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중국요리의 역사
. 중국요리의 특성과 지역별 특성
. 중국요리의 식단
. 음식 예절
. 중국인들이 먹는 차
. 간식 , 특별한 음식 ( 명절음식이나 고사가 들어간 음식)
. 현대 중국인들의 식생활
. 중국요리소개
. 중국요리의 특성과 지역별 특성
. 중국요리의 식단
. 음식 예절
. 중국인들이 먹는 차
. 간식 , 특별한 음식 ( 명절음식이나 고사가 들어간 음식)
. 현대 중국인들의 식생활
. 중국요리소개
본문내용
음식을 적절히 조정한뒤 간단히 밥이나 면을 곁들여 주문하면 무난하다.기호에 따라 백주나 황주 또는 콜라 등을 시켜 음료에 대신하거나 그냥 차를 요구할 수도 있다.초대를 받아갔을때는 손님이 다 모일때까지 호박씨,과일,차를 마시면서 기다리는게 예의다.손님이 다 모이면 주인의 안내로 각기 명찰이 놓인 자기 자리에 앉는다.
식사중에는 절대 과음을 삼가고 추태를 부려서는 안된다.자기의 술 양을 조절해야 하고 남에게도 과음을 강요해서는 안된다.또 정을 나눈다는 뜻으로 공동의 젓가락을 사용하지 않고 자기가 사용하던 것으로 음식을 덜어주므로 이때 다른사람에게 불쾌감을 주지 않도록 각별히 신경을 써야 한다.
여럿이 모여 식사할 때는 8∼12가지나 16가지 요리가 상에 오르기 마련인데,차가운 요리가 먼저 나오고,저렴한 요리부터 시작해 고급요리가 나오므로 먼저 몇 가지 코스인지 알아두고 중반부터 본격적으로 먹어야 한다.식사가 끝나면 주인은 손님들에게 여러 가지 음식을 싸서 돌아갈 때 나누어 주는 관습이 있다.
■ 중국의 차
■ 차의 종류
발효의 유무와 색깔에 의한 분류
* 흑차(黑茶) - 차의 잎을 건조시키기 전에 발효시킨 차이다. 차잎의 색은 흑갈색으로 찻물은 갈황색이 된다. 특이한 곰팡이 냄새가 있어 마시기 나쁜 점도 있지만 익숙해지면 독특한 풍미와 감칠맛에 반한다. 특히 광둥 요리에 잘 어울리는 차이다. 오래 된 것일수록 풍미가 증가된 귀한 것으로 여긴다. 대표적인 흑차로는 윈난성의 푸아루차와 광시성의 육보차가 있다.
* 백차(白茶) - 차잎에 흰털이 많은 특이점이 있으며, 발효도 10~20%의 발효차이다. 그 제조방법은 인위적으로 볶지 않고 천연의 햇빛으로 건조시키는 차이다. 차의 잎은 인위적으로 볶지 않고 천연의 줅빛으로 건조시키는 차이다. 차의 잎은 새하얗고 찻물은 아주 연한색이 특징이다. 맑은 향이 추출되고 생산량이 많지 않아서 귀하다. 대표적인 백차로는 푸젠성의 첸호파이무탄과 바이하오인전이 있다.
* 홍차(紅茶) - 발효도 80~90%의 완전 발효차인 홍차는 차잎과 찻물의 색이 모두 붉은 빛이다. 현재 전세계에서 마시고 있는 홍차의 원조는 중국인데, 송나라 때 생긴 것으로 전해지고 있으나 17세기 중반경부터 오늘날의 홍차와 비슷하게 되었던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일설에 의하면 영국인들이 녹차를 배에 가득 싣고 본국으로 가서 보니 차잎이 발효가 되어 홍차가 되었다고 하는 말도 있다.
어쨌든 유럽을 통해서 전세계로 번지게 되었다. 영국이 인도와 스리랑카에서 직접 차를 재배하기 전까지는 전부 중국산이었다. 중국 홍차는 인도와 스리랑카의 홍차와 비해서 쓴맛이 적고 순한 것이 특징이다.
대표적인 홍차로는 푸젠성의 쿤후 홍차와 광둥성의 인타 홍차가 있다.
* 황차(黃茶) - 차의 앞이 황색으로 찻물도 옅은 황색의 황엽황탕이 특징인 차이다. 제조법은 \'몬오우\'라고 하는 일종의 가벼운 후발효 제법을 취하고 있다. 이는 녹차와 청차의 중간적인 차로서 생산량이 적어 전문가가 좋아하는 차로 알려져 있으며, 산뜻하고 단맛이 차의 품위를 고급스럽게 한다. 대표적인 황차로는 후난성의 친산인첸과 대만의 타이완 황차가 있다.
* 청차(靑茶) - 중국 남부와 대만이 주산지인 차로서 발효의 도중에 가마에 넣어서 볶아 발효를 멈추게 한, 발효도 20~60% 정도의 반발효차이다. 이는 일반적으로 \'우룽차\'라 불리는 녹차와 홍차의 중간적인 차인데, 녹차의 산뜻함과 홍차의 깊은 맛을 합친 중국 특유의 차이다. 식사 후에 마시면 입 안이 깔끔해지고 소화를 돕는다. 대표적인 청차로는 푸젠성의 우이유엔차와 안신티엔쿠아인차, 대만의 동항 우룽차, 문산 포종차가 있다.
* 녹차(錄茶) - 차의 잎을 따서 바로 가열하여 발효시키지 않고 만든 차이다. 찌는 방법과 볶는 방법이 있는데 볶는 방법이 정통 중국식이고 떫은맛과 쓴맛이 적고 향기와 맛이 상쾌하다. 대표적인 녹차로는 저장성의 용정차와 장쑤성의 삐루오춘차가 있다.
* 화차(花茶) - 차의 잎에 꽃의 향기를 섞은 차이다. 일반적으로 녹차를 기본으로 해서 만드는데, 화차는 향과 분위기를 즐기는 것뿐만 아니라 약효가 많아서 건강에 좋고 기분을 편하게 해 준다. 꽃의 향기가 풍부해서 냄새가 있는 요리에 맞는다. 대표적인 화차로 장미꽃의 향기를 가미시킨 장쑤성의 메이구이화차, 국화꽃의 향기를 가미시킨 저장성의 바이추이차가 있으며, 화차의 대표격인 푸젠성의 모리화차는 쟈스민향을 첨가한 차인데 베이징 요리와· 쓰촨 요리에 잘 어울린다. 일명 \'쟈스민차\'라고도 한다.
■ 중국의 주요명절 고유음식
* 춘절(春節)
(음)1월1일
지아오즈(餃子: 물만두)
* 정월대보름
(음)1월15일
위엔샤오(元宵: 새알심모양의 찰떡)
* 단오
(음)5월5일
쫑즈(綜子: 찹쌀을 댓잎 또는 갈잎에 세모나게 싸서 찐 찹쌀떡)
* 중추절
(음)8월15일
위에빙(月餠: 달처럼 생긴 떡과자)
* 섣달 초여드레
(음)12월8일
라빠조우(臘八粥: 여러 가지 종류의 쌀.콩.과일 등을 넣어 만든 죽)
또한 절기에 따라 입춘에는 봄 떡을 먹고, 입하에는 국수를 먹으며, 입동에는 훈둔(얇게 빚은 일종의 물만두)을 먹는 등 여러 가지 풍부하고 다채로운 음식관련 풍속이 있다.
■ 현대 중국인들의 식생활
중국에는 \'백성이란 먹는 것을 하늘처럼 섬긴다(民以食爲天)\'라는 말이 있다. 그래서 역대 천자의 최대 과제는 백성을 어떻게 먹이느냐에 있었다. 적어도 먹게만 해주면 태평성대라고 칭송받을 수 있었다.
중국 사람들의 먹는 것에 대한 집착은 대단히 강하다. 흔히들 한국 사람들은 인간이 살아가는 데 가장 중요한 것으로 의·식·주 세 가지를 든다. 그 어느 하나도 빠져서는 살 수 없다는 뜻이다. 이 중에서 중국인들은 식을 가장 우선적으로 꼽는다. 그래서 중국인들은 먹는 것 외에는 그다지 신경을 쓰지 않는다.
중국 사람들의 결혼을 보면 재미있는 광경이 벌어진다. 한국처럼 엄숙하고 긴장되는 의식은 찾아볼 수가 없다. 그러니 예식장은 아예 없고 대신 음식점만 있을 뿐이다. 그런 것쯤이야 공증을 통해 순식간에 해결하고 손님에게는 음식점의 약도와 전화번호가 적힌 청첩장만 보내는 것으로 끝낸다. .
식사중에는 절대 과음을 삼가고 추태를 부려서는 안된다.자기의 술 양을 조절해야 하고 남에게도 과음을 강요해서는 안된다.또 정을 나눈다는 뜻으로 공동의 젓가락을 사용하지 않고 자기가 사용하던 것으로 음식을 덜어주므로 이때 다른사람에게 불쾌감을 주지 않도록 각별히 신경을 써야 한다.
여럿이 모여 식사할 때는 8∼12가지나 16가지 요리가 상에 오르기 마련인데,차가운 요리가 먼저 나오고,저렴한 요리부터 시작해 고급요리가 나오므로 먼저 몇 가지 코스인지 알아두고 중반부터 본격적으로 먹어야 한다.식사가 끝나면 주인은 손님들에게 여러 가지 음식을 싸서 돌아갈 때 나누어 주는 관습이 있다.
■ 중국의 차
■ 차의 종류
발효의 유무와 색깔에 의한 분류
* 흑차(黑茶) - 차의 잎을 건조시키기 전에 발효시킨 차이다. 차잎의 색은 흑갈색으로 찻물은 갈황색이 된다. 특이한 곰팡이 냄새가 있어 마시기 나쁜 점도 있지만 익숙해지면 독특한 풍미와 감칠맛에 반한다. 특히 광둥 요리에 잘 어울리는 차이다. 오래 된 것일수록 풍미가 증가된 귀한 것으로 여긴다. 대표적인 흑차로는 윈난성의 푸아루차와 광시성의 육보차가 있다.
* 백차(白茶) - 차잎에 흰털이 많은 특이점이 있으며, 발효도 10~20%의 발효차이다. 그 제조방법은 인위적으로 볶지 않고 천연의 햇빛으로 건조시키는 차이다. 차의 잎은 인위적으로 볶지 않고 천연의 줅빛으로 건조시키는 차이다. 차의 잎은 새하얗고 찻물은 아주 연한색이 특징이다. 맑은 향이 추출되고 생산량이 많지 않아서 귀하다. 대표적인 백차로는 푸젠성의 첸호파이무탄과 바이하오인전이 있다.
* 홍차(紅茶) - 발효도 80~90%의 완전 발효차인 홍차는 차잎과 찻물의 색이 모두 붉은 빛이다. 현재 전세계에서 마시고 있는 홍차의 원조는 중국인데, 송나라 때 생긴 것으로 전해지고 있으나 17세기 중반경부터 오늘날의 홍차와 비슷하게 되었던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일설에 의하면 영국인들이 녹차를 배에 가득 싣고 본국으로 가서 보니 차잎이 발효가 되어 홍차가 되었다고 하는 말도 있다.
어쨌든 유럽을 통해서 전세계로 번지게 되었다. 영국이 인도와 스리랑카에서 직접 차를 재배하기 전까지는 전부 중국산이었다. 중국 홍차는 인도와 스리랑카의 홍차와 비해서 쓴맛이 적고 순한 것이 특징이다.
대표적인 홍차로는 푸젠성의 쿤후 홍차와 광둥성의 인타 홍차가 있다.
* 황차(黃茶) - 차의 앞이 황색으로 찻물도 옅은 황색의 황엽황탕이 특징인 차이다. 제조법은 \'몬오우\'라고 하는 일종의 가벼운 후발효 제법을 취하고 있다. 이는 녹차와 청차의 중간적인 차로서 생산량이 적어 전문가가 좋아하는 차로 알려져 있으며, 산뜻하고 단맛이 차의 품위를 고급스럽게 한다. 대표적인 황차로는 후난성의 친산인첸과 대만의 타이완 황차가 있다.
* 청차(靑茶) - 중국 남부와 대만이 주산지인 차로서 발효의 도중에 가마에 넣어서 볶아 발효를 멈추게 한, 발효도 20~60% 정도의 반발효차이다. 이는 일반적으로 \'우룽차\'라 불리는 녹차와 홍차의 중간적인 차인데, 녹차의 산뜻함과 홍차의 깊은 맛을 합친 중국 특유의 차이다. 식사 후에 마시면 입 안이 깔끔해지고 소화를 돕는다. 대표적인 청차로는 푸젠성의 우이유엔차와 안신티엔쿠아인차, 대만의 동항 우룽차, 문산 포종차가 있다.
* 녹차(錄茶) - 차의 잎을 따서 바로 가열하여 발효시키지 않고 만든 차이다. 찌는 방법과 볶는 방법이 있는데 볶는 방법이 정통 중국식이고 떫은맛과 쓴맛이 적고 향기와 맛이 상쾌하다. 대표적인 녹차로는 저장성의 용정차와 장쑤성의 삐루오춘차가 있다.
* 화차(花茶) - 차의 잎에 꽃의 향기를 섞은 차이다. 일반적으로 녹차를 기본으로 해서 만드는데, 화차는 향과 분위기를 즐기는 것뿐만 아니라 약효가 많아서 건강에 좋고 기분을 편하게 해 준다. 꽃의 향기가 풍부해서 냄새가 있는 요리에 맞는다. 대표적인 화차로 장미꽃의 향기를 가미시킨 장쑤성의 메이구이화차, 국화꽃의 향기를 가미시킨 저장성의 바이추이차가 있으며, 화차의 대표격인 푸젠성의 모리화차는 쟈스민향을 첨가한 차인데 베이징 요리와· 쓰촨 요리에 잘 어울린다. 일명 \'쟈스민차\'라고도 한다.
■ 중국의 주요명절 고유음식
* 춘절(春節)
(음)1월1일
지아오즈(餃子: 물만두)
* 정월대보름
(음)1월15일
위엔샤오(元宵: 새알심모양의 찰떡)
* 단오
(음)5월5일
쫑즈(綜子: 찹쌀을 댓잎 또는 갈잎에 세모나게 싸서 찐 찹쌀떡)
* 중추절
(음)8월15일
위에빙(月餠: 달처럼 생긴 떡과자)
* 섣달 초여드레
(음)12월8일
라빠조우(臘八粥: 여러 가지 종류의 쌀.콩.과일 등을 넣어 만든 죽)
또한 절기에 따라 입춘에는 봄 떡을 먹고, 입하에는 국수를 먹으며, 입동에는 훈둔(얇게 빚은 일종의 물만두)을 먹는 등 여러 가지 풍부하고 다채로운 음식관련 풍속이 있다.
■ 현대 중국인들의 식생활
중국에는 \'백성이란 먹는 것을 하늘처럼 섬긴다(民以食爲天)\'라는 말이 있다. 그래서 역대 천자의 최대 과제는 백성을 어떻게 먹이느냐에 있었다. 적어도 먹게만 해주면 태평성대라고 칭송받을 수 있었다.
중국 사람들의 먹는 것에 대한 집착은 대단히 강하다. 흔히들 한국 사람들은 인간이 살아가는 데 가장 중요한 것으로 의·식·주 세 가지를 든다. 그 어느 하나도 빠져서는 살 수 없다는 뜻이다. 이 중에서 중국인들은 식을 가장 우선적으로 꼽는다. 그래서 중국인들은 먹는 것 외에는 그다지 신경을 쓰지 않는다.
중국 사람들의 결혼을 보면 재미있는 광경이 벌어진다. 한국처럼 엄숙하고 긴장되는 의식은 찾아볼 수가 없다. 그러니 예식장은 아예 없고 대신 음식점만 있을 뿐이다. 그런 것쯤이야 공증을 통해 순식간에 해결하고 손님에게는 음식점의 약도와 전화번호가 적힌 청첩장만 보내는 것으로 끝낸다. .
추천자료
음식문화의 이해
일본의 음식문화의 형성배경 일본음식의 특징 일본의 식사예절
한중일 주거문화와 음식문화 비교
[문화론]문화영역으로서의 음식문화
중국음식의 특징, 상차림 그리고 식사예절
음식문화로 살펴본 문화충격과 문화상대주의
음식문화로 살펴본 문화충격과 문화상대주의(ppt-내용중심)
음식문화로 살펴본 문화충격과 문화상대주의(ppt-애니매이션효과중심)
[식문화]일본의 음식문화와 요리의 특색 및 식사예절
[일본문화] 일본의 음식문화 - 음식문화의 특징 및 한국 음식과 비교
세계음식문화의 이해
일본 음식문화 특징, 일본 지역별 음식 특징, 일본 식사예절, 일본음식, 일본 전통과자, 일본 차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