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 발달과 전개과정(영국, 미국, 일본, 한국의 사회복지 발달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회복지 발달과 전개과정(영국, 미국, 일본, 한국의 사회복지 발달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영국의 사회복지 발달사
2. 미국의 사회복지 발달사
3. 일본의 사회복지 발달사
4. 한국의 사회복지 발달사

본문내용

에 따라 군정법령 및 처우준칙을 임시방편으로 마련함.
- 자선과 시혜의 차원을 벗어나지 않음.
마. 정부수립~ 1950년대
- 고아원, 모자원, 양로원 등 수용시설 급증
- 1950년 후생시설 설치기준 공포.
- 후생시설을 아동시설과 특수시설, 노인시설로 구분하여 복지시설의 종류를 처음으로 체계 화함.
- 1947년 최초의 대학교육기관으로 이화여대 기독교학과에 사회사업전공 설치.
바. 20세기 후반기
- 박정희 정부(1961-1979)
* 경제성장 우선주의로 사회복지가 침체
* 사회복지관련 법률들을 무더기로 입법화하였으나 재정부족등으로 실제로 시행된 법은 극 소수임.
* 시설수용보호사업과 영세민을 대상으로 한 제한적인 부조로 일관.
- 전두환 정부(1980-1987)
* 복지국가 구현을 4대 국정지표 중 하나로 내세우고 복지예산 대폭확충
* 제5공화국 후기에 한국형 복지모형론 등장.
* 사회복지사업기금법(1980), 심신장애자복지법(1981), 노인복지법(1981)제정, 아동복지법 개정(1981), 사회복지사업법 개정(1982), 생활보호법 개정(1982)
* 5공화국 후반부터 시설수용 위주의 복지사업에서 벗어나 지역복지와 재가복지가 강조되 기 시작하였고 사회복지관을 확대함.
- 노태우 정부(1988 -1993)
* 지방자치시대가 시작되면서 중앙정부가 관장하던 업무를 지방정부에 이양하기 시작
* 국민연금제도 실시, 의료보험의 전국 확대실시, 최저임금제 실시 등 복지제공이 폭발적으 로 확대.
* 사회복지관 전국 확대.
* 보육시설 확충.
* 재가복지봉사센터 설치.
* 1987년부터 사회복지전문요원을 영세민 밀집지역에 배치.
* 모자복지법(1989년), 영유아보육법(1991년), 장애인고용촉진 등에 관한 법률(1990년), 고령자고용촉진법(1992년) 제정, 장애인복지법(1989년), 노인복지법(1989년), 의료보호법(1991년), 사회복지사업법(1992년) 개정.
- 김영삼 정부(1993-1998)
* 사회복지 발전이 상대적으로 정체
* 복지를 시장원리에 맡기고 취약 계층만 국가가 책임지는 잔여적 복지정책 추구.
* 1997년 말 IMF체제에 들어감에 따라 국가적 위기를 맞이함.
- 김대중 정부(1998-2003)
* 생산적 복지 주창
* 제1차 사회보장발전계획(1999년~2003년) 수립.
* 성장과 복지의 조화를 통한 균형적 복지국가 달성을 목적으로 함.
* 국민연금제도의 전 국민 확대실시, 의료보험조합의 건강보험 제도로의 일원화, 고용보험 의 전 사업장 확대실시, 생활보호법을 국민기초생활보장법으로 대체.
- 노무현 정부(2003-2008)
* 참여복지 주창
* 저소득층 위주의 지원에서 탈피하여 복지대상을 전 국민으로 확대
* 지방분권정책과 지역균형발전정책을 추진하여 지역특성에 맞는 복지정책 강조.
* 노인장기요양보험법(2006년) 제정.
- 이명박 정부(2008-2013)
* 2008년부터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실시.
* 실용과 성장 위주의 정책을 강조함으로써 사회복지분야에 또 다른 변화가 예상됨.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3.09.08
  • 저작시기2013.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7792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