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없음
본문내용
중세는 기독교 공인 이후부터 르네상스 이전, 즉 고딕까지를 말한다. 또한 서양의 중세는 기독교문화의 시대이다. 따라서 거의 대부분의 건축물은 기독교의 성당 건축을 중심으로 발달되었다, 또한 봉건제도가 생성된 시기로 영주의 성관이 또 다른 형태의 건축물이었으나, 중세 말기의 것을 제외하고는 그 유구가 많지 않다. 이 시기에는 정신적인 질서가 쇠퇴기에 있었고, 인간은 내세의 평화와 행복을 바라는 것 이외에는 현세에 가치를 두지 않았으므로 이 시기를 흔히 암흑 시대라고 부른다.
무정부 기간 동안에는 권력으로부터 생기는 모든 명령들이 지방의 세력가들로부터 행해졌고 그들은 서로 영토분쟁을 하고 그들이 선택한 방식으로 민중들을 이용하기 위하여 서로에게 위협이 되었다. 봉건적 세력가들 사이에서 끊임 없이 행해지는 공격적인 전쟁들은 평범한 삶을 수비 기술에 의존하게 만들었다. 세력가들이 가진 무기들은 칼, 창, 그리고 활과 화살이 전부였다. 갑옷을 입으면 공격자로부터 결정적인 우위를 얻게 된다. 주위에 견고한 벽으로 둘러 싸인 건물은 성을 만들었고 마을이나 도시 주위에 쌓인 벽돌은 거주자들을 상대적으로 안전하게 만들었다. 성에 거주하는 봉건 영주는 벽이 둘러 쳐진 마을에 보호를 제공할 수 있었고 종종 난폭하기도 했던 지도자와 그의 보호 아래서 착취를 당하며 사는 사람들 사이에 쌍방의 이득적인 관계가 생겨났다. 초기 중세 시대의(1000년 이전) 이런 패턴의 발전은 대개 로마네스크 양식이라는 이름으로 정의되는 디자인, 예술, 그리고 건축을 위한 환경을 제공하였다.
중세시대의 주택들을 살펴보면 대체적으로 중세 당시의 정치적, 사회적 요인에 영향을 받아 검소하고 금욕적이었다, 성관의 실내에는 기사도나 종교적인 내용의 그림을 벽화로 그렸으며, 벽걸이 장식으로 태피스트리를 걸어두었고 바닥에는 돌이나 벽돌, 타일을 깔았다. 봉건 영주들을 제외한 대부분의 사람들은 초가지붕의 돌집이나 통나무집에서 살았다. 경지에서 일하는 농노들은 박공 지붕이 있는 하나의 방으로 된 단순하고 상자처럼 생긴 목조 주택에서 살았다. 창문에는 유리가 없었고 실내는 대개 어두웠으며 대형 홀에는 화로 또는 벽난로를 이용하여 난방과 취사를 겸하였다. 집은 주거용일 뿐만 아니라 종종 외양간으로도 쓰였는데 사람과 동물들이 같은 공간을 나눠 쓰거나 아니면 최소한의 분리 만이 있었다. 또한 부엌은 농가 주택에서 가장 중요한 방이었는데, 바닥과 벽, 그리고 지붕에 쓰인 자연목은 전체성을 부여하고 벽난로의 하얀 프라스터와 검은철과 나무로 된 스토브에 의해서만 단절될 뿐이었다. 자연석을 쉽게 구할 수 있는 곳에선 주택의 벽이 종종 돌로 만들어 졌으며 나무로 만든 뼈대 위에 짚을 엮어 이엉으로 지붕을 만들었다. 이러한 집들은 아직도 남아 있으며 어떤 것들은 유럽의 외딴 시골에선 아직도 사용중이다.
마을들이 발달함에 따라 농가에 살던 가족들은 종종 경작지에 있던 집을 포기하고 그 대신 마을을 둘러싼 벽과 관문이 보호를 해주고 교회와 시장 광장이 공동 생활의 중심지를 제공해 주는 마을에 있는 집을 더 선호하게 되었다. 마을에 있는 주택들은 나무 바닥과 돌 혹은 나무로 되어 있는 계단이 있는 몇 개층의 방들로 이루어져 있었을 것이다. 이런 집들은 좁은 거리를 따라서 함께 모여 있었는데 마을을 둘러싼 벽안의 공간이 값이 더 비쌌기 때문이다. 나무가 건물의 재료였으며 주택의 위층은 조금 더 많은 내부공간을 얻기 위해서 거리 위로 돌출되어 있었다.
단순한 주택의 형태가 마을들과 함께 나타났다. 남아있는 예들은 돌로 된 벽들을 가지고 있는 것들이다; 나무바닥과 목조 지붕 구조는 주기적인 재건축과 함께 대체되었다. 12세기에 지어진 클뤼니의 프랑스 도시들에 있는 다수의 주택들이 좋은 예이다. 주택들은 측면 벽을 공유하게 지어졌으며 대지를 꽉 채우게 지어졌다. 뒤쪽에 액간의 채광과 환기를 제공한다. 지층의 앞쪽 방은 길쪽으로 열릴 수가 있다; 그곳은 주거 공간이라기 보다는 대개 상점이나 작업장, 또는 창고였다. 한쪽에 있는 좁은 계단은 하나의 커다란 다목적 거실이 있는 위층으로 이어졌다. 안뜰의 뒤편으로 작은 공간들이 부업과 침실로 쓰였다. 그 위의 3층은 다락방이었는데 아이들이나 하인들, 또는 인부들이 사용하였고 보관을 위해 사용되었다. 안뜰에 있는 우물이 물의 제공원이었다. 내부는 마을에 있는 주택들도 농가의 오두막들과 다를 것이 없었으나 한가지 다른 점은 마을에 있는 집들은 목재가 복층 건물에 쓰였으며 튼튼한 나무 골조와 사선으로 덧댄 버팀대가 외부에서 뿐만 아니라 내부에서도 보였다는 것이다. 우리 눈에 익은 이러한 하프 팀버의 모습은 나무로 된 구조체 사이에 플라스터와 잡석을 섞어 채워넣은 결과이다. 나무 패널 혹은 플라스터로 마
무정부 기간 동안에는 권력으로부터 생기는 모든 명령들이 지방의 세력가들로부터 행해졌고 그들은 서로 영토분쟁을 하고 그들이 선택한 방식으로 민중들을 이용하기 위하여 서로에게 위협이 되었다. 봉건적 세력가들 사이에서 끊임 없이 행해지는 공격적인 전쟁들은 평범한 삶을 수비 기술에 의존하게 만들었다. 세력가들이 가진 무기들은 칼, 창, 그리고 활과 화살이 전부였다. 갑옷을 입으면 공격자로부터 결정적인 우위를 얻게 된다. 주위에 견고한 벽으로 둘러 싸인 건물은 성을 만들었고 마을이나 도시 주위에 쌓인 벽돌은 거주자들을 상대적으로 안전하게 만들었다. 성에 거주하는 봉건 영주는 벽이 둘러 쳐진 마을에 보호를 제공할 수 있었고 종종 난폭하기도 했던 지도자와 그의 보호 아래서 착취를 당하며 사는 사람들 사이에 쌍방의 이득적인 관계가 생겨났다. 초기 중세 시대의(1000년 이전) 이런 패턴의 발전은 대개 로마네스크 양식이라는 이름으로 정의되는 디자인, 예술, 그리고 건축을 위한 환경을 제공하였다.
중세시대의 주택들을 살펴보면 대체적으로 중세 당시의 정치적, 사회적 요인에 영향을 받아 검소하고 금욕적이었다, 성관의 실내에는 기사도나 종교적인 내용의 그림을 벽화로 그렸으며, 벽걸이 장식으로 태피스트리를 걸어두었고 바닥에는 돌이나 벽돌, 타일을 깔았다. 봉건 영주들을 제외한 대부분의 사람들은 초가지붕의 돌집이나 통나무집에서 살았다. 경지에서 일하는 농노들은 박공 지붕이 있는 하나의 방으로 된 단순하고 상자처럼 생긴 목조 주택에서 살았다. 창문에는 유리가 없었고 실내는 대개 어두웠으며 대형 홀에는 화로 또는 벽난로를 이용하여 난방과 취사를 겸하였다. 집은 주거용일 뿐만 아니라 종종 외양간으로도 쓰였는데 사람과 동물들이 같은 공간을 나눠 쓰거나 아니면 최소한의 분리 만이 있었다. 또한 부엌은 농가 주택에서 가장 중요한 방이었는데, 바닥과 벽, 그리고 지붕에 쓰인 자연목은 전체성을 부여하고 벽난로의 하얀 프라스터와 검은철과 나무로 된 스토브에 의해서만 단절될 뿐이었다. 자연석을 쉽게 구할 수 있는 곳에선 주택의 벽이 종종 돌로 만들어 졌으며 나무로 만든 뼈대 위에 짚을 엮어 이엉으로 지붕을 만들었다. 이러한 집들은 아직도 남아 있으며 어떤 것들은 유럽의 외딴 시골에선 아직도 사용중이다.
마을들이 발달함에 따라 농가에 살던 가족들은 종종 경작지에 있던 집을 포기하고 그 대신 마을을 둘러싼 벽과 관문이 보호를 해주고 교회와 시장 광장이 공동 생활의 중심지를 제공해 주는 마을에 있는 집을 더 선호하게 되었다. 마을에 있는 주택들은 나무 바닥과 돌 혹은 나무로 되어 있는 계단이 있는 몇 개층의 방들로 이루어져 있었을 것이다. 이런 집들은 좁은 거리를 따라서 함께 모여 있었는데 마을을 둘러싼 벽안의 공간이 값이 더 비쌌기 때문이다. 나무가 건물의 재료였으며 주택의 위층은 조금 더 많은 내부공간을 얻기 위해서 거리 위로 돌출되어 있었다.
단순한 주택의 형태가 마을들과 함께 나타났다. 남아있는 예들은 돌로 된 벽들을 가지고 있는 것들이다; 나무바닥과 목조 지붕 구조는 주기적인 재건축과 함께 대체되었다. 12세기에 지어진 클뤼니의 프랑스 도시들에 있는 다수의 주택들이 좋은 예이다. 주택들은 측면 벽을 공유하게 지어졌으며 대지를 꽉 채우게 지어졌다. 뒤쪽에 액간의 채광과 환기를 제공한다. 지층의 앞쪽 방은 길쪽으로 열릴 수가 있다; 그곳은 주거 공간이라기 보다는 대개 상점이나 작업장, 또는 창고였다. 한쪽에 있는 좁은 계단은 하나의 커다란 다목적 거실이 있는 위층으로 이어졌다. 안뜰의 뒤편으로 작은 공간들이 부업과 침실로 쓰였다. 그 위의 3층은 다락방이었는데 아이들이나 하인들, 또는 인부들이 사용하였고 보관을 위해 사용되었다. 안뜰에 있는 우물이 물의 제공원이었다. 내부는 마을에 있는 주택들도 농가의 오두막들과 다를 것이 없었으나 한가지 다른 점은 마을에 있는 집들은 목재가 복층 건물에 쓰였으며 튼튼한 나무 골조와 사선으로 덧댄 버팀대가 외부에서 뿐만 아니라 내부에서도 보였다는 것이다. 우리 눈에 익은 이러한 하프 팀버의 모습은 나무로 된 구조체 사이에 플라스터와 잡석을 섞어 채워넣은 결과이다. 나무 패널 혹은 플라스터로 마
추천자료
- 디지털시대의 디자인정책 방향 (디자인산업)
- 중세 시대 : 영어의 변화
- 디자인 경쟁시대
- 중세 유럽도시의 주요도시의 공간구조와 도시의 주거
- 중세 시대의 세속교육
- 중세 시대에 대하여
- 21세기 디자인 경영시대의 메뉴의 디자인 전략
- 빛의 유입에 의한 공간 디자인에 관한 고찰:루이스 칸을 중심으로
- 한국건축의 거주란 -시대별 도시공간을 중심으로
- 교회사에 있어서 시대구분(Periodization) - 시대구분의 이론과 방법, 시대구분의 여러가지 ...
- 서양사의 재조명 관한 문제 및 답안 (고대~중세 시대 관련 핵심 문제와 답안, 이슬람 문화도 ...
- 국어사(國語史)의 시대 구분 방법과 각 시기의 언어적 특성 {고대 국어, 중세 국어, 근대 국...
- 정치 활동과 문화 [정치인류학 정의, 정치 기본개념, 시대별 정치, 고대정치, 중세정치, 근대...
- [문학교육론] 심청전의 작품 분석(심청의 ‘효’를 중심으로) - 심청전의 작품 소개, 심청전의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