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본론
결론
소감
본론
결론
소감
본문내용
. 남성들은 -요의 사용이 그리 많지 않았다. 대부분이 종결어미를 생략하는가 하면 -요를 사용하게 되더라도 의문형태에서 주로 나타나게 되는 것을 살펴 볼 수 있었다.
하지만 예상과는 다르게 나타난 부분은 군인들과의 대화에서 모두가 -다, -까 의 딱딱한 형태라고 하였는데 장교들은 자신이 생활하는 부대를 벗어나 사회로 나왔을 경우에는 그러한 사용보다는 -요의 사용도 빈번한 것을 발견 하게 되었다. 일반병사들은 그 체계가 탄탄하기에 상점에서 점원과 이야기 하는 동안에도 -다, -까의 사용이 빈번 한 것을 확인하였다.
예를 들면 자신이 찾고 있던 핸드폰에 대해서 질문을 할 경우에
“IM7200 기종 있습니까?”
라는 물음을 던지는 것은 일반 병사들에게만 국한 된다. 그러나 같은 질문에도 장교들은 “IM7200 기종 있어요?”라는 질문을 던지는 모습들을 보았다.
많은 직업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 중에서 구지 군인을 택한 것은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군인들은 -요의 사용을 꺼리는 집단이기 때문이다. 그러한 사람들이 사회에서 즉 상점 안에서도 마찬가지로 같은 형태로 말을 하는지에 대해서 지켜 본 결과 얻어낸 것이다. 군인들 중 위관 장교 이상에서는 사회에서는 일반인들이 사용하는 형태를 그대로 보여주고 있었다. 그 이유는 어느 정도는 계급의 영향을 받고 있음을 확인하게 되었다.
여성들은 자신이 말하는 대부분의 종결을 -요를 통해서 끝맺음 하고 있었다. 하지만 서비스업에 종사하고 있는 남성들이나, 판매직에 종사하는 남성들은 손님과의 부드러운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여성들의 음성과 가까울 정도의 종결어미 -요의 사용 빈도를 보이고 있었다. -다 와 -까의 사용을 찾아보기는 힘들었다. 종결어미는 물론이며, 대체적인 말에서 -요를 사용하여 끝맺음을 하고 있었다.
-요를 사용한다고 하더라도 남성과 여성의 어투는 다르게 나타나고 있었다. 여성은 어조가 높이 상승 하는가 하면 남성은 하강의 어조를 사용하거나 어조의 변화가 없이 -요를 사용하고 있었다. 그리하여 여성은 처음 본 사이임에도 불구하고 친근함을 느낄 수 있는데 남성의 -요의 사용은 명령조에 가깝거나 그저 자신이 알고 있었던 것의 확인에 불과한 것처럼 점원으로 하여금 딱딱한 어조를 주로 사용하고 있었다.
예외적으로 서비스업을 비롯하여, 판매직이나 영업직에 종사하고 있는 남성들은 여성들과 비슷한 정도의 종결어미 -요를 사용하고 있었다. 그들은 사람들로 하여금 친근감을 조성해야만 유리한 직종이기에 그 사용 정도가 친화를 위해 사용되는 여성들과 같은 어조의 종결어미를 사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예를 들어 손님이 “오늘 바로 개통 되나요?”라고 물었을 경우에 “예! 바로 해드려야지요.”라는 대답에서나 그 밖에도 여러 상황 속에서 일반적으로 알고 있던 남성들의 사용 분포에 비해 사용이 높게 나타났다.
이처럼 종결어미 -요의 사용에 있어서 다른 조건들보다 강하게 작용하는 것은 바로 친근감이었다. 여성들은 친근하지 않아도 친근해지기 위하여 이러한 종결어미를 사용하고 있다. 상점에 자주 오던 손님 일수록 남성들 중에서도 처음에는 딱딱한 어투였다고 하더라도 시간이 흐른 뒤에는 말을 하는 사이사이에 끝맺음을 -요로 하는 경우를 보이고 있었다.
♣성별
-여성이 우세
-남성-저조, 군대와 상당한 관련을 맺고 있음.
♣남성들 중에서 군대와의 관련
-군대를 갔다 온지 오랜 사건이 지난 사람들에게서는 -요의 사용이 현직 군인이나 제대한지 얼마 안 되는 사람들에 비해 높은 사용률을 보이고 있었다. 이는 여성들이 극히 드문 군대 안에서는 그 만큼 상대방에게 있어서도 종결어미 -요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그들 사이에서도 위관급 장교 이상에서는 다른 분포를 나타내고 있는데 이는 위관 장교들은 그들 사회와 일반 사회 안으로 왕래가 자주 있기 때문일 것이라고 본다. 그만큼 종결어미 -요를 사용하는 사람들과 접촉이 많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에 반해서 그 이하 계급에서는 계급 자체적으로도 억압이 많을 뿐만 아니라 사회와의 왕래도 현저히 적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위관급 장교 이상에서나 제대한지 오랜 시간이 지난 남성들에게서도 종결어미 -요의 사용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게 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친근감
- 종결어미 -요의 사용에 가장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는 부분.
여성들은 두루 사용한다. 처음에는 친근해지기 위하여 이 종결어미를 사용하고, 그 후에는 둘 사이의 벽을 없앤 뒤 자신보다 나이가 많을 경우 그 사용을 똑같이 한다. 그러나 자신
하지만 예상과는 다르게 나타난 부분은 군인들과의 대화에서 모두가 -다, -까 의 딱딱한 형태라고 하였는데 장교들은 자신이 생활하는 부대를 벗어나 사회로 나왔을 경우에는 그러한 사용보다는 -요의 사용도 빈번한 것을 발견 하게 되었다. 일반병사들은 그 체계가 탄탄하기에 상점에서 점원과 이야기 하는 동안에도 -다, -까의 사용이 빈번 한 것을 확인하였다.
예를 들면 자신이 찾고 있던 핸드폰에 대해서 질문을 할 경우에
“IM7200 기종 있습니까?”
라는 물음을 던지는 것은 일반 병사들에게만 국한 된다. 그러나 같은 질문에도 장교들은 “IM7200 기종 있어요?”라는 질문을 던지는 모습들을 보았다.
많은 직업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 중에서 구지 군인을 택한 것은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군인들은 -요의 사용을 꺼리는 집단이기 때문이다. 그러한 사람들이 사회에서 즉 상점 안에서도 마찬가지로 같은 형태로 말을 하는지에 대해서 지켜 본 결과 얻어낸 것이다. 군인들 중 위관 장교 이상에서는 사회에서는 일반인들이 사용하는 형태를 그대로 보여주고 있었다. 그 이유는 어느 정도는 계급의 영향을 받고 있음을 확인하게 되었다.
여성들은 자신이 말하는 대부분의 종결을 -요를 통해서 끝맺음 하고 있었다. 하지만 서비스업에 종사하고 있는 남성들이나, 판매직에 종사하는 남성들은 손님과의 부드러운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여성들의 음성과 가까울 정도의 종결어미 -요의 사용 빈도를 보이고 있었다. -다 와 -까의 사용을 찾아보기는 힘들었다. 종결어미는 물론이며, 대체적인 말에서 -요를 사용하여 끝맺음을 하고 있었다.
-요를 사용한다고 하더라도 남성과 여성의 어투는 다르게 나타나고 있었다. 여성은 어조가 높이 상승 하는가 하면 남성은 하강의 어조를 사용하거나 어조의 변화가 없이 -요를 사용하고 있었다. 그리하여 여성은 처음 본 사이임에도 불구하고 친근함을 느낄 수 있는데 남성의 -요의 사용은 명령조에 가깝거나 그저 자신이 알고 있었던 것의 확인에 불과한 것처럼 점원으로 하여금 딱딱한 어조를 주로 사용하고 있었다.
예외적으로 서비스업을 비롯하여, 판매직이나 영업직에 종사하고 있는 남성들은 여성들과 비슷한 정도의 종결어미 -요를 사용하고 있었다. 그들은 사람들로 하여금 친근감을 조성해야만 유리한 직종이기에 그 사용 정도가 친화를 위해 사용되는 여성들과 같은 어조의 종결어미를 사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예를 들어 손님이 “오늘 바로 개통 되나요?”라고 물었을 경우에 “예! 바로 해드려야지요.”라는 대답에서나 그 밖에도 여러 상황 속에서 일반적으로 알고 있던 남성들의 사용 분포에 비해 사용이 높게 나타났다.
이처럼 종결어미 -요의 사용에 있어서 다른 조건들보다 강하게 작용하는 것은 바로 친근감이었다. 여성들은 친근하지 않아도 친근해지기 위하여 이러한 종결어미를 사용하고 있다. 상점에 자주 오던 손님 일수록 남성들 중에서도 처음에는 딱딱한 어투였다고 하더라도 시간이 흐른 뒤에는 말을 하는 사이사이에 끝맺음을 -요로 하는 경우를 보이고 있었다.
♣성별
-여성이 우세
-남성-저조, 군대와 상당한 관련을 맺고 있음.
♣남성들 중에서 군대와의 관련
-군대를 갔다 온지 오랜 사건이 지난 사람들에게서는 -요의 사용이 현직 군인이나 제대한지 얼마 안 되는 사람들에 비해 높은 사용률을 보이고 있었다. 이는 여성들이 극히 드문 군대 안에서는 그 만큼 상대방에게 있어서도 종결어미 -요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그들 사이에서도 위관급 장교 이상에서는 다른 분포를 나타내고 있는데 이는 위관 장교들은 그들 사회와 일반 사회 안으로 왕래가 자주 있기 때문일 것이라고 본다. 그만큼 종결어미 -요를 사용하는 사람들과 접촉이 많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에 반해서 그 이하 계급에서는 계급 자체적으로도 억압이 많을 뿐만 아니라 사회와의 왕래도 현저히 적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위관급 장교 이상에서나 제대한지 오랜 시간이 지난 남성들에게서도 종결어미 -요의 사용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게 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친근감
- 종결어미 -요의 사용에 가장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는 부분.
여성들은 두루 사용한다. 처음에는 친근해지기 위하여 이 종결어미를 사용하고, 그 후에는 둘 사이의 벽을 없앤 뒤 자신보다 나이가 많을 경우 그 사용을 똑같이 한다. 그러나 자신
추천자료
-국문과- 학자별 품사분류
페미니즘 언어학 - TV토론 프로그램 'SBS 토론 시시비비 43회 찬반, 외모 지상주의' 사례를 ...
우리말 시제의 쓰임과 번역에의 적용
문장성분과 짜임(통사론)
2009년 1학기 바른국어생활과문법 기말시험 핵심체크
2009년 동계계절시험 바른국어생활과문법 시험범위 핵심체크
2010년 1학기 바른국어생활과문법 기말시험 핵심체크
바른국어생활과문법 교재전범위 핵심요약노트
[국어][국어 오용][표준어][띄어쓰기][문장부호][맞춤법]국어 표준어 오용 사례, 국어 띄어쓰...
2011년 1학기 바른국어생활과문법 기말시험 핵심체크
두보의 ‘강촌(江村)’으로 본 중세 국어의 특징
가시리
2011년 동계계절시험 바른국어생활과문법 시험범위 핵심체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