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식물표본 채집에 필요한 도구
가.채집도구
2.표본건조에 필요한 도구와 장비
3.채집표본의 운반
4.대지작업에 필요한 도구와 재료
5.식물채집
가.채집식물 관리
나.채집대상 선정
다.복제표본 확보
마.채집번호
바.채집정보 기록
사.분류군별 채집 요령
가.채집도구
2.표본건조에 필요한 도구와 장비
3.채집표본의 운반
4.대지작업에 필요한 도구와 재료
5.식물채집
가.채집식물 관리
나.채집대상 선정
다.복제표본 확보
마.채집번호
바.채집정보 기록
사.분류군별 채집 요령
본문내용
식물표본을 채집하는 방법
식물 표본 채집에 필요한 도구장비의 양은 전적으로 얼마만큼의 표본을 채집할 것인가에 달려있다. 국내지역인 경우 장기적으로 채집을 하는 경우는 드물고 대개 표본을 누르고 건조하는 작업도 실내에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으므로 채집도구나 장비이 수와 양이 현저하게 줄어든다. 그러나 해외채집의 경우 현지에서 전문 장비를 구하는 것이 대단히 어렵기 때문에 고장이나 분실 등의 비상상활에 대한 준비가 필요하다.
채집 도구
채집용 연장-전정가위, 주머니칼:식물의 줄기나 뿌리를 자르는데 이용한다.-고지가위, 고지톱: 높은 곳에 위치한 식물을 채집할 때 이용한다.-호미: 큰 포기로 착생하는 벼과, 사초과 식물을 채집할 때 이용한다.-삽, 모종삽: 뿌리나 구근 등을 채집할 때 이용한다.-끌, 망치: 바위에 붙은 선태류, 지의류 등을 채집할 때 이용한다.-보호장갑: 작업시에 착용한다.-비닐주머니: 채집 표본을 담아 운반하거나 생체를 채집해 뿌리를 감쌀 때 이용한다.-야책 및 흡습지: 쉽게 건조되어 운반이 불가능한 식물을 현장에서 누를 때 사용한다.-GPS: 채집지의 좌표정보를 기록하기 위해 사용한다.-배낭: 채집물을 운반할 때 사용한다.-망원경 및 확대경: 수관관찰 및 식물형태를 관찰할 때 사용한다.-지도: 지형도 등을 이용하여 채집지역의 지형 등을 파악하기 위해 사용한다.-번호표: 채집번호를 기록하는데 이용한다.-플라스틱병: 액침표본을 채집할 때 이용한다.-고정액: 부속채집물을 위해 사용한다.-쿨러: 생체 및 채집표본을 보관하고 운반할 때 이용한다.-필기구: 야외에서의 채집활동 관련 필요한 정보의 기록에 필요하다.
채집물 압박도구-전정가위: 채집품을 누르기 위해 줄기나 잎을 자르고 정리할 때 사용한다.-표본간지: 표본이 건조될 때까지 표본을 보호하고 지지한다.-흡습지: 표본사이에 끼워 표본에서 나오는 습기를 빨아들이는 역할을 한다.-야책: 나무, 금속 등으로 이루어진 격자모양의 판이다.-야책끈: 미끄러지지 않도록 면으로 된 것이 좋고 조였을 때 힘을 지탱할 수 있는 철재 조임쇠가 있어야 한다.-통풍관: 알루미늄으로 만든 것이 효과적이나 대개의 경우 종이로 된 골판지를 사용한다.-판지: 알코올법으로 처리한 표본을 지지하거나 건조된 표본을 포장할 때 아래위로 받쳐 표본을 지지하고 보호한다.-고정지: 줄기의 접힌 부분을 고정하기 위해 사용한다.-화장지: 부드러운
식물 표본 채집에 필요한 도구장비의 양은 전적으로 얼마만큼의 표본을 채집할 것인가에 달려있다. 국내지역인 경우 장기적으로 채집을 하는 경우는 드물고 대개 표본을 누르고 건조하는 작업도 실내에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으므로 채집도구나 장비이 수와 양이 현저하게 줄어든다. 그러나 해외채집의 경우 현지에서 전문 장비를 구하는 것이 대단히 어렵기 때문에 고장이나 분실 등의 비상상활에 대한 준비가 필요하다.
채집 도구
채집용 연장-전정가위, 주머니칼:식물의 줄기나 뿌리를 자르는데 이용한다.-고지가위, 고지톱: 높은 곳에 위치한 식물을 채집할 때 이용한다.-호미: 큰 포기로 착생하는 벼과, 사초과 식물을 채집할 때 이용한다.-삽, 모종삽: 뿌리나 구근 등을 채집할 때 이용한다.-끌, 망치: 바위에 붙은 선태류, 지의류 등을 채집할 때 이용한다.-보호장갑: 작업시에 착용한다.-비닐주머니: 채집 표본을 담아 운반하거나 생체를 채집해 뿌리를 감쌀 때 이용한다.-야책 및 흡습지: 쉽게 건조되어 운반이 불가능한 식물을 현장에서 누를 때 사용한다.-GPS: 채집지의 좌표정보를 기록하기 위해 사용한다.-배낭: 채집물을 운반할 때 사용한다.-망원경 및 확대경: 수관관찰 및 식물형태를 관찰할 때 사용한다.-지도: 지형도 등을 이용하여 채집지역의 지형 등을 파악하기 위해 사용한다.-번호표: 채집번호를 기록하는데 이용한다.-플라스틱병: 액침표본을 채집할 때 이용한다.-고정액: 부속채집물을 위해 사용한다.-쿨러: 생체 및 채집표본을 보관하고 운반할 때 이용한다.-필기구: 야외에서의 채집활동 관련 필요한 정보의 기록에 필요하다.
채집물 압박도구-전정가위: 채집품을 누르기 위해 줄기나 잎을 자르고 정리할 때 사용한다.-표본간지: 표본이 건조될 때까지 표본을 보호하고 지지한다.-흡습지: 표본사이에 끼워 표본에서 나오는 습기를 빨아들이는 역할을 한다.-야책: 나무, 금속 등으로 이루어진 격자모양의 판이다.-야책끈: 미끄러지지 않도록 면으로 된 것이 좋고 조였을 때 힘을 지탱할 수 있는 철재 조임쇠가 있어야 한다.-통풍관: 알루미늄으로 만든 것이 효과적이나 대개의 경우 종이로 된 골판지를 사용한다.-판지: 알코올법으로 처리한 표본을 지지하거나 건조된 표본을 포장할 때 아래위로 받쳐 표본을 지지하고 보호한다.-고정지: 줄기의 접힌 부분을 고정하기 위해 사용한다.-화장지: 부드러운
추천자료
곤충관찰의 효율적인 교육 기법- 곤충의 이해와 관찰 -
시대별건축의 형태 - 도시건축
성의 역사
원주천의 어류상 및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상
패총을 통해 본 신석기인들의 생활
과학과 기술의 역사 - 전쟁과 병기
[음식문화][식생활][멕시코][프랑스][터키][중국][일본][한국]멕시코와 프랑스의 음식문화(식...
벌꿀의 기능적 특성과 활용
[한국음식] 한국음식의 세계화
인도페놀법
[해조류, 해조류 정의, 해조류 조사방법, 해조류 구분, 해조류 표본제작법, 해조류양식]해조...
[일상생활사] 쌀의 원산지와 어원 및 역사 그리고 일제의 쌀 수탈정책 및 한미 FTA와 농촌현실
육식음식 금기의 문화사
성에 대한 올바른 생각 [신석기 시대 성역할, 중국 성 금기 시초, 서양 성관념 변천 과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