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업지도안 2.음운의 변동 (2) 음운의 탈락, 삽입, 축약, 도치, 수업지도안 음운 삽입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수업지도안 2.음운의 변동 (2) 음운의 탈락, 삽입, 축약, 도치, 수업지도안 음운 삽입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음운의 탈락

(1) 자음 탈락 (2) 모음탈락
① 후음탈락 ① 동음탈락
② 동음탈락 ②‘으’탈락
③ 유음탈락 ③‘어’ 탈락
④‘ㅅ’탈락 ④‘아’탈락
⑤‘이’탈락


Ⅱ. 음운의 삽입 Ⅲ. 음운의 축약

(1)‘ㄴ’삽입 (1) 자음축약
① 통시적인 ‘ㄴ’삽입 (2) 모음축약
② 공시적인 ‘ㄴ’삽입

(2) 활음삽입


Ⅳ. 도치

(1) 자음도치
(2) 모음도치

본문내용

2.음운의 변동
(2) 음운의 탈락, 삽입, 축약, 도치

목 차
Ⅰ. 음운의 탈락
(1) 자음 탈락 (2) 모음탈락
① 후음탈락 ① 동음탈락
② 동음탈락 ②‘으’탈락
③ 유음탈락 ③‘어’ 탈락
④‘ㅅ’탈락 ④‘아’탈락
⑤‘이’탈락
Ⅱ. 음운의 삽입 Ⅲ. 음운의 축약
(1)‘ㄴ’삽입 (1) 자음축약
① 통시적인 ‘ㄴ’삽입 (2) 모음축약
② 공시적인 ‘ㄴ’삽입
(2) 활음삽입
Ⅳ. 도치
(1) 자음도치
(2) 모음도치
대단원
2. 음운의 변동
소단원
(2)음운의 탈락, 삽입, 축약, 도치
학습목표
음운의 탈락, 삽입, 축약, 도치 규칙을 설명할 수 있다.
I. 탈락
1. 탈락의 뜻
인접한 두 음이 마주칠 때, 그 중 한 음이 완전히 사라지는 현상
2. 탈락의 유형
(1) 자음 탈락
① 후음탈락
후음인 음운 \'ㅎ\'이 유성 환경에서 탈락하는 것을 말하며,‘ㅎ’을 끝소리로 가지는 어간은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나 접미사 앞에서 ‘ㅎ’이 탈락한다.
/좋/ -> [조아도][조은][조코], /싫/ -> [시러도][시른][실코]
/많/ -> [마나도][마는][만코], 쌓이다-> [싸이다], 끓이다->[끄리다]
② 동음탈락
연이은 동음 중 앞 자음이 탈락하는 것을 말한다.
간난(艱難) → 가난, 종용(從容)하다 → 조용하다
③ 유음탈락
기저형에 존재하는 음운 \'ㄹ\'이 음성으로 실현되는 과정서 탈락되는 것을 말하며, 파생어와 합성어에서 형태소의 끝소리 ‘ㄹ’이 ‘ㄴ,ㄷ,ㅅ,ㅈ’앞에서 탈락한다.
다달이(달-달-이), 따님(딸-님), 마되(말-되), 마소(말-소), 바느질(바늘-질)
또 ‘ㄹ’이 규칙 용언에서 어간의 끝소리 ‘ㄹ’이 ‘ㄴ,ㅂ,ㅅ,오’앞에서 예외없이 탈락하는 경우도 있다.
갈다 : 가니, 간 갑니다, 가시다, 가오
둥글다: 둥그니, 둥근, 둥급니다. 둥그시다. 둥그오
④‘ㅅ’탈락
본래의 형태소가 가진 \'ㅅ\'이 탈락하는 것을 말한다.
그것이→그게, 이것이→ 이게
<참고> 자음군단순화
자음군이란, 중간에 형태소 범주 기호 \']\'이외에 아무런 경계요소를 가지지 않은 자음들의 연속
체를 말한다. 국어에서 자음군은 다음 세 경우에 존재한다.
① 어간말
② 자음으로 끝나는 어간과 자음으로 시작하는 어미가 통합하는 경우
③ \'ㄹ\'로 끝나는 어간과 \'으\'로 시작하는 폐음절 어미가 통합하여 어미의 \'으\'가 탈락되는 경우
이것은 음절말과 음절초에서 하나의 자음만 발음될 수 있는 국어의 음절구조제약 때문이다. 이처
럼 음성적인 음절구조제약 때문에 자음군에서 자음이 탈락되는 음운과정을 자음군단순화라 한다.
예)/넋/ -> 넉시, 넉또, 넝만 /훑/ -> 훌터도, 훌리, 훌꼬 /불/ -> 부러도, 부니, 불고
(2) 모음탈락
① 동음탈락
이어진 같은 소리가 탈락하는 것을 말한다.
가+아서→가서
②‘으’탈락
어미‘어’ 앞에서 어간 ‘으’가 탈락하는 것을 말한다.
쓰+어도→써도 쓰+으니→쓰니 가+으니→가니
③‘어’ 탈락
어간‘에,애’아래에서‘어’가 탈락하는 것을 말한다.
가+어도→가도, 깨+어→깨
④‘아’탈락
‘하다’의 어간 ‘하’에서‘아’가 탈락하는 것을 말한다.
흔하+지→흔치
⑤‘이’탈락
서술격 조사 ‘이다’의 어간‘이’가 탈락하는 것을 말한다.
소+이다→소다
<참고> 활음탈락
활음 탈락이란 일정한 음운 뒤에서 활음이 탈락하는 것을 말한다.
①통시적인 활음탈락
형태소 내부에서 어떤 음운 뒤에 존재하던 활음이 탈락하는 것을 말한다.
예) 쇼(牛) cf.
  • 가격2,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3.09.23
  • 저작시기2013.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8034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