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문학교육에서 평가를 보는 관점과 자기평가의 중요성
Ⅱ. 교과서에 제시된 ‘자기 점검’의 유형과 구성
1. 중학교 《국어》
2. 고등학교 《국어》
3. 심화선택 《문학》
4. 《우리말 우리글》
Ⅲ. 교과서에 제시된 ‘자기점검’에 대한 비판
<참고문헌>
Ⅱ. 교과서에 제시된 ‘자기 점검’의 유형과 구성
1. 중학교 《국어》
2. 고등학교 《국어》
3. 심화선택 《문학》
4. 《우리말 우리글》
Ⅲ. 교과서에 제시된 ‘자기점검’에 대한 비판
<참고문헌>
본문내용
가 방식은 그 유형이 서술형과 선택형으로만 제시되어 있어 다양한 평가유형을 나타내지 못했다는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는데, 《문학》에서는 이러한 점검하기를 어떻게 구성하고 있는지 살펴보도록 하자.
심화선택 과목《문학》11종을 살펴보았는데, 유형은 크게 자기평가, 자기/상호평가, 자기/상호/교사평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자기평가의 경우는 11종 중에 8종이 해당되는데, 대부분이 선택형(상/중/하, 1/2/3, 그렇다/보통이다/아니다, 평정척도, 농도선택형)이다. <블랙박스>의 경우는 평가중점내용을 먼저 4~5항목 정도를 제시한 후에 그와 관련해서 지식평가와 행동평가로 나누어 제시하고 있는데, 지식평가로 ㅇ ×형을, 행동평가로 서술형을 요구하고 있다.
평가와 ‘보충심화’의 관련성은 대부분 ‘대단원 마무리’에서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중단원이 끝나고 평가가 이루어지는 경우도 있다. 대체로 평가 후에는 ‘보충심화’로 나누어지고 있다. 하지만 ‘보충심화’로 아예 나누어지지 않거나, <상문연구사>의 경우처럼 구분이 명확하지는 않지만 ‘확인활동개별활동모둠활동(심화)’으로 나누고 있는 것으로 보아 ‘보충심화’로 나누어진다고 판단되는 경우도 있다. 그리고 대부분이 평가 후 ‘보충심화’로 나누어지는 경우에 기준이 제시되어 있지 않아 학습자 스스로 보충이나 심화를 선택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금성>과 <블랙박스>는 평가항목에 점수를 부여하고 있어 상대적으로 보충심화로의 선택의 기준이 분명히 제시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평가항목의 진술형태로는 평서형(~이해할 수 있다, 수용할 수 있다, 창작할 수 있다 등)과 의문형(~이해할 수 있는가?, 파악할 수 있는가?, 창작할 수 있는가? 등)으로 나누어진다.
자기/상호평가와 자기/상호/교사평가의 경우는 기존의 자기평가 위주에서 벗어나 새로운 평가유형을 보여주고 있다는 데 의의가 있다. 하지만 세부 평가 유형으로는 상/중/하의 선택형에 그치고 있고, ‘보충심화’로의 선택 기준이 명확히 제시하지 않고 있어 아쉬움을 남긴다.
그리고 11종 중에서 <문원각>의 경우는 평가 부분이 제시되고 있지 않다.
<블랙박스 상권 >
Ⅰ. 문학의 특성 - 스스로 평가하기
평가중점 1. 문학이 형상화하는 삶의 다양한 모습을 이해할 수 있는가?
2. 시를 읽고 작자의 삶의 태도에 대해 말할 수 있는가?
3. 일상적 표현과 문학적 표현을 비교해서 이해할 수 있는가?
4. 문학 언어의 인식적 가치에 대
심화선택 과목《문학》11종을 살펴보았는데, 유형은 크게 자기평가, 자기/상호평가, 자기/상호/교사평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자기평가의 경우는 11종 중에 8종이 해당되는데, 대부분이 선택형(상/중/하, 1/2/3, 그렇다/보통이다/아니다, 평정척도, 농도선택형)이다. <블랙박스>의 경우는 평가중점내용을 먼저 4~5항목 정도를 제시한 후에 그와 관련해서 지식평가와 행동평가로 나누어 제시하고 있는데, 지식평가로 ㅇ ×형을, 행동평가로 서술형을 요구하고 있다.
평가와 ‘보충심화’의 관련성은 대부분 ‘대단원 마무리’에서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중단원이 끝나고 평가가 이루어지는 경우도 있다. 대체로 평가 후에는 ‘보충심화’로 나누어지고 있다. 하지만 ‘보충심화’로 아예 나누어지지 않거나, <상문연구사>의 경우처럼 구분이 명확하지는 않지만 ‘확인활동개별활동모둠활동(심화)’으로 나누고 있는 것으로 보아 ‘보충심화’로 나누어진다고 판단되는 경우도 있다. 그리고 대부분이 평가 후 ‘보충심화’로 나누어지는 경우에 기준이 제시되어 있지 않아 학습자 스스로 보충이나 심화를 선택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금성>과 <블랙박스>는 평가항목에 점수를 부여하고 있어 상대적으로 보충심화로의 선택의 기준이 분명히 제시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평가항목의 진술형태로는 평서형(~이해할 수 있다, 수용할 수 있다, 창작할 수 있다 등)과 의문형(~이해할 수 있는가?, 파악할 수 있는가?, 창작할 수 있는가? 등)으로 나누어진다.
자기/상호평가와 자기/상호/교사평가의 경우는 기존의 자기평가 위주에서 벗어나 새로운 평가유형을 보여주고 있다는 데 의의가 있다. 하지만 세부 평가 유형으로는 상/중/하의 선택형에 그치고 있고, ‘보충심화’로의 선택 기준이 명확히 제시하지 않고 있어 아쉬움을 남긴다.
그리고 11종 중에서 <문원각>의 경우는 평가 부분이 제시되고 있지 않다.
<블랙박스 상권 >
Ⅰ. 문학의 특성 - 스스로 평가하기
평가중점 1. 문학이 형상화하는 삶의 다양한 모습을 이해할 수 있는가?
2. 시를 읽고 작자의 삶의 태도에 대해 말할 수 있는가?
3. 일상적 표현과 문학적 표현을 비교해서 이해할 수 있는가?
4. 문학 언어의 인식적 가치에 대
추천자료
2000년 3월 육군 1차 국어
국문학-1930년대 모더니즘
국문학사 만해 한용운
[국문학] 삼태성(三台星) 원문과 해석
[국문학개론] 국문학사 - 1960년대 소설에 대해서
통사론으로 본 국어 높임법 연구
2007년 2학기 국어사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석보상절)
[방송대 국어국문학과4]황진이의 삶으로 보는 북한소설의 로맨스와 묘사방법 및 황진이의 작...
[국문학] 1990년대 문학 특징과 은희경의 '타인에게 말걸기' 작품세계 및 작품분석
[국문학] 단어의 구성과 유형
공무원 시험 국어 합격 전략서
[국문학개론] - 동유럽 지역의 한국어 교육과 문법 교육,동유럽 각국 대학교의 한국어 교육, ...
[국문학개론] - 중국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문법 교육의 현황과 개선 방안,한국어 교육에...
[문학교육] 만화 매체와 국어 교육 - 문화 현상에 대한 적극적 탐구와 이를 기반으로 한 교육...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