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유아 언어교육의 접근법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영유아 언어교육의 접근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영유아 언어교육의 접근법


1 발음중심 접근법 / 총체적 언어교육법
1) 발음중심 언어교육 접근법(한유미 외, 2011)
(1) 출현배경
(2) 특성
(3) 발음중심언어교수지도
2) 총체적 언어교육 접근법(한유미 외, 2011)
(1) 출현배경
(2) 특성

2 총체적 언어교육법 / 균형적 언어교육법
1) 총체적 언어교수지도
<발음중심 언어교육법과 총체적 언어교육법의 차이>
2) 균형적 언어교육 접근법
(1) 출현배경
(2) 특성
(3) 균형적 언어 교수지도
<균형적 언어교육의 읽기 활동요소 및 활동내용>
<발음 중심 언어 교육법의 읽기 활동 요소 및 활동 내용>
<발음 중심 언어 교육법의 쓰기 활동 요소 및 활동 내용>

3 발현적 / 다중지능이론에 기초한 / 비판적 문해이론에 기초한 언어교육법
1). 발현적 언어교육 접근법
(1) 특징
2) 다중지능이론에 기초한 언어교육 접근법
(1) 특징
(2) 교수방법
3) 독자반응이론에 기초한 언어지도
4) 비판적 문해이론에 기초한 언어지도

본문내용

소리 나거나 운율이 있다는 것을 인식하고 끊임없이 말놀이에 참여함.
⑨모든 글자들의 이름을 알고 같은 소리로 시작하는 단어들을 짝지을 수 있음.
⑩구두 언어와 인쇄된 관련성을 이해함으로써 읽기가 무엇인지 배움.
⑪인쇄물과 상호작용하는 과정, 언어에 대해 반응하는 방법을 알아감(이경화 외, 2010).
2) 다중지능이론에 기초한 언어교육 접근법
(1) 특징
* 다중지능이론에서의 언어활동들은 언어지능을 구성하고 있는 핵심적인 요소에 기초하여 이야기하기, 보고하기, 시 쓰기, 그리고 읽기와 쓰기의 4가지 범주로 구성되어 있음.
- 네 가지 범주들은 부분적으로 중복되기는 하지만 일반적으로 이야기하기는 언어의 표현적인 기능과 심미적 사용에 초점을 두고, 보고하기는 사실의 기술과 설명에, 시 쓰기는 단어놀이(말을 주고 받기, 익살, 재담)에 초점을 둠.
- 말하기, 읽기, 쓰기능력을 의미 있는 실제 세계의 경험을 통하여 기를 수 있도록 고 안 되었음( 예:, 유아들은 친구들에게 편지를 써서 교실 안에 있는 우편함으로 보냄으로써 쓰기를 훈련, 손으로 제작한 ‘TV’로 학급친구들을 인터뷰함으로써 말하기를 훈련함)
- 활동들은 단지 하나의 교육과정으로 제공하려는 의도가 아니라, 유아들이 언어능력을 발달시키고 보여줄 수 있는 다양한 상황의 본보기로써 제시하고자 함.
(2) 교수방법
* 교사는 다양한 자료들을 설명해 주기도 하고 그룹토의를 마련하기도 하며, 때로는 자료 들을 어떻게 사용할 것인가에 대한 유아들의 생각을 묻기도 함.
- 유아들의 반응과 제안들을 종이에 써줌으로써 유아들의 생각을 확인할 수 있고 학습 활동의 주체의식을 심어 줄 수도 있음(예 : 교사가 이야기판을 소개할 때 이야기판을 어떻게 사용할 수 있는지, 그리고 이야기판의 활동들을 어떤 방법으로 사용할 때 책을 읽는 것과 이야기를 하는 것이 다를 수 있을까에 대하여 이야기를 나누어 보도록 격려, 교사는 직접 제작한 ‘TV모형’을 소개하고 유아들에게 뉴스를 보고 하는 것은 이야기하기와 어떻게 다를까에 대하여 물어보기도 함. 유아들에게 주말에 있었던 새로운 일 또는 그들의 생활에서 일어나는 흥미 있는 일들을 보고하는 데 ‘TV\'를 사용할 수 있게 하기도 함)
* 말하는 사람을 정해 주기 위하여 유아들에게 쿠쉬 또는 ‘말하는 돌멩이’를 어떻게 이용하는지를 보여주기도 함. 누구든지 ‘말하는 돌멩이’를 가진 사람만 말을 할 수 있으며 그 사람이 말을 하는 동안 나머지 사람들은 조용히 듣고 있어야 한다는 것을 설명함. 말하는 돌맹이를 가진 유아가 말을 끝내면 그 유아는 말하는 돌멩이를 다음번에 말할 유아에게 조용히 건네주도록 하기도 함.
* 유아들이 그 활동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핵심적인 언어능력
창안된 이야기와 이야기하기
설명적인 언어/보고하기
- 사건, 감정 그리고 경험에 대한 정확하고 조리 있는 설명하기
- 사물에 대한 정확한 명칭을 붙이고 정확한 설명하기
- 일이 어떻게 되어 가는지를 설명하거나 절차를 묘사하는 데 흥미를 보이기
- 논리적인 주장 또는 질문에 관여하기
언어적 시적 사용 / 단어 놀이(익살, 재담)
- 익살, 운율, 운문을 즐기고 숙달되어 있음
- 단어의 의미와 소리로 놀이를 함
- 새로운 단어를 학습하는 데 흥미를 보임.
- 유머스러운 방법으로 단어를 사용함(이경화 외, 2010).
3) 독자반응이론에 기초한 언어지도
* Louise Rosenblatt(1978,1983)과 다른 독자반응 이론가들은 유아들이 읽는 것의 의미를 어떻게 창조하는지를 고려함. * 우리의 두뇌 안에 있는 눈으로가 아닌, 도식과 의미를 형성하기에 대한 구성주의자들의 이론을 확장함.
* 유아들은 책을 읽는 동안 작가가 의도한 의미를 파악하려고 하지 않고 대신에 유아들은 자신들의 배경지식과 자신들이 읽고 있는 단어에 기초해서 의미를 조정하거나 창조함.
* Rosenbelt(1991)는 읽기에는 두 가지 목적 또는 입장이 있다고 말함.
첫째, 독자들이 즐거움을 위해서 읽을 때는 미학적 입장을 가짐
둘째, 독자들이 정보를 얻거나 기억하기 위해서 읽을 때는 독자들은 도출적으로 읽음
- 이 두가지 관점은 연장선상의 양쪽 끝 지점에 잇고 대부분의 독자들은 이야기책을 읽 든 정보관련 책이든 이 두가지 관점을 적절하게 조합한 입장을 가지고 읽음
(예를 들어 유아들이 <자연의 초록우산 : 열대지방의 밀림에 관한 이야기>라는 책을 읽을 때 독자들은 밀림의 동물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읽을 수도 있음. 또한 심미적인 관점에서 아마존 강 탐험의 의미로 읽을 수도 있음)
- 유아들이 동화책을 읽을 때 대부분은 동화책의 주인공이 되어서 책을 읽는데 이 때 유아들은 이야기 속으로 빠져들어 이야기 속 주인공이 되어보도록 격려함(이경화 외, 2010)
4) 비판적 문해이론에 기초한 언어지도
* Pablo Freire의 비판적 교육학(2000)이론으로부터 발전된 이론
- 프레이리의 비판적 교육학은 교육에 대대적인 변화를 일으켜서 교사와 학생 모두가 지식, 정의, 평등이 무엇인지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해볼 것을 요구함.
* 언어란 사회적 행동을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 교사들은 유아들에게 단순히 읽기와 쓰기를 가르치는 것 이상의 일을 해야 함.
* 문해 교수활동은 교사가 가르치는 내용과 방법은 사회적, 문화적 정치적, 역사적 맥락 속에서 일어난다고 봄.
* Luke와 Freebody(1997)의 읽기모형은 비판적 문해를 네 번째 단계이면서 가장 수준 높은 단계로 보았으며, 읽기수준을 다음의 네 가지로 분류함.
① 코드 해독하기 : 유아들은 발음학, 단어 식별전략, 자주 쓰는 단어를 배울 때 코드를 해독하는 사람이 됨
② 글에 참여자 되기 : 유아들이 글의 구조나 장르를 배우게 되면 글에 참여하는 사람 이 됨.
③ 글의 사용자 : 학생들은 다양한 장르의 글을 읽고 쓰기를 통해 글의 사용자가 됨.
④ 글의 비평자 : 학생들은 책에서 제기한 논재들을 검토함으로써 글의 비평자가 됨.
- 유아들을 네 단계인 비판적 독자가 되게 하려면 글을 읽고 토론하게 하는 것임.
- 비판적 문해는 유아의 잠재력이 사려깊고, 적극적인 시민을 만든다는 것을 강조함
(이경화 외, 2010).
  • 가격2,8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3.08.23
  • 저작시기2013.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7467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