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풀뿌리 환경 엔지오 운동
1. 풀뿌리 환경운동이 나오기까지
첫 번째 흐름 ; 합법적 환경운동
두 번째 흐름 ; 비합법적 환경운동
세 번째 흐름 ; 풀뿌리 환경운동
2. 풀뿌리 환경운동
1) 급진적 환경운동
* 에코사보타지란?
1. 시셰퍼드 Sea Shephard Society
2. 어스퍼스트 Earth First
3. PETA People for the Ethical Treatment of Animal
2) 환경정의운동
1. 자생적 지역운동
2. 인권운동과 관련한 환경정의운동
3) 풀뿌리 환경운동의 특징
1. 풀뿌리 환경운동이 나오기까지
첫 번째 흐름 ; 합법적 환경운동
두 번째 흐름 ; 비합법적 환경운동
세 번째 흐름 ; 풀뿌리 환경운동
2. 풀뿌리 환경운동
1) 급진적 환경운동
* 에코사보타지란?
1. 시셰퍼드 Sea Shephard Society
2. 어스퍼스트 Earth First
3. PETA People for the Ethical Treatment of Animal
2) 환경정의운동
1. 자생적 지역운동
2. 인권운동과 관련한 환경정의운동
3) 풀뿌리 환경운동의 특징
본문내용
. 그러나 어디까지나 이러한 움직임은 비폭력주의 안에서 행해짐으로써, 후에 등장한 풀뿌리 환경운동의 급진적 환경운동과는 비교된다.
특히 그린피스는 직접적 현장대응을 택했다는 점에서 이전의 전통적 환경운동과 확연히 구분된다. 그들은 핵실험 예정지로 무모하게 달려들었으며, 러시아 포경선이 고래를 잡는 현장에 출동하여 작살이 난무하는 가운데 고래를 구출하기 위해 뛰어 들기까지 했다. 그러한 장면은 모두 방송 매체를 통해 전 세계의 이목을 끌기 시작했으며, 그러한 여론 매체에 호소하는 전략으로 그린피스는 엄청난 회원과 기금을 확보할 수 있었다.
그러나 그린피스 역시 환경운동의 주제와 그에 걸맞은 전략을 수립하는 과정에서 회원들의 참여가 주가 되었다기보다는 중앙 집권적인 체계적인 조직 안에서 설정된 것에 충실한 면을 보였다. 이것은 풀뿌리 환경운동에 비해 상대적으로 비민주적이라고 볼 수 있으며, 그린피스의 환경운동 역시 전문가들에 의해 주도되는 양상을 보이며 수백만 명의 회원은 그저 재정 지원자의 역할에만 머물렀다.
세 번째 흐름 ; 풀뿌리 환경운동
합법적인 전통적 환경운동과 비합법적이고 비폭력적인 그린피스를 거쳐 환경운동사에 새로운 흐름이 등장했다. 이전의 중앙 집권적이며 회원은 그저 재정적인 지원자에 머물렀던 것에 반발하여 회원 하나하나의 참여를 중점에 두고 있는 환경운동 단체가 그것이며, 이를 통틀어 풀뿌리 환경운동이라고 한다. ‘풀뿌리’라는 단어 자체가 시민의 자율성과 참여 정신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니만큼 그러한 의미의 ‘풀뿌리’가 환경운동과 결합함으로써, 어떠한 중심적 구조를 가진 단체를 통한 환경운동이 아닌 시민 개개인 하나하나의 참여를 바탕으로 한 환경운동을 나타낸다. 이전의 환경운동에 비해 매우 민주적인 의사결정 체계를 갖추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풀뿌리 환경운동은 크게 보아 내부적으로 과격한 행동까지도 불사하는 급진적 환경운동과 사회 정의를 환경적으로 확장해서 조망하는 환경정의 운동으로 나뉜다.
2. 풀뿌리 환경운동
1) 급진적 환경운동
합법적 환경운동이 아닌 비합법적 환경운동 노선을 택한 단체가 환경운동에 새로운 흐름을 이끌고 왔다고 하더라도, 그들은 여전히 비폭력 전략을 채택하고 있었다. 그러한 비폭력 전략으로는 지구와 자연을 지키는 데에 한계가 있다고 생각한 환경 운동가들은 이전보다 더욱 급진적인 환경운동 단체를 결성하기에 이르렀다. 이들은 무엇보다 지구 생태계를 보전하기 위한 운동 전략으로써 비합법 에코사보타지(eco-sabotage)를 채택했다. 해양 관련 자연 보호에 중점을 둔 시셰퍼드와 육지의 자연에 더 중점을 둔 어스퍼스트가 대표적이며, 이들과 운동 방법이 다소 비슷한 동물 해방을 목표로 하는 PETA 등이 있다.
* 에코사보타지란?
환경파괴와 관련된 행동을 하지 못하도록 방해하는 비합법적 활동을 의미하며, 생태 테러리즘이라고 하기도 한다. 시민 불복종과는 달리 몰래 행해진다는 특징이 있다.
1. 시셰퍼드 Sea Shephard Society
환경운동에 있어서 지나치게 급진적인 행동을 선호한다는 이유로 축출된 폴
특히 그린피스는 직접적 현장대응을 택했다는 점에서 이전의 전통적 환경운동과 확연히 구분된다. 그들은 핵실험 예정지로 무모하게 달려들었으며, 러시아 포경선이 고래를 잡는 현장에 출동하여 작살이 난무하는 가운데 고래를 구출하기 위해 뛰어 들기까지 했다. 그러한 장면은 모두 방송 매체를 통해 전 세계의 이목을 끌기 시작했으며, 그러한 여론 매체에 호소하는 전략으로 그린피스는 엄청난 회원과 기금을 확보할 수 있었다.
그러나 그린피스 역시 환경운동의 주제와 그에 걸맞은 전략을 수립하는 과정에서 회원들의 참여가 주가 되었다기보다는 중앙 집권적인 체계적인 조직 안에서 설정된 것에 충실한 면을 보였다. 이것은 풀뿌리 환경운동에 비해 상대적으로 비민주적이라고 볼 수 있으며, 그린피스의 환경운동 역시 전문가들에 의해 주도되는 양상을 보이며 수백만 명의 회원은 그저 재정 지원자의 역할에만 머물렀다.
세 번째 흐름 ; 풀뿌리 환경운동
합법적인 전통적 환경운동과 비합법적이고 비폭력적인 그린피스를 거쳐 환경운동사에 새로운 흐름이 등장했다. 이전의 중앙 집권적이며 회원은 그저 재정적인 지원자에 머물렀던 것에 반발하여 회원 하나하나의 참여를 중점에 두고 있는 환경운동 단체가 그것이며, 이를 통틀어 풀뿌리 환경운동이라고 한다. ‘풀뿌리’라는 단어 자체가 시민의 자율성과 참여 정신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니만큼 그러한 의미의 ‘풀뿌리’가 환경운동과 결합함으로써, 어떠한 중심적 구조를 가진 단체를 통한 환경운동이 아닌 시민 개개인 하나하나의 참여를 바탕으로 한 환경운동을 나타낸다. 이전의 환경운동에 비해 매우 민주적인 의사결정 체계를 갖추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풀뿌리 환경운동은 크게 보아 내부적으로 과격한 행동까지도 불사하는 급진적 환경운동과 사회 정의를 환경적으로 확장해서 조망하는 환경정의 운동으로 나뉜다.
2. 풀뿌리 환경운동
1) 급진적 환경운동
합법적 환경운동이 아닌 비합법적 환경운동 노선을 택한 단체가 환경운동에 새로운 흐름을 이끌고 왔다고 하더라도, 그들은 여전히 비폭력 전략을 채택하고 있었다. 그러한 비폭력 전략으로는 지구와 자연을 지키는 데에 한계가 있다고 생각한 환경 운동가들은 이전보다 더욱 급진적인 환경운동 단체를 결성하기에 이르렀다. 이들은 무엇보다 지구 생태계를 보전하기 위한 운동 전략으로써 비합법 에코사보타지(eco-sabotage)를 채택했다. 해양 관련 자연 보호에 중점을 둔 시셰퍼드와 육지의 자연에 더 중점을 둔 어스퍼스트가 대표적이며, 이들과 운동 방법이 다소 비슷한 동물 해방을 목표로 하는 PETA 등이 있다.
* 에코사보타지란?
환경파괴와 관련된 행동을 하지 못하도록 방해하는 비합법적 활동을 의미하며, 생태 테러리즘이라고 하기도 한다. 시민 불복종과는 달리 몰래 행해진다는 특징이 있다.
1. 시셰퍼드 Sea Shephard Society
환경운동에 있어서 지나치게 급진적인 행동을 선호한다는 이유로 축출된 폴
키워드
추천자료
시민단체(NGO)와 시민운동
우리나라 환경문제의 현황과 정부의 환경정책에 대한 평가 및 향후 방안[A+ 대박자료]
(국제환경단체) 국제환경 보호단체 그린피스(Greenpeace)에 대하여..
(환경오염) 환경문제의 실태와 문제점 및 범 세계적 해결방안 (NGO와 GO의 활동을 중심으로)
NGO와 한국사회 뉴 거버넌스 (경실련의 시민운동을 중심으로)
한국 권력구조 및 지역정치의 변화와 사회운동조직의 제도화
대구의 정책 성공사례, 푸른 대구가꾸기(나무심기운동)
환경위기와 환경문제
일본의 생활협동조합(생협) 운동 - 생활클럽생협 -
[슬로우푸드]슬로우푸드(slow food) 운동의 등장 배경 및 활동 목적과 의미 분석, 슬로푸드 V...
[환경교육][환경오염][환경보호][환경문제][환경보전]환경교육의 정의, 환경교육의 필요성, ...
[도시경관][친환경도시][개발제한구역]도시경관의 개념, 도시경관의 가치, 친환경도시의 개념...
인간과 지구환경-환경재단과 아토피
[여성사회학] 가치의 위계와 대안 화폐 운동 -LETS(Local Exchange Trade System) 사례를 중...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