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분석, 감상문] 트루먼 쇼 (The Truman Show)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영화 분석, 감상문] 트루먼 쇼 (The Truman Show)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서론
트루먼쇼
수상정보
감독소개
배우소개
줄거리

‣‣ 본론
트루먼쇼 제작과정
트루먼쇼는 리얼리티?
트루먼쇼의 상업성
트루먼쇼 속 의미
시청자의 관점
트루먼쇼 속 미디어
옥의 티를 찾아서

‣‣ 결론
리뷰
나의 생각
출처

본문내용

피터 위어는 시나리오를 읽자마자 대단한 흥미와 함께 영화화에 대한 강렬한 욕구를 느꼈다고 한다. 우선 그는 이 평범하지 않은 이야기를 제대로 영상에 담아낼 수 있는 배우의 캐스팅에 돌입했는데 피터위어는 트루먼역에 톰 행크스를 염두해 두었지만 짐 캐리를 만나면서 그에게 배역을 맡겼다.
촬영에 들어가면서 피터 위어는 극의 배경이 되고 있는 섬 마을 씨 헤이븐의 세트를 LA의 스튜디오에 제작하려 했다. 조형미가 뛰어나면서도 관객들이 영화나 TV세트장의 분위기를 느끼도록 해야 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자신이 구상한 세트 분위기를 현실화하는 과정이 어려워지자 직접 촬영장 헌팅에 나섰고 세트 디자이너와 함께 캘리포니아와 플로리다 해안을 따라 작품의 이미지에 맞는 장소를 물색하던 중 우연히 건축잡지에서 촬영에 적격인 마을을 발견한다.
\'트루먼 쇼의 촬영장이 된 이 마을은 \'80년에 계획적으로 설계됐는데, 불과 300여 채의 가구로 구성됐음에도 모든 기관과 편의시설 등을 갖추고 있었다. 더욱이 온화한 기후와 해안가에 자리해 휴양지로도 지낼 수 있는 평화롭고, 조용한 공동 마을로 \'트루먼 쇼\'의 배경인 씨 헤이븐으로 적격이었다. 특히 최상급의 건축물과 네오 클래식한 분위기로 작품이 원하는 모든 이미지를 완벽하게 갖추고 있었던 것이다.
제작과정 중 감독에게 가장 큰 과제는 극중에서 펼쳐지는 다양한 상황들을 구체적으로 영상화하기 위한 촬영방법을 개발하는 것이었다. 관객들에게 몰래 카메라가 촬영하고 있다는 분위기를 최대한 느끼게 하는 것이 핵심이었기 때문이다. 촬영 스탭진은 렌즈에 타원형이나 원형으로 테를 둘러 몰래 카메라가 촬영하고 있다는 사실을 관객이 눈치챌 수 있게 했으며,극중 트루먼이 전혀 알아채지 못하게 욕실의 거울, 부인의 목걸이 자신의 반지 등에 카메라를 장착한 것처럼 설정했다.
2. 트루먼쇼는 리얼리티?
트루먼은 계획된 각본에 의해 탄생되었다. 그는 태어나기 전 뱃속에 있을 때부터 생중계 되었으며 그의 삶이 짜여지지 않은 리얼리티라 강조해도 트루먼쇼는 철저하게 짜여진 픽션에 불과하다.
영화가 시작되면서 감독과 배우들은 \'진짜 삶(feal life)\'라고 수차례 주장한다. 몽매한 전 세계 시청자들은 트루먼의 삶을 \'진짜(reality)라고 여기지만, 트루먼의 관점에서 살펴 볼 때 그것은 결코 \'진짜 삶\'이 아니다. 트루먼은 30년동안 살아온 그곳에서 평온하게 지내왔지만 자신이 스스로 선택하고 결정할 수 있는 삶이 아니었기 때문에 트루먼은 평온한 \'가짜 삶\'이 아닌 거짓과 위선과 위험이 있는 \'진짜 삶\'을 선택한다.
크리스토퍼는 방송 진행자의 \"왜 트루먼은 지금까지 사실을 몰랐을까요?\"라는 물음에 \"현실성을 잃지 않았기 때문이죠. 간단합니다\"라고 대답한다. 이말은 즉 \'트루먼은 자신에게 주어진 세상을 진실로 받아들였기 때문\'이라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태어날 때부터 그 곳에서 살아온 트루먼은 자신이 살아온 환경을 당연하게 현실로 받아들여 온 것이다. 또한 로렌이 크리스토프에게 어떻게 한 인간을 원숭이 동물로 만들어 놓을 수 있냐고 따지고 들자 크리스토프는 \"언제나 떠날 수 있지만 그러려고 하지 않았어. 마음만 먹으면 진실을 알 수 있는데도 시도하지도 않았지 트루먼에 그런 인생에 익숙하기 때문이야.\" 라고 대답한다. 그런 인생에 익숙하게 만든 사람이 자신임에도 불구하고 트루먼이 떠나지 않은 것이라고 입막음을 하는 것이다.
트루먼쇼가 보여주고자 한 것은 인간의 꾸미지 않은 삶이지만 트루먼 자신을 제외한 모든 것은 정해진 각본대로 진행된 드라마일 뿐이다. 심지어 트루먼의 부모, 아내, 친구마저도 트루먼과는 아무런 관련이 없는 배우들이며 태양과 달 마저 모두 세트에 불과하다.
메릴을 보면 가식적이기 짝이 없다. 생방송 중임을 알고 있는 부인은 항상 웃음을 잃지 않는다. 카메라를 향해 환하게 웃어 보이며 연기를 하는 것이다. 메릴의 표정이 굳을 때에는 자신의 임무가 틀어질 때이다. 대학시절 실비아의 등장으로 트루먼이 실비아에게 관심을 갖자 트루먼과 춤을 추며 실비아를 노려본다. 트루먼이 무작정 메릴을 차에 태우고 떠나려고 할 때도 마찬가지이다. 처음엔 웃으며 트루먼을 말리려고 하지만 나중에는 트루먼을 향해 칼까지 들고 카메라를 향해 도와달라 외친다. 메릴의 이런 가식적인 상황이 어찌 리얼리티라고 할 수 있을까. 이것은 진정한 리얼리티라고 할 수 없다.
크리스토프는 마지막 장면에서 트루먼에게 \'넌 스타야\'라고 했다. 그러나 트루먼은 스타이길 원했던 적이 한 번도 없었으며 감독 자신이 트루먼의 의지와는 관계없이 스타로 만든 것이다. 크리스토프에게 트루먼은 아기때부터 캐스팅 한 배우일 뿐인 것이다.
진정한 리얼리티를 표현하려 했다면 트루먼의 모험도 떠나려는 결심도 막지 말아야 하는게 아닌가.
3. 트루먼쇼의 상업성
연출자는 끊임없이 트루먼이 밖으로 나가는 것을 방해했고 트루먼쇼 속의 배우들은 자기가 맡은 광고에 충실했다. 메릴은 언제나 가정용품 광고에 몰두했고 말론은 항상 맥주를 보이며 등장했으며 쌍둥이 할아버지도 광고에 여념이 없었다. 광고가 없으면 방송은 살아남지 못한다. 또한 시청자로 등장하는 할머니는 트루먼의 사진이 프린팅된 쿠션을 안고있다. 이는 곧 트루먼쇼를 통해 광고료를 챙기고 트루먼이라는 캐릭터를 상업적 목적으로 팔고 있다는 증거이기도 하다.
4. 트루먼쇼 속 의미
Truman Burbank
트루먼은 True(진정한)man(사람)으로 주인공의 이름으로 하기엔 반어적인 표현이다.
그리고 Burbank는 백과사전에 따르면 미국 캘리포니아에 있는 도시로, 19세기 말 그곳에 목장을 세운 \'데이비드 버뱅크\'의 이름을 따서 지었다고 한다. 버뱅크는 초기 영화촬영 및 텔레비전 산업의 중심지로 성장했고, 20세기 중반에 들어서면서 첨단 산업이 급속히 발달했다. 이런 점을 보았을 때 트루먼의 성을 첨단산업의 상징인 버뱅크로 정한 것은 \'성에 속박된 이름\'이다. 즉, 트루먼은 첨단 산업에 의해 만들어진 진정한 사람인 것이다.
Seahaven
haven은 항구, 정박소, 피난처, 안식처란 뜻이다. 트루먼을 세트에 가두지 위해 바다에 대한 공포심을 안겨준 제작자의 입장에서 볼

추천자료

  • 가격1,8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3.10.01
  • 저작시기2013.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8376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