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강쇠가 갈등 구조 해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변강쇠가 갈등 구조 해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괄
Ⅱ. 선행연구검토
Ⅲ. 『변강쇠가』 해석을 위한 몇 가지 제언
Ⅳ. 『변강쇠가』 갈등 구조를 통한 해석
Ⅴ. 결어

본문내용

의 성격을 녹여내고자 한 것이 기본적인 생각이므로 그에 충실하고자 하였다.
두 번째 발표에서는 우선 다른 작품과의 비교를 지양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작품의 비교는 적어도 비교 문학 문화의 차원에서 다루어져야 한다. 서양의 작품과의 비교는 특히 그러하다. 한 시기의 사회의식과 철학은 선행 시기의 철학과 사회에 대한 반성과 각성에 근거한다. 하기에 사(史)적 흐름 속에서 작품의 위치한 횡단면을 제시한다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역사와 철학, 혹은 사회상의 변화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 없이 대상이 위치한 종단면만을 보는 것은 잘못된 비교의 기준으로써 작품을 왜곡시키는 것에 불과할 뿐이다.
따라서 2차 발표에서는 첫 번째 발표에서 도출된 주제의식과 유리되지 않는 범주에서 제시된 몇 가지 의문들에 대한 답변을 다루고자 하였다. 그중 주되게 논의되었던 것은 후반부에 옹녀가 사라지는 것에 대한 의문, 사설로만 전승될 뿐 소설로 정착되지 않은 것에 대한 의문이었다. 특히 2차 발표에서 하나의 완결된 논지로 제시될 후자의 경우, 자료의 미비로 인하여 상식의 선에서 생각할 수밖에 없었다. 즉 변강쇠가를 제외한 판소리계 소설이 소설로서 정착된 경로나, 미적 특질, 수용자층의 요구 등을 판단하고, 이들이 가진 변강쇠가와의 상이점을 근거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옹녀가 사라지는 부분에 대해서는 1차 발표에서 도출된 주제 의식에 준하는 범위에서 발표조 나름의 상상력으로 그 결말을 추론하는 것으로 마무리 짓고자 한다.
Ⅱ. 선행연구 검토
발표에 앞서 우리는 변강쇠가가 지금껏 어떤 의미로 해석되어 왔는가에 대한, 즉 『변강쇠가』를 바라보는 여러 관점들을 두루 살펴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먼저 『변강쇠가』가 유랑하는 하층민의 애환을 달래기 위해 그들의 생활상이라는 비극적 구조를 희극적 방법으로 표현 하고 있다는 해석이 있다. 생존을 위해 온갖 짓을 다해야 하는 불행한 인물들이 죽거나 파멸하는 비극적 삶의 종말을 희극적으로 보여 준다는 것이다. 비극적 삶의 이야기가 희극적으로 나타나는 까닭은 유랑 광대패가 청중이나 관중을 즐겁게 해주기 위해서 비참하고 불행한 자신들의 삶의 모습을 희극적으로 변형 시켰기 때문이다. 『변강쇠가』에서 유랑하는 하층민의 애환과 정착의지는 주로 옹녀를 통해 표현되고 있으며, 강쇠의 치상을 위해 옹녀 주변에 몰려들었던 천민들은 이야기의 중간에 사라져버린 옹녀의 삶의 방향이 유랑민들과 어울려 떠돌면서 생존을 위해 몸을 팔아 먹고사는 하층 천민으로 전락 할 수밖에 없음을 암시한다고 본다.
다음으로는 강쇠와 옹녀를 사회적 관점으로 바라본 해석이 있다.
이는 다시 두 가지로 요약 될 수가 있는데 그 중 하나는 강쇠를 보수 세력에 저항하는 혁명가로, 그리고 옹녀를 기존체제를 고수 하려는 보수 세력으로 보는 것이다. 이는 장승을 뽑아 패려는 강쇠가 이를 극구 말리는 옹녀와의 사이에서 일어나는 대립을 중점적으로 다룬 해석이다. 여기서 장승은 관권의 상징으로 해석되는데 그 이유는 강쇠를 벌하기 위해 열어진 장승회의에서 각지에서 ‘사십이관’등으로 표현된 관이 나오고, 이는 그 당시 관직을 뜻하는 것으로 풀이되기 때문이다. 옹녀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강쇠는 결국 장승을 패어 불을 지피고, 이는 장승으로 상징되는 집단적 세력인 관권에 대한 대항이며 이로 인해 죽음을 맞이하게 된다고 보는 입장이다.
두 번째는 옹녀를 북쪽 혁명 세력으로, 그리고 강쇠를 남쪽 혁명세력으로 보는 해석이다. 이들이 만나서 살아가게 되는 지리산은 그 세대 정권에 대한하는 북과 남의 혁명가들의 집결지이며, 이 곳에서 규합하여 혁명을 도모 하지만 관군에 의해 토벌당하게 되고 그곳에서 억울하게 죽은 강쇠가 한을 풀지 못하고 죽은 것이며, 그 변강쇠의 한을 뎁득이로 대표되는 하층 유랑민, 즉 민중이 그 넋을 달래어 준다는 해석이다.
이 외에도 여성주의적 시각에서 바라보는 몇 가지 관점이 존재하나 위의 내용들과 사실상 중첩되는 부분이 많고, 작품의 해석에 있어 생기는 이견들이 아니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Ⅲ. 「변강쇠가의 해석」을 위한 몇 가지 제언
여기에서는 선행연구에 대한 몇 가지의 이견들을 제시함으로써 우리가 제시하고자 하는 주제의식을 뚜렷이 하고자 한다. 주된 논박의 대상은 『변강쇠가』를 사회적으로 해석하고자하는 기도에 대한 부분들이다. 변강쇠가에 사회성을 부여하고자 하는 주장들은 크게 세 가지 범주에서 다룰 수 있다.
① 유랑민의 애환을 다룬 작품이라는 시각,
② 강쇠를 공동체 전복을 기도하는 혁명가로 옹녀를 기존 체제를 고수하려는 보수적 세력으 로 파악하는 시각,
③ 강쇠를 남쪽의 혁명세력으로 옹녀를 북쪽의 혁명세력으로 규정, 이 두 세력이 담합하여 지리산에서 근거를 마련했다는 시각이 그것이다.
이들의 공통점은 장승을 관권, 혹은 기존의 공동체성을 담보하는 상징물로 보고 있다는 점이다. 이후 잠시 언급하겠지만, 장승은 그것 스스로 하나의 완결된 의미를 가지지 못한다. 강쇠에 의해 장작으로 패어져 아궁이(조왕)에 들어가는 일련의 상황 속에서 파악해야 하는 것이다. 따라서 장승을 팬 강쇠를 배제한 채로 장승에 대해 갑론을박하는 것은 작품의 전체를 왜곡할 수 있는 여지를 가진다. 여기에서는 과연 장승이 장작으로 패어져 아궁이에 들어가는 과정을 강쇠와 옹녀를 관련하여 과연 이 사건으로 말미암은 ‘사회성’이라는 해석이 타당한지를 검토하고자 한다.
이에 대한 논의를 위해 우리는 강쇠와 옹녀라는 인물에 대해 살펴볼 필요가 있다.
황(黃)평(平) 양도(兩道) 공론(公論)하되,
“이 년을 두었다가는 우리 두 도내(道內)에 좆 단 놈 다시 없고, 여인국(女人國)이 될 터이니 쫓을 밖에 수가 없다.”
양도가 합세(合勢)하여 훼가(毁家)하여 쫓아 내니, 이 년이 하릴없어 쫓기어 나올 적 에, 파랑 봇짐 옆에 끼고, 동백(冬柏)기름 많이 발라 낭자를 곱게 하고, 산호(珊瑚) 비녀 찔렀으며, 출유(出遊) 장옷 엇매고, 행똥행똥 나오면서 혼자 악을 쓰는구나.
“어허, 인심 흉악하다. 황평 양서(兩西) 아니며는 살 데가 없겠느냐. 삼남(三南) 좆 은 더 좋다더고.”
인용부분이 주시하다시피 옹녀는 황해, 평안 양도의 주민들에 의해
  • 가격1,4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3.09.30
  • 저작시기2013.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8360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