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양이)
2) 약동학
일반적으로 benzodiazepines은 경구 투여하였을 때 장관을 통해 잘 흡수되며, 대개 복용후 한시간 정도에 혈중 최고 농도에 이른다. Triazolam이나 diazepam은 흡수가 빠르나 일부 약물(oxazepam, lorazepam 등)은 다른 약물에 비해 흡수가 느리다. 일반적으로benzodiazepines은 혈장 단백질과 강력하게 결합하고, 지방용해도가 높다. Benzodiazepines는 주로 경구 투여하지만 간질지속상태 시 diazepam, 마취 시 midazolam 등과 같은 경우에는 정맥 내 투여를 한다. 근육 내 투여 시에는 흡수속도가 느려지는 경우가 많다. 흡수된 benzodiazepines는 체내에서 대사되는데 일부 대사물질이 약물 활성을 갖는다. 활성대사물질을 생성하지 않은 약물은 주로 약물작용기간이 짧은데 대사되지 않고 바로 glucuronide 포합이 일어나 소변으로 배설된다.
3) 부작용 및 독작용
과량복용에 의한 급성독성
Benzodiazepines는 다른 진정-수면제에 비해 과량 복용에 의한 독작용에 비교적 안전한 편이다. 대부분의 경우 자살을 목적으로 약물을 과량 복용하는데 이런 점에서 benzodiazepines는 안전한 약이다. 과량 복용하면 지속적인 수면을 유발하는데 이때 심각한 호흡이나 심혈관계의 장애는 동반하지 않는다. 그러나 알콜과 같은 다른 종류의 중추신경 억제제를 병용하였을 때는 심한 호흡 억제를 일으켜 목숨을 잃을 수도 있다. 이런 경우 해독제로서 길항제인 flumazenil을 사용할 수 있다. Flumazenil은 그 자체가 발작을 일으킬 위험이 있으므로 실제로는 별로 사용하지 않는다. 단지 혼수의 원인이 benzodiazepines의 과량사용에 의한 것인지를 알아내는 데 사용된다.
일반적 부작용
피로감, 어지러움, 혼돈, 선행성 건망증, 조절 장애 등을 유발한다. 특히 운전 능력과 같은 작업능력의 수행도가 저하된다. 특히 알콜과 병용하였을 때 이러한 부작용은 혈중 benzodiazepines의 농도가 아주 낮을 때에도 심각한 장애를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약물의 작용시간이 너무 긴 경우 이러한 부작용이 심하다. 그래서 작용시간이 긴 수면제인 nitrazepam은 더 이상 수면제로서 사용할 수 없게 되었다. 작용시간이 짧은 약물들도 약물 사용 다음날 각 종 작업의 수행능력이 저하된다.
내성과 의존성
다른 진정-수면제와 마찬가지로 거의 benzodiazepines는 내성과 의존성이 생긴다. 다른 종류의 진정-수면제나 알콜과 부분적인 교차내성을 보인다. 이러한 진정-수면제의 내성의 기전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단지 benzodiazepines은 중추신경계의 약물에 대한 반응 저하에 의한 약력학적 내성이라고 생각된다. 현재 정확한 기전은 모르지만 지속적인 사용으로 중추신경계의 benzodiazepines 수용체의 수가 감소하여 일어날 것이라 추측하고 있다. Benzodiazepines을 수주 혹은 수개월 사용 후 중단하면 불안이 증가하면서, 손떨림, 어지러움과 같은 증상이 나타나는데 이것은 benzodiazepines이 육체적 의존성을 유발함을 가리키고 있다. 이러한 육체의존적인 특성이 benzodiazepines의 사용을 중단하기 어렵게 하지만, 다른 오용되는 약물들에서 일어나는 심리학적 의존성은 심하지 않다.
(8) 비 전형적 항 우울제
비 전형적 항 우울제는 이들이 화학구조나 작용점에서 기존에 알려진 항 우울제와 차이가 있으나 임상적으로 항 우울 작용이 인정되어 개발 사용되는 새로운 약물들이다. 이 약물들은 기존에 사용되던 약물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작용이 적고, 과량 복용에 의한 독성이 적다는 이점 때문에 사용된다. 그러나 이 약물이 TAC나 MAOI에 비해 항울작용이 더 빨리 발현되거나 약 효능이 더 좋은 것은 아니다. 비전형적 항 우울제에는 구조가 TCA와 다르나 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를 억제하는 약물인 maprotiline과 5-HT 재흡수 억제작용이 있는 trazodone과 venlafaxine, 그리고 아민 재흡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약물인 mianserin, bupropion이 있다. 이들의 약의 작용 기전은 분명하지 않다. 하나의 기능성 mianserin은 노르에피네프린 신경말단에서 α2-adrenoreceptor를 길항하여 노르에피네프린의 유리를 억제하는 되먹임 조절을 억제하여 결국 노르에피네프린 유리를 증가시킨다. 그러나 bupropion은 임상적인 효능을 제외하고는 지금까지 알겨진 항 우울제로서 특성이 없다.
▶참고 문헌 및 참고 국내외 싸이트◀
최신정신의학 민성길 1987 一潮閣
http://www.add.org/
http://www.chadd.org/index.cfm
http://www.keepmedia.com
http://www.npr.org/
http://kidshealth.org/
http://www.nimh.nih.gov/
http://www.ocfoundation.org/
http://www.ocdonline.com/
http://www.pwsausa.org/
http://info.co.uk/
http://www.yonseilee.co.kr/self/self07.html
http://www.kimyon.co.kr/test/mind/3.php
http://www.ebsi.co.kr/ebs/jsp/PU/PU_helpdesk_02.jsp
http://blog.naver.com/cjhmoru/20008375253
http://www.hwabyung.com/note/iboard.cgi
http://plaza.snu.ac.kr/~ocd/
http://www.ochelp.co.kr/PO.htm
http://www.ocdclinic.co.kr/main.htm
http://paik.ac.kr/etc/jilhan/jilhan02_ls.asp?p_hp=GA&i_kor=1
http://my.dreamwiz.com/handmsj/health/heka/imperativeidea.htm
http://blog.naver.com/freshbrain/40000780883
2) 약동학
일반적으로 benzodiazepines은 경구 투여하였을 때 장관을 통해 잘 흡수되며, 대개 복용후 한시간 정도에 혈중 최고 농도에 이른다. Triazolam이나 diazepam은 흡수가 빠르나 일부 약물(oxazepam, lorazepam 등)은 다른 약물에 비해 흡수가 느리다. 일반적으로benzodiazepines은 혈장 단백질과 강력하게 결합하고, 지방용해도가 높다. Benzodiazepines는 주로 경구 투여하지만 간질지속상태 시 diazepam, 마취 시 midazolam 등과 같은 경우에는 정맥 내 투여를 한다. 근육 내 투여 시에는 흡수속도가 느려지는 경우가 많다. 흡수된 benzodiazepines는 체내에서 대사되는데 일부 대사물질이 약물 활성을 갖는다. 활성대사물질을 생성하지 않은 약물은 주로 약물작용기간이 짧은데 대사되지 않고 바로 glucuronide 포합이 일어나 소변으로 배설된다.
3) 부작용 및 독작용
과량복용에 의한 급성독성
Benzodiazepines는 다른 진정-수면제에 비해 과량 복용에 의한 독작용에 비교적 안전한 편이다. 대부분의 경우 자살을 목적으로 약물을 과량 복용하는데 이런 점에서 benzodiazepines는 안전한 약이다. 과량 복용하면 지속적인 수면을 유발하는데 이때 심각한 호흡이나 심혈관계의 장애는 동반하지 않는다. 그러나 알콜과 같은 다른 종류의 중추신경 억제제를 병용하였을 때는 심한 호흡 억제를 일으켜 목숨을 잃을 수도 있다. 이런 경우 해독제로서 길항제인 flumazenil을 사용할 수 있다. Flumazenil은 그 자체가 발작을 일으킬 위험이 있으므로 실제로는 별로 사용하지 않는다. 단지 혼수의 원인이 benzodiazepines의 과량사용에 의한 것인지를 알아내는 데 사용된다.
일반적 부작용
피로감, 어지러움, 혼돈, 선행성 건망증, 조절 장애 등을 유발한다. 특히 운전 능력과 같은 작업능력의 수행도가 저하된다. 특히 알콜과 병용하였을 때 이러한 부작용은 혈중 benzodiazepines의 농도가 아주 낮을 때에도 심각한 장애를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약물의 작용시간이 너무 긴 경우 이러한 부작용이 심하다. 그래서 작용시간이 긴 수면제인 nitrazepam은 더 이상 수면제로서 사용할 수 없게 되었다. 작용시간이 짧은 약물들도 약물 사용 다음날 각 종 작업의 수행능력이 저하된다.
내성과 의존성
다른 진정-수면제와 마찬가지로 거의 benzodiazepines는 내성과 의존성이 생긴다. 다른 종류의 진정-수면제나 알콜과 부분적인 교차내성을 보인다. 이러한 진정-수면제의 내성의 기전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단지 benzodiazepines은 중추신경계의 약물에 대한 반응 저하에 의한 약력학적 내성이라고 생각된다. 현재 정확한 기전은 모르지만 지속적인 사용으로 중추신경계의 benzodiazepines 수용체의 수가 감소하여 일어날 것이라 추측하고 있다. Benzodiazepines을 수주 혹은 수개월 사용 후 중단하면 불안이 증가하면서, 손떨림, 어지러움과 같은 증상이 나타나는데 이것은 benzodiazepines이 육체적 의존성을 유발함을 가리키고 있다. 이러한 육체의존적인 특성이 benzodiazepines의 사용을 중단하기 어렵게 하지만, 다른 오용되는 약물들에서 일어나는 심리학적 의존성은 심하지 않다.
(8) 비 전형적 항 우울제
비 전형적 항 우울제는 이들이 화학구조나 작용점에서 기존에 알려진 항 우울제와 차이가 있으나 임상적으로 항 우울 작용이 인정되어 개발 사용되는 새로운 약물들이다. 이 약물들은 기존에 사용되던 약물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작용이 적고, 과량 복용에 의한 독성이 적다는 이점 때문에 사용된다. 그러나 이 약물이 TAC나 MAOI에 비해 항울작용이 더 빨리 발현되거나 약 효능이 더 좋은 것은 아니다. 비전형적 항 우울제에는 구조가 TCA와 다르나 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를 억제하는 약물인 maprotiline과 5-HT 재흡수 억제작용이 있는 trazodone과 venlafaxine, 그리고 아민 재흡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약물인 mianserin, bupropion이 있다. 이들의 약의 작용 기전은 분명하지 않다. 하나의 기능성 mianserin은 노르에피네프린 신경말단에서 α2-adrenoreceptor를 길항하여 노르에피네프린의 유리를 억제하는 되먹임 조절을 억제하여 결국 노르에피네프린 유리를 증가시킨다. 그러나 bupropion은 임상적인 효능을 제외하고는 지금까지 알겨진 항 우울제로서 특성이 없다.
▶참고 문헌 및 참고 국내외 싸이트◀
최신정신의학 민성길 1987 一潮閣
http://www.add.org/
http://www.chadd.org/index.cfm
http://www.keepmedia.com
http://www.npr.org/
http://kidshealth.org/
http://www.nimh.nih.gov/
http://www.ocfoundation.org/
http://www.ocdonline.com/
http://www.pwsausa.org/
http://info.co.uk/
http://www.yonseilee.co.kr/self/self07.html
http://www.kimyon.co.kr/test/mind/3.php
http://www.ebsi.co.kr/ebs/jsp/PU/PU_helpdesk_02.jsp
http://blog.naver.com/cjhmoru/20008375253
http://www.hwabyung.com/note/iboard.cgi
http://plaza.snu.ac.kr/~ocd/
http://www.ochelp.co.kr/PO.htm
http://www.ocdclinic.co.kr/main.htm
http://paik.ac.kr/etc/jilhan/jilhan02_ls.asp?p_hp=GA&i_kor=1
http://my.dreamwiz.com/handmsj/health/heka/imperativeidea.htm
http://blog.naver.com/freshbrain/40000780883
키워드
추천자료
강박장애인의 취업후 직업적응
베버의 사회과학 방법론 정리
강박장애(불안장애 중,-정신간호학 문헌고찰)
과학지식사회학
강박장애(강박성성격장애)
강박장애/영화:이보다더좋을순없다(As good as it gets)분석
강박장애
STS수업모형(과학기술사회,학습)의 정의, 이론적 배경, 특징과 STS수업모형(과학기술사회,학...
STS학습모형(수업,과학기술사회)의 개념, 성격, 목표, STS학습모형(수업,과학기술사회)의 필...
정신질환을 제시하고 증상, 진단, 개입방법을 서술하시오 (정신질환, 정신분열, 기분장애, 우...
불안 및 정신 신체적 장애 [공포장애, 후외상성 장애 증상, 불안장애 증상, 공황장애 증상, ...
[강박장애] 강박장애(강박증)의 정의(개념)와 진단기준 및 임상특성, 강박장애(강박증)의 원...
불안장애(단순공포증, 범불안장애, 공황장애, 강박장애, 외상후스트레스장애)
영유아기 정신장애(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반항성 장애, 불안장애, 분리불안장애, 강박장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