커뮤니케이션의 카페, 프리챌의 커뮤니티, 산타나라의 커뮤니티를 활용하여 자원봉사자들을 위한 웹 커뮤니티를 만든다.
(2) 통합메시징 서비스 활용
뿌리오, 넷피스, 큐리오, 유포스트 등 인터넷에서 동시에 음성메시지, 일반 우편, 전자우편, 팩스, 문제메시지를 동보전송해주는 사이트를 적절히 활용한다. 정보원 홈페이지에서 “업무에 유용한 사이트”를 참조.
Ⅳ. 자원봉사활동관리의 유지와 보존
자원봉사자들이 자원봉사 활동을 지속적으로 또한 적극적인 참여를 통해서 전개하게 도와주기 위해서는 자원봉사자 개개개인이 충분한 교육과 훈련, 정규적인 지도감독, 인정과 보상 그리고 평가를 받아야 한다. 그래서 그들의 업무수행 실적이 비효과적일 때에는 정규직원들에게 적용되는 것과 같은 맥락에서의 사려 깊은 계획과 배려 그리고 조치가 취해져야 한다.
조직의 효과성은 종업원들의 욕구를 충족시키고 동시에 그들의 행동을 조직의 목적을 달성하는 방향으로 이끌어 줄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해 줌으로써 증대될 수 있다.(Helliegcl & Slocum, 1981)
경영학의 원리는 자원봉사 상황에도 적용될 수 있다. 성공적인 자원봉사 프로그램의 관리 및 경영은 자원봉사자들의 욕구에 관심을 주고 그들의 행동이 기관의 목적 달성을 달성하는 방향으로 이끌어줌으로서 이룩할 수 있다. 종업원들과 마찬가지로 자원봉사자들도 그들의 욕구를 최대화하고 질적인 훈련을 시킬 때에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N.L.Macduff, 1987, p.108)
1. 오리엔테이션, 교육 및 훈련
자원봉사자가 일단 모집, 심사, 선발되면 그들은 그들의 업무수행을 위해 훈련을 받아야 한다. 해당업무가 요구하는데 따라서 훈련이 단기 또는 장기, 단순 또는 복잡이 좌우된다. 훈련은 중요하며 이는 자원봉사자들의 권리라고 볼 수 있다.(K.B.Fletcher, 1987, p.41)
자원봉사자 훈련은,
1] 기관에 대한 오리엔테이션
2] 구체적 업무(직무)에 대한 강의
3] 업무시작시의 지도감독을 받는 현임 훈련
4] 업무진행에 따른 계속적인 훈련 등이다.
예를 들면 1]복잡하고, 민감한 업무들(전화상담, 장애인 처우)에 훈련은 기술적으로 광범위해야하며 2] 단순한일(사무일 근무) 오리엔테이션과 특정업무에 대한 지시사항이면 족하다.
훈련실시에 있어서 중요한 사항은 훈련은 업무에 적합해야 하고, 충분한 정보를 제공해야 하며 업무의 실제를 경험할 수 있는 실습도 해야 한다.
또한 기관의 업무, 클라이언트의 유형, 기관구조, 재정, 지역사회에서의 역할, 정보전달과정 경험, 기회제공의 혼합체의 성격을 띄우는 방법이 좋다.
오리엔테이션은 기관의 사명 또는 목적, 기관의 구조 그리고 프로그램 등의 설명과 같은 기관의 전반적인 소개들로 구성된다. 사무실의 탐방과 관련 직원들의 소개는 기본적이다. 즉 자원봉사자들이 그들이 일할 부서뿐만 아니라 전체 기관과 친숙해질 수 있는 계기는 중요하다. 자원봉사자들이 지역사회에서 최선의 기관대변인이 될 수 있기 때문에 기관의 모든 정보가 전달되어야 한다.(P.C.Dunn, 1995, p.2487)
훈련은 자원봉사자들이 기관내의 워크
  • 가격9,000
  • 페이지수28페이지
  • 등록일2013.08.14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7262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