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유아 언어교육의 접근법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영유아 언어교육의 접근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영유아 언어교육의 접근법


1 발음중심 접근법 / 총체적 언어교육법
1) 발음중심 언어교육 접근법(한유미 외, 2011)
(1) 출현배경
(2) 특성
(3) 발음중심언어교수지도
2) 총체적 언어교육 접근법(한유미 외, 2011)
(1) 출현배경
(2) 특성

2 총체적 언어교육법 / 균형적 언어교육법
1) 총체적 언어교수지도
<발음중심 언어교육법과 총체적 언어교육법의 차이>
2) 균형적 언어교육 접근법
(1) 출현배경
(2) 특성
(3) 균형적 언어 교수지도
<균형적 언어교육의 읽기 활동요소 및 활동내용>
<발음 중심 언어 교육법의 읽기 활동 요소 및 활동 내용>
<발음 중심 언어 교육법의 쓰기 활동 요소 및 활동 내용>

3 발현적 / 다중지능이론에 기초한 / 비판적 문해이론에 기초한 언어교육법
1). 발현적 언어교육 접근법
(1) 특징
2) 다중지능이론에 기초한 언어교육 접근법
(1) 특징
(2) 교수방법
3) 독자반응이론에 기초한 언어지도
4) 비판적 문해이론에 기초한 언어지도

본문내용

리 나거나 운율이 있다는 것을 인식하고 끊임없이 말놀이에 참여함.
⑨모든 글자들의 이름을 알고 같은 소리로 시작하는 단어들을 짝지을 수 있음.
⑩구두 언어와 인쇄된 관련성을 이해함으로써 읽기가 무엇인지 배움.
⑪인쇄물과 상호작용하는 과정, 언어에 대해 반응하는 방법을 알아감(이경화 외, 2010).
2) 다중지능이론에 기초한 언어교육 접근법
(1) 특징
* 다중지능이론에서의 언어활동들은 언어지능을 구성하고 있는 핵심적인 요소에 기초하여 이야기하기, 보고하기, 시 쓰기, 그리고 읽기와 쓰기의 4가지 범주로 구성되어 있음.
- 네 가지 범주들은 부분적으로 중복되기는 하지만 일반적으로 이야기하기는 언어의 표현적인 기능과 심미적 사용에 초점을 두고, 보고하기는 사실의 기술과 설명에, 시 쓰기는 단어놀이(말을 주고 받기, 익살, 재담)에 초점을 둠.
- 말하기, 읽기, 쓰기능력을 의미 있는 실제 세계의 경험을 통하여 기를 수 있도록 고 안 되었음( 예:, 유아들은 친구들에게 편지를 써서 교실 안에 있는 우편함으로 보냄으로써 쓰기를 훈련, 손으로 제작한 ‘TV’로 학급친구들을 인터뷰함으로써 말하기를 훈련함)
- 활동들은 단지 하나의 교육과정으로 제공하려는 의도가 아니라, 유아들이 언어능력을 발달시키고 보여줄 수 있는 다양한 상황의 본보기로써 제시하고자 함.
(2) 교수방법
* 교사는 다양한 자료들을 설명해 주기도 하고 그룹토의를 마련하기도 하며, 때로는 자료 들을 어떻게 사용할 것인가에 대한 유아들의 생각을 묻기도 함.
- 유아들의 반응과 제안들을 종이에 써줌으로써 유아들의 생각을 확인할 수 있고 학습 활동의 주체의식을 심어 줄 수도 있음(예 : 교사가 이야기판을 소개할 때 이야기판을 어떻게 사용할 수 있는지, 그리고 이야기판의 활동들을 어떤 방법으로 사용할 때 책을 읽는 것과 이야기를 하는 것이 다를 수 있을까에 대하여 이야기를 나누어 보도록 격려, 교사는 직접 제작한 ‘TV모형’을 소개하고 유아들에게 뉴스를 보고 하는 것은 이야기하기와 어떻게 다를까에 대하여 물어보기도 함. 유아들에게 주말에 있었던 새로운 일 또는 그들의 생활에서 일어나는 흥미 있는 일들을 보고하는 데 ‘TV'를 사용할 수 있게 하기도 함)
* 말하는 사람을 정해 주기 위하여 유아들에게 쿠쉬 또는 ‘말하는 돌멩이’를 어떻게 이용하는지를 보여주기도 함. 누구든지 ‘말하는 돌멩이’를 가진 사람만 말을 할 수 있으며 그 사람이 말을 하는 동안 나머지 사람들은 조용히 듣고 있어야 한다는 것을 설명함. 말하는 돌맹이를 가진 유아가 말을 끝내면 그 유아는 말하는 돌멩이를 다음번에 말할 유아에게 조용히 건네주도록 하기도 함.
* 유아들이 그 활동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핵심적인 언어능력
창안된 이야기와 이야기하기
설명적인 언어/보고하기
- 사건, 감정 그리고 경험에 대한 정확하고 조리 있는 설명하기
- 사물에 대한 정확한 명칭을 붙이고 정확한 설명하기
- 일이 어떻게 되어 가는지를 설명하거나 절차를 묘사하는 데 흥미를 보이기
- 논리적인 주장 또는 질문에 관여하기
언어적 시적 사용 / 단어 놀이(익살, 재담)
- 익살, 운율, 운문을 즐기고 숙달되어 있음
- 단어의 의미와 소리로 놀이를 함
- 새로운 단어를 학습하는 데 흥미를 보임.
- 유머스러운 방법으로 단어를 사용함(이경화 외, 2010).
3) 독자반응이론에 기초한 언어지도
* Louise Rosenblatt(1978,1983)과 다른 독자반응 이론가들은 유아들이 읽는 것의 의미를 어떻게 창조하는지를 고려함. * 우리의 두뇌 안에 있는 눈으로가 아닌, 도식과 의미를 형성하기에 대한 구성주의자들의 이론을 확장함.
* 유아들은 책을 읽는 동안 작가가 의도한 의미를 파악하려고 하지 않고 대신에 유아들은 자신들의 배경지식과 자신들이 읽고 있는 단어에 기초해서 의미를 조정하거나 창조함.
* Rosenbelt(1991)는 읽기에는 두 가지 목적 또는 입장이 있다고 말함.
첫째, 독자들이 즐거움을 위해서 읽을 때는 미학적 입장을 가짐
둘째, 독자들이 정보를 얻거나 기억하기 위해서 읽을 때는 독자들은 도출적으로 읽음
- 이 두가지 관점은 연장선상의 양쪽 끝 지점에 잇고 대부분의 독자들은 이야기책을 읽 든 정보관련 책이든 이 두가지 관점을 적절하게 조합한 입장을 가지고 읽음
(예를 들어 유아들이 <자연의 초록우산 : 열대지방의 밀림에 관한 이야기>라는 책을 읽을 때 독자들은 밀림의 동물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읽을 수도 있음. 또한 심미적인 관점에서 아마존 강 탐험의 의미로 읽을 수도 있음)
- 유아들이 동화책을 읽을 때 대부분은 동화책의 주인공이 되어서 책을 읽는데 이 때 유아들은 이야기 속으로 빠져들어 이야기 속 주인공이 되어보도록 격려함(이경화 외, 2010)
4) 비판적 문해이론에 기초한 언어지도
* Pablo Freire의 비판적 교육학(2000)이론으로부터 발전된 이론
- 프레이리의 비판적 교육학은 교육에 대대적인 변화를 일으켜서 교사와 학생 모두가 지식, 정의, 평등이 무엇인지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해볼 것을 요구함.
* 언어란 사회적 행동을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 교사들은 유아들에게 단순히 읽기와 쓰기를 가르치는 것 이상의 일을 해야 함.
* 문해 교수활동은 교사가 가르치는 내용과 방법은 사회적, 문화적 정치적, 역사적 맥락 속에서 일어난다고 봄.
* Luke와 Freebody(1997)의 읽기모형은 비판적 문해를 네 번째 단계이면서 가장 수준 높은 단계로 보았으며, 읽기수준을 다음의 네 가지로 분류함.
① 코드 해독하기 : 유아들은 발음학, 단어 식별전략, 자주 쓰는 단어를 배울 때 코드를 해독하는 사람이 됨
② 글에 참여자 되기 : 유아들이 글의 구조나 장르를 배우게 되면 글에 참여하는 사람 이 됨.
③ 글의 사용자 : 학생들은 다양한 장르의 글을 읽고 쓰기를 통해 글의 사용자가 됨.
④ 글의 비평자 : 학생들은 책에서 제기한 논재들을 검토함으로써 글의 비평자가 됨.
- 유아들을 네 단계인 비판적 독자가 되게 하려면 글을 읽고 토론하게 하는 것임.
- 비판적 문해는 유아의 잠재력이 사려깊고, 적극적인 시민을 만든다는 것을 강조함
(이경화 외, 2010).
  • 가격2,8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3.08.23
  • 저작시기2013.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7467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