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 하지의 정형 검사[하지의 스페셜 테스트]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의학] 하지의 정형 검사[하지의 스페셜 테스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천적인 또는 후천적인 다리 길이의 결함을 나타낼 것이다.
고전적 의미: 만약 1/4인치 이상 다리의 길이의 차이가 있다면 손상이 있는 것으로 간주되고, 요통과 골반의 통증이 있는 환자의 안정성에서 고려해야 할 중요한 요소가 된다.
추적검사: 양다리의 방사선 촬영, 알리스 검사(Allis test), 외견상 다리길이 검사(apparent leg length test)
내전외전 구축검사(Adduction/abduction contracture test)
방법: 이것은 환자를 바로 눕혀놓고 환자를 관찰하는 테스트이다. 전상장골극(ASIS)의 높이가 같은지를 검사한다. 정상적인 골반은 전상장골극과 다리 길이와의 이루는 각이 90도이다.
원리: 다리의 내전근과 외전근이 균형을 잘 이루고 있다면 전상장골극은 수평으로 배열되어 있다. 그러나 구축되어 있다면 골반은 기울어지고, 다리와 전상장골극과의 각은 90도에서 변화가 일어나게 될 것이다.
고전적 의미: 외전근 구축이 있다면 다리와 전상장골극과의 각은 90도 이상이 될것이고, 내전근 구축이 있다면 다리와 전상장골극과의 각은 90도 이내가 될것이다.
임상적의미: 90도 이하의 각은 그쪽 다리의 내전근구축(adductor contracture)을 의미한다.
추적검사: 실제 및 외견상 다리길이 검사(actual and apparent leg length tests), 오버의 검사(Ober\'s test)
알리스 검사(Allis test)
방법: 환자를 바로 눕히고 양다리를 구부리고 발바닥은 지면에 닿게 한다. 양발의 뒤꿈치는 서로 나란히 놓는다. 대퇴상과(femoral condyle)의 높이를 관찰하여 한쪽이 앞으로 두드러지게 나와 있는지를 살펴보고, 양측의 경골 중 어느 한쪽이 앞으로 나와 있는지를 살펴본다.
원리: 양다리를 함께 모아 놓았을 때 대퇴상과와 경골의 높이는 같아야 한다.
고전적 의미: 양 무릎의 높이 차이는 한쪽 다리의 길이가 짧다는 것을 의미하며 양성을 의미한다.
임상적 의미: 단축은 고관절 탈구(hip dislocation)가 원인이 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대퇴 높이가 같지 않기 때문에 환측의 대퇴부가 후방으로 당겨지기 때문이다.
추적검사: 실제 및 외견상 다리길이 차이(actual and apparent leg length test), 방사선 촬영
안빌 검사(Anvil test)
방법: 환자를 바로 눕힌 다음 다리를 약간 들어올리고 뒤꿈치를 강하게 강타한다.
원리: 강타하는 힘은 고관절에 전달된다. 이것은 고관절 내에 어떠한 병변이 있는지의 여부를 알기 위하여 고관절 내에 대퇴부 골두를 강제로 밀어넣는 시도가 되는 것이다.
고전적 의미: 고관절 내에 통증이 제현되면 고관절의 병변에 대한 양성 반응을 나타내는 것이다.
임상적 의미: 고관절에 운동제한이 있다면 다리를 들어올리지 말고 바로 누운자세에서 다리를 정중위에 놓고 발뒤꿈치를 강타한다. 고관절 내에 증상을 호소하는 정도에 따라 의미를 부여한다.
추적검사: 알리스 검사(Allis test), 토마스 검사(Thomas test), dpfkdldml 종부 둔부대기 검사(Ely\'s heel to buttock test), 오버의 검사(Ober\'s test)
외견상 다리길이 검사(Apparent leg length test)
방법: 환자를 바로 눕히고 환자의 배꼽과 발목에서 좌우측의 내측과를 표시하고, 다리 길이를 줄자로 측정하여 측정치를 비교한다
원리: 연부조직(비고정)과 뼈의 표식(고정점)이 사용되기 때문에 다리 길이에 다양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 측정법은 골반경사와 같은 골반에 영향을 미치는 연부조직의 구축과 골반의 경사를 염두에 두어야 한다.
고전적 의미: 다리 길이의 차이는 의미심장하며 단축되어 있는 쪽은 다른쪽에 영향을 미친다.
임상적 의미: 다리가 짧아진 여러 가지 요인들을 생각하고 좀더 심도의 조사가 요구된다.
추적검사: 실제다리길이 검사(actual leg length test), 구축검사(contracture test)
발로우의 검사(Barlow\'s test)
방법: 이 검사는 6개월까지의 영아에 해당된다. 영아를 바로 눕히고 아기의 무릎을 구부려 잡고 앞뒤로 넣고 당겨 고관절에서 딸가락거리는 소리가 느껴지는지를 살펴본다. 다시 뒤에서 앞으로 당기면서 반복해 보아 이상한 소리가 나지 않는지를 살펴본다
원리: 이 검사는 고관절 탈구에 대한 추적검사로서 울토라니 검사를 실시한다.
고전적의미: 촉지시에 딸가닥거리는 느낌이 든다면 고관절 탈구를 확증할 수 있다
임상적의미: 만일 압력을 전후면으로 가했을 때 딸가닥거리는 소리가 느껴진다면 영아는 불안정성 선천적 고관절 탈구일 가능성이 있다.
추적검사: 망원경 검사(telescope testing)를 시행한다.
크레이그 검사(Craig test)
방법: 환자를 엎드려 눕히고 무릎을 90도 구부리게 한다. 발목을 잡고 내회전외회전을 실시한다. 운동범위를 측정한다. 이것은 대퇴전경(anteversion)과 대퇴후경(retroversion)을 측정하기 위한 라이더 방법(Ryder method)이라고도 한다.
원리: 정상적인 고관절은 내회전보다 외회전의 범위가 크다. 대퇴전경과 같은 고관절의 기형은 과도한 내회전을 초래하게 되고 대퇴후경은 과도한 외회전을 초래한다.
고전적 의미: 정상이라면 외회전의 운동범위는 내회전의 운동범위보다 크다.
임상적 의미: 내회전이 외회전보다 크다면 대퇴골두각의 변형이 있을 수 있다.
추적검사: 넬라톤 라인검사(Nelaton\'s line test), 힙의 검사(Hibb\'s test)
엘라이의 종부 돈부대기 검사(Ely\'s heel to buttock test)
방법: 환자를 엎드려 눕히고 무릎을 구부려 발뒤꿈치를 반대측 엉덩이에 닿도록 한다. 이것이 가능하다면 고관절을 들어 고관절 과신전을 시도한다.
원리: 발뒤꿈치를 동측 고관절에 닿게 하면 전단 스트레스(torsion stress)가 고관절에 먼저 일어나게 된다. 여기에 고관절 과신전을 실시하면 장요근(iliopsoas)이 당겨진다.
고전적 의미: 위의 동작이 불가능하면 요추신경근(lumbar nerve roots)의 악화, 요추
  • 가격3,0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13.08.30
  • 저작시기2013.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7634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