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Ⅱ-1 다양한 화자와 다양한시각
Ⅱ-2 「난.쏘.공」의 대립적 세계 인식- 뫼비우스의 띠
Ⅱ-3 서술적특징
Ⅱ-4 난쏘공의 한계- 현실인식의 문제점
Ⅲ. 결론
Ⅳ. 참고문헌
Ⅱ. 본론
Ⅱ-1 다양한 화자와 다양한시각
Ⅱ-2 「난.쏘.공」의 대립적 세계 인식- 뫼비우스의 띠
Ⅱ-3 서술적특징
Ⅱ-4 난쏘공의 한계- 현실인식의 문제점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는 손때가 까맣게 묻었다. 아버지와지섭은 우리에게 대기권 밖을 날아다니는 사람들로 보였다. 두사람은 하루에도 몇 번씩 달을 왕복하였다. 조세희,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공」, 『힌국소설문학대계51』, 동아출판사, 1995, p.103
조세희는 스타카토 문체를 사용하면서, 그 내용까지 환상적이고 시적인 부분에서 벗어나지 못한 우를 범하고 말았던 것이다. 이는 노동문제라는 현실적인 문제의 해결을 꿈의 세계로 집어 넣음으로써 그 진정한 형상화에 실패하고 말았다는 평을 받게 되었다. 문흥술, 위의책, p. 168.
Ⅲ. 결론
위에서 살펴보았듯이 조세희는 <난쏘공>으로 1970년대 소설사에서 결코 빼놓을 수 없는 위치를 차지한다. <난.쏘.공>은 연작 형식이라는 새로운 형식에 문체 또한 다른 소설에서 볼 수 없는 새로운 형식을 제시한다.
리얼리즘과 반 리얼리즘의 접합으로 혼돈과 질서의 화해와 조화는 소설의 내용에서뿐만 아니라 그 소설을 구성하고 있는 형식과 문체에서도 반영이 된 것이다. 뫼비우스의 띠와 에필로그사이에서 다양한 화자의 시각에서 한곳에 치우치지 않은 현실인식과 그 모든 시각을 수학선생의 입을 빌려 한곳으로 집중시키고 , 자칫 흐트러질 수 있는 주제 의식을 다시 확인 시켜주는 형식은 전대에서 찾아보기 힘든 형식임을 부인할 수 없다. 또한 스타카토 문체는 현실을 그대로 서술하기보다. 환상적 보여주기 식으로 독자로 하여금 현실을 더욱 가까이 체험하게 한다. 이모든 장치들이 많은 평론가로 하여금. 소설의 평면적 성격을 넘어설 수 있게 해주는 것이며 동시에 문학의 위치를 현실 지형의 위상 속에 다시금 사고하게 해주었다는 평을 하게 만들었다. 이성욱, 위의 책, p. 543.
내용 면에서는 경제 발전만을 강조하던 시기에 노동자의 문제를 다루었다는 것 자체가 주목받는 일이었지만. 현실과 환상의 결합된 모습을 보이면서, 궁극적인 의미로 사랑을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에게 기존 질서에 순응하기보다 불의에 대해 순수하게 분노하기를 요구하는데 있다. 무한히 양적인 축척을 추구하는 이 사회의 맹목적인 흐름을 멈추기 위해 우리에게 적극적인 비관주의를 요청한다. 하지만. 그 분노가 현실에서 살인과 폭력으로 끝을 맺는다는점. 죽음과 환상속에서 해결책을 찾는다는 것이 결점으로 남아있다. 정재원, 위의 책, p. 356.
<참고문헌>
장석주,20세기 한국문학의 탐험, 시공사
정재원, 「경험과 상상력」, 『현역 중진 작가 연구Ⅰ』, 1997
조세희,「환경파괴」,『난장이마을의 유리병정』,문학과 지성, 1978
우찬제, 『욕망의시학』,문학과지성사,1993
우찬제, 「복합 시선, 그 심미적 이성의 열린 가능성」,『상처와 상징』, 민음사, 1994
문흥술,「뫼비우스 띠와 연작형, 그리고 난장이의 죽음」,『1970년대 문학연구』,1994
조세희, 『한국소설문학 대계 51』, 동아출판사, 1995
이성욱, 「우리시대의 죄, 혹은 죄의식」, 『한국소설문학대계51』, 1995, 동아출판사
조세희,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공」, 『힌국소설문학대계51』, 동아출판사, 1995
조세희는 스타카토 문체를 사용하면서, 그 내용까지 환상적이고 시적인 부분에서 벗어나지 못한 우를 범하고 말았던 것이다. 이는 노동문제라는 현실적인 문제의 해결을 꿈의 세계로 집어 넣음으로써 그 진정한 형상화에 실패하고 말았다는 평을 받게 되었다. 문흥술, 위의책, p. 168.
Ⅲ. 결론
위에서 살펴보았듯이 조세희는 <난쏘공>으로 1970년대 소설사에서 결코 빼놓을 수 없는 위치를 차지한다. <난.쏘.공>은 연작 형식이라는 새로운 형식에 문체 또한 다른 소설에서 볼 수 없는 새로운 형식을 제시한다.
리얼리즘과 반 리얼리즘의 접합으로 혼돈과 질서의 화해와 조화는 소설의 내용에서뿐만 아니라 그 소설을 구성하고 있는 형식과 문체에서도 반영이 된 것이다. 뫼비우스의 띠와 에필로그사이에서 다양한 화자의 시각에서 한곳에 치우치지 않은 현실인식과 그 모든 시각을 수학선생의 입을 빌려 한곳으로 집중시키고 , 자칫 흐트러질 수 있는 주제 의식을 다시 확인 시켜주는 형식은 전대에서 찾아보기 힘든 형식임을 부인할 수 없다. 또한 스타카토 문체는 현실을 그대로 서술하기보다. 환상적 보여주기 식으로 독자로 하여금 현실을 더욱 가까이 체험하게 한다. 이모든 장치들이 많은 평론가로 하여금. 소설의 평면적 성격을 넘어설 수 있게 해주는 것이며 동시에 문학의 위치를 현실 지형의 위상 속에 다시금 사고하게 해주었다는 평을 하게 만들었다. 이성욱, 위의 책, p. 543.
내용 면에서는 경제 발전만을 강조하던 시기에 노동자의 문제를 다루었다는 것 자체가 주목받는 일이었지만. 현실과 환상의 결합된 모습을 보이면서, 궁극적인 의미로 사랑을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에게 기존 질서에 순응하기보다 불의에 대해 순수하게 분노하기를 요구하는데 있다. 무한히 양적인 축척을 추구하는 이 사회의 맹목적인 흐름을 멈추기 위해 우리에게 적극적인 비관주의를 요청한다. 하지만. 그 분노가 현실에서 살인과 폭력으로 끝을 맺는다는점. 죽음과 환상속에서 해결책을 찾는다는 것이 결점으로 남아있다. 정재원, 위의 책, p. 356.
<참고문헌>
장석주,20세기 한국문학의 탐험, 시공사
정재원, 「경험과 상상력」, 『현역 중진 작가 연구Ⅰ』, 1997
조세희,「환경파괴」,『난장이마을의 유리병정』,문학과 지성, 1978
우찬제, 『욕망의시학』,문학과지성사,1993
우찬제, 「복합 시선, 그 심미적 이성의 열린 가능성」,『상처와 상징』, 민음사, 1994
문흥술,「뫼비우스 띠와 연작형, 그리고 난장이의 죽음」,『1970년대 문학연구』,1994
조세희, 『한국소설문학 대계 51』, 동아출판사, 1995
이성욱, 「우리시대의 죄, 혹은 죄의식」, 『한국소설문학대계51』, 1995, 동아출판사
조세희,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공」, 『힌국소설문학대계51』, 동아출판사, 1995
키워드
추천자료
현대소설 이론의 통합적 논리 구축을 위한 반성적 소고
현대소설의비평
(한국현대소설작가론) 김영하론
[현대소설]마르셀 프루스트 -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작품 분석 및 비평
[현대소설론] '통도사 가는 길' 비평
[현대소설]헤밍웨이의 `살인자들` 서사구조 분석
2010년 2학기 현대소설론 중간시험 핵심체크
한국 현대소설의 이해와 역사
[현대소설감상] 김유정-만무방
2014년 2학기 현대소설론 중간시험과제물 공통(등장인물의 특징과 갈등양상, 형상화방식)
2015년 2학기 현대소설론 중간시험과제물 공통(등장인물의 특징과 갈등양상, 형상화방식)
2016년 2학기 현대소설론 중간시험과제물 공통(노년인물에 대한 형상화를 비교, 분석)
[현대소설 작가연구] 기억에 의존하는 (체험의 형상화를 지향하는) 작가 김소진
[현대소설론 공통] 다음 작품 중 두 편을 선택하여 읽고, 작품에 드러난 아버지상과 이를 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