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기독교 코드 작동 요인
1)절대 권력자 김일성의 기독교 경험
2)사회적, 정치적 조건
①해방 전후 기독교의 역사적 위치
②김일성의 체제 선택지
Ⅱ. 통치체제의 기독교적 종교양식화 실태
1) 교리 및 신념체계
2) 의식과 행위규범
1)절대 권력자 김일성의 기독교 경험
2)사회적, 정치적 조건
①해방 전후 기독교의 역사적 위치
②김일성의 체제 선택지
Ⅱ. 통치체제의 기독교적 종교양식화 실태
1) 교리 및 신념체계
2) 의식과 행위규범
본문내용
까지 매우 민감하고 중요한 정치적 이슈들에 대해 대단히 보수적인 입장을 견지해 왔다.
부시는 또 탄도탄요격미사일(ABM) 협정 탈퇴와 교토기후협약을 거부해 신보수주의자와 기업가들을 감격시켰다. 9.11이후 그는 즉각적으로 \'악의 축’에 대항, 대테러 전쟁을 불량국가들과의 전쟁으로 확대하겠다고 약속함으로써 기독교 우파에 엄청난 기대를 주고 아프간과 이라크 전쟁을 통해 기독교우파의 강력한 지지를 현재까지 받고 있다. 뿐만 아니라 기독교 우파의 세력들은 △중국 등의 종교자유의 문제 △국제적 인신매매 △수단 내전과 함께 북한 인권 문제 등의 중요한 외교 사안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지난 2004년 미 의회를 통과한 북한인권법안은 미국 내 한국인과 기독교 우파들의 압력에 의해 제정되었다고신문에서 지적하고 있다. ‘미 보수교회, 외교정책까지 영향력’ 한겨레신문, 2005,06,17
Ⅱ. 기독교 우파의 개념정리
기독교 우파을 기독교 근본주의자로 부르는 사람도 적지 않다. 오히려 대중적으로는 기독교 근본주의자라는 말이 더 호소력을 가지기도 한다. 부시가 북한, 이라크, 이란을 ‘악의 축’으로 규정하고 아프카니스탄 전쟁, 이라크 전쟁을 일으킨 부시 및 기독교 우파를 다른 기독교 세력과 구분할 필요가 생기게 되었다.
사회에 대한 기독교 우파의 일반적인 태도도 기독교 근본주의자와 다를 것이 없다. 기독교 우파는 현대 사회가 침식시킨 과거의 기독교적 문화 양상들을 회복시키고 공식적으로 제도화할 것을 요구한다. 또한 세속적인 국가에 대해 적대적이다. 이런 면에서 볼 때 기독교 우파를 기독교 근본주의자라고 하더라도 틀린 말은 아니다. 하지만 지금 기독교 우파를 주도하는 것이 어디까지나 복음주의자이다. 따라서 ‘기독교 우파=복음주의자=근본주의적’이라고 정리하면 무난하다.
Ⅲ. 기독교 우파의 정치세력화
1)정치세력화의 역사
- 옛 기독교 우파
19C에 기독교 우파는 기성 정치권에 생명력을 불어넣는 세력이었다. 이들은 이신론과 싸웠고 금주운동, 카톨릭계 이민을 제한하고 남북전쟁 이후 반 세기 동안 기독교 우파는 자유주의와 근대주의 세력에 맞서 자신들의 가치를 수호하기 위한 보수적인 ‘문화 십자군 운동’을 벌였다. 그러나 WW1 이후 급속한 도시화, 과학과 기술의 확산, 비개신교 이민자 사회 내의 높은 출산율 등으로 인해 주요 문화세력이라는 성격을 잃었다.
- 기독교 우파의 성장 (1980년대까지)
기독교 우파의 첫 번째 변화는 1960년대의 대통령 선거에서 나타났다. 당신 민주당이 가톨릭 교도인 존 케네디(John F. Kennedy)를 대통령 후보로 지명하자 가톨릭에 대한 반감이 되살아나 많은 남부의 개신교도들이 공화당 후보인 리처드 닉슨 쪽으로 옮겨갔다. 이들은 1964년 대선 때에는 공화당 상원의원인 배리 골드워터를 지지했다. 1968년에는 남부 출신인 조지 윌리스가 독자 후보로 나와 종교적 보수 교파에 속하는 남부 백인으로부터 강력한 지지를 받았다. 1976년 민주당 후보로 나온 지미 카터는 남침례교의 주일학교 교사였다. 그의 당산은 기
부시는 또 탄도탄요격미사일(ABM) 협정 탈퇴와 교토기후협약을 거부해 신보수주의자와 기업가들을 감격시켰다. 9.11이후 그는 즉각적으로 \'악의 축’에 대항, 대테러 전쟁을 불량국가들과의 전쟁으로 확대하겠다고 약속함으로써 기독교 우파에 엄청난 기대를 주고 아프간과 이라크 전쟁을 통해 기독교우파의 강력한 지지를 현재까지 받고 있다. 뿐만 아니라 기독교 우파의 세력들은 △중국 등의 종교자유의 문제 △국제적 인신매매 △수단 내전과 함께 북한 인권 문제 등의 중요한 외교 사안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지난 2004년 미 의회를 통과한 북한인권법안은 미국 내 한국인과 기독교 우파들의 압력에 의해 제정되었다고
Ⅱ. 기독교 우파의 개념정리
기독교 우파을 기독교 근본주의자로 부르는 사람도 적지 않다. 오히려 대중적으로는 기독교 근본주의자라는 말이 더 호소력을 가지기도 한다. 부시가 북한, 이라크, 이란을 ‘악의 축’으로 규정하고 아프카니스탄 전쟁, 이라크 전쟁을 일으킨 부시 및 기독교 우파를 다른 기독교 세력과 구분할 필요가 생기게 되었다.
사회에 대한 기독교 우파의 일반적인 태도도 기독교 근본주의자와 다를 것이 없다. 기독교 우파는 현대 사회가 침식시킨 과거의 기독교적 문화 양상들을 회복시키고 공식적으로 제도화할 것을 요구한다. 또한 세속적인 국가에 대해 적대적이다. 이런 면에서 볼 때 기독교 우파를 기독교 근본주의자라고 하더라도 틀린 말은 아니다. 하지만 지금 기독교 우파를 주도하는 것이 어디까지나 복음주의자이다. 따라서 ‘기독교 우파=복음주의자=근본주의적’이라고 정리하면 무난하다.
Ⅲ. 기독교 우파의 정치세력화
1)정치세력화의 역사
- 옛 기독교 우파
19C에 기독교 우파는 기성 정치권에 생명력을 불어넣는 세력이었다. 이들은 이신론과 싸웠고 금주운동, 카톨릭계 이민을 제한하고 남북전쟁 이후 반 세기 동안 기독교 우파는 자유주의와 근대주의 세력에 맞서 자신들의 가치를 수호하기 위한 보수적인 ‘문화 십자군 운동’을 벌였다. 그러나 WW1 이후 급속한 도시화, 과학과 기술의 확산, 비개신교 이민자 사회 내의 높은 출산율 등으로 인해 주요 문화세력이라는 성격을 잃었다.
- 기독교 우파의 성장 (1980년대까지)
기독교 우파의 첫 번째 변화는 1960년대의 대통령 선거에서 나타났다. 당신 민주당이 가톨릭 교도인 존 케네디(John F. Kennedy)를 대통령 후보로 지명하자 가톨릭에 대한 반감이 되살아나 많은 남부의 개신교도들이 공화당 후보인 리처드 닉슨 쪽으로 옮겨갔다. 이들은 1964년 대선 때에는 공화당 상원의원인 배리 골드워터를 지지했다. 1968년에는 남부 출신인 조지 윌리스가 독자 후보로 나와 종교적 보수 교파에 속하는 남부 백인으로부터 강력한 지지를 받았다. 1976년 민주당 후보로 나온 지미 카터는 남침례교의 주일학교 교사였다. 그의 당산은 기
추천자료
과학기술발전으로 인한 사회의 특징과 변화 및 형법적 대응과제
[공산주의][공산주의 붕괴][소련][동독][동유럽][중국]공산주의 이론, 소련 공산주의의 붕괴,...
거주,이동의 변화를 통해 본 북한 사회의 변화
과학 기술과 환경 문제 [심층생태론, 과학기술낙관론, 사회생태론]
식량문제(식량부족문제) 원인, 식량문제(식량부족문제)와 국제사회, 식량문제(식량부족문제)...
식량문제(식량부족문제)와 국제사회, 식량문제(식량부족문제)와 한반도, 식량문제(식량부족문...
[과학기술]과학기술의 발전과정, 과학기술의 실태, 과학기술과 정치 및 사회, KAIST(카이스트...
[한국사회문제C] 과학·기술·의료·환경과 같은 문제에서 전문가의 말을 맹신하지 않고 사회적 ...
사회복지조사론 전단원 중요핵심 요약 총정리 사회복지사 1급 시험준비 (과학적 방법과 조사...
아주대 기술과사회 독서보고서 [교재 요약+독후감] 6장 - 과학 정신의 태동
종교와 다섯가지 사회제도 [종교와 정치, 종교와 경제, 종교와 가족, 종교와 교육, 종교와 과학]
현대사회학이론,정보과학의 폭탄,지각하는 신체의 해체,전자적 판옵티콘의 등장
[성사랑사회C형] 여성들의 몸에 가해지는 억압이나 사회적 통제 중에서, 과학과 의료의 이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