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신경계 정리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성인간호학)--신경계 정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신경계 장애 대상자를 위한 간호과정

중추 신경계(뇌) 장애 대상자의 간호

중증 신경계 장애 대상자의 간호

본문내용

po-lorazepam) 혹은 diazeam[valium, meval, vivol, distat rectal(diazepam gel)]을 투여하면 집락성(cluster)발작을 정지시켜 지속적 간질 발작으로 진행하는 것을 막아준다.
지속적 간진 발작(status epilepticus)은 모든 종류의 발작의 합병증으로 발작이 30분 이상 지속되거나 연속적으로 반복되는 것이다.
경련성 지속적 간질 발작은 10분이상 장기간 발작하고, 30분이 넘게 반복적으로 발생하므로 신경학적 응급상태이다. 즉시 치료하여 불가역적 뇌 손상이나 저산소증, 심부정맥과 유산산증(lactic acidosis)으로 인해 사망을 예방해야 한다.
(5) 미주 신경 자극법 (Vagal nerve stimulation, VNS)
미주신경 자극법 (VNS)은 난치성의 단순 혹은 복합부분 발작을 내과적으로 조절하도록 최근에 승인받은 치료법이다. 발작 부위가 어려곳 (multifocal)이거나 양쪽 대뇌반구(bigemisphere seizure foci)인 경우 심한 신경계 손상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외과적 시술이 어렵고 덜 침습적인 치료방법으로 효과가 없을 때 VNS를 적용한다.
미주신경 자극 장치는 외과적으로 왼쪽 흉벽에 삽입한다. 전극선(electrode lead)은 왼쪽 미주신경에 연결하고 피부 아래의 터널을 통해 전원 (generator)과 연결한다. 시술은 전신마취항서 대개 2시간 정도 걸린다.
대상자 전조증상을 경험하면 손잡이에 자석이 달린 VNS를 작동시켜 발작이 일어나지 않도록 한다. 배터리 수명은 3~5년이다. 대상자의 목소리가 변하면 미주신경이 자극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6) 수술요법
각종 항경련제나 VNS의 사용으로 효과가 없는 소수의 대상자에게 권장한다. 다른 모든 치료방법으로 효과가 없을 때 발작 병소를 부분적 혹은 전체적으로 제거하여 삶의 질을 증진 시킨다.
① 전통적 외과 시술 (conventional surgical procedures)
약물에 반응하지 않는 발작은 외과적으로 뇌의 발작영역을 제거한다. 지속적으로 뇌파검사를 기록하고 철저한 관찰을 해야하며, 대부분의 병원에서는 간호하는 시간 외에 모든 시간을 비디오로 모니터한다.
앞쪽 측두엽 절제는 측두엽에 원인이 잇는 복합 부분 발작에 안전하고 효과적인 시술이다.
전통적 외과 접근법인 뇌량절개술(corpus callosotomy)은 다른 수술방법을 사용 할 수 없는 긴장성-간대성 발작을 치료하기 위해 이용되었다. 뇌량의 앞쪽 2/3를 절제하여 양쪽 대뇌반구 사이에 신경계 방전이 통과하는 것을 예방한다.
② 대상자와 가족 교육
대상자와 가족의 잘못된 정보를 교정하고 간질을 이해하도록 돕기 위해 뇌를 컴퓨터와 비교하여 설명한다. 전기에너지가 비정상적으로 방전될 때 컴퓨터의 작동이 꺼지는 것처럼 뇌의 신체반응으로 발작이 나타난다. 발작은 빠르고 강한 전기에너지에 의해 뇌가 압도되는 일시적 현상이다.
적절한 약물치료로 정상적인 일상생활을 유지할 수 있다는 것과 약물요법을 잘 따르도록 강조한다. 또한 발작을 일으키는 원인을 피하게 한다. 투약시간은 대상자의 일상생활 일정표에 따라 규칙적으로 복용하도록 강조한다. 대상자에게 약의 부작용과 혈중 약물 농도의 계속적인 관찰의 필요성을 교육한다.
갑자기 낯선 곳에서 발작을 일으킬 경우를 대비하여 간질 발작 대상자라는 인식표와 발작이나 사공 대비하여 처방된 약물을 가지고 다닌다. 대상자가 허락 할 경우 대상자의 직장 동료에게 경련 발작 시의 주의사항과 응급조치에 대해 교육한다. 건축 노무자, 위험한 기구 조작자, 조종사, 철도 기술자 등은 다른 직업으로 전환 할 필요가 없다.
■감염
1. 뇌막염 (Meningitis)
(1) 원인균
뇌막염은 뇌의 지주막, 연막, 척수, 척수액이 감염된 상태이다. 가장 흔한 원인균은 박테리아와 바이러스이고, 진균이나 원충류(protozoa)도 때로 감염을 일으킨다. 박테리아성 뇌막염이 가장 흔하다. 조기 발견과 치료가 중요하다. 바이러스성 뇌막염은 자기 제한성 (self-limited)이므로 완전히 회복될 수 있으며, 생명을 위협하거나 심각한 상태를 초래하지 않는다. 원인균과 관계없이 모든 뇌막염의 증상은 같다.
① 세균성 뇌막염 (Bacterial meningitis)
세균성 뇌막염은 가을과 겨울에 발병 빈도가 높고, 대개 상기도 감염으로 발생한다. 가장 흔한 원인균은 연쇄상 폐렴구군(streptococcus pneumococcus), 나이제리아 수막염구균(Neisseria meningitis), 인플루엔자균(Haemophilus influenzae)이다.
뇌막염구균성 뇌막염(meningococcal meningitis)은 아동기와 청년기에 흔히 발생하며, 인구밀도가 높은 지역, 즉 기숙사, 군대막사, 밀집된 생활 지역, 감옥등에서 발생률이 높다.
② 바이러스성 뇌막염 (Viral meningitis)
바이러스성 뇌막염은 종종 무균성 뇌막염(aseptic meningitis)이라고 부른다. 즉 홍역, 이하선염, 단순 헤르페스, 대상포진 등의 후유증으로 발생한다. 세균성 뇌막염에서 보이는 사출물은 없고, 뇌척수액 배양 검사에서 균이 검출되지 않는다.
③ 진균성 뇌막염 (fungal meningitis)
Cryptococcus neoformans 뇌막염은 가장 흔한 진균감염으로 후천성 면역결핍증 대상자의 중추신경에 영향을 미친다.
(2) 간호사정
간호사는 뇌막염 진단과 관련된 신경학적 변화를 체계적으로 사정해야한다.
뇌막염은 보통 급격히 발생하고 심한 두통발열 빈맥 목의 경직 안절부절못함 권태감 불안정 증상이 나타나며, 오심 구토 섬망 지남력 상실 등이 빠르게 진행된다.
① 뇌막 자극 (Meningeal irraitation) 증상
뇌막 자극으로 인해 경부 경직(nuchal rigidity), Kernig 징후, Brudzinski 징후가 양성으로 나타난다. Kernig 징후와 Brudzinski 징후를 검사하면 세균성 내막염에서는 양성 반응으로, 바이러스성 뇌막염 검사에서는 음성 반응으로 나타난다.
Kernig 징후를 검사하기 위해 대상자를 앙와위로
  • 가격3,000
  • 페이지수59페이지
  • 등록일2013.08.14
  • 저작시기2012.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7319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