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혁명과 장면 내각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4월혁명과 장면 내각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이승만정부의 독재화
2. 4 ․ 19혁명
3. 장면정부의 수립

본문내용

못하였던 것이다. 이에 불만을 품은 학생과 시민들은 다시 거리로 뛰쳐나와 연일 가두시위가 계속되었고, 특히 자유당 정권의 부정선거 주모자들에 대해서 법원이 가벼운 형량을 선고하자 분노한 학생들이 국회의사당을 점거하기까지 하였다. 이 때 진보당사건으로 자취를 감췄던 혁신계 정치세력이 4월혁명 이후 다시 대두하여 통일을 내세운 이념정당으로 자리를 잡게 되고 학생들이 여기에 가세하여 남북회담을 제기하는 등 급진적인 통일방안을 주장하였다. 이러한 정치 사회적 혼란은 한편으로는 자유스런 민주정치의 실현이라는 긍정적인 면을 가지는 것이었다. 이것은 자유당 독재 하에서 싹튼 민주주의에의 열망이 과도하게 표출된 것에 지나지 않았으며, 이승만의 철저한 반공정책에 대한 반동에서 민족분단의 현실을 타개해 보려는 국민적 노력의 표현이기도 하였다. 그러나 당시 이러한 움직임을 수용 해결해 줄만한 정치세력이 존재하지 못하였고, 특히 장면정권은 대중적 기반이나 내부적 결속을 모두 결여한 상황에 놓여 있었으므로 이러한 국민들의 기대에 부응할 수 없었던 것이다.
※ 참고문헌 ※
邊太燮, 한국사통론, 삼영사, 2005
류승렬, 뿌리깊은 한국사, 솔, 2004
한흥수 외, 한국 현대사의 재인식 4,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8
송건호 외, 해방 40년의 재인식Ⅰ, 돌베개, 1985
정국로, 한국학생민주운동사, 반, 1995
4.19혁명 연표
◎ 4.19혁명 연표
장기 독재 정치
- 48.8.15 정부 수립
- 52.7.4 발췌 개헌
- 54.11.27 사사오입 개헌
- 58.12.24 보안법 파동
- 59.4.30 경향신문 강제 폐간
4.19 혁명
- 60. 2.28 대구 학생 시위
- 60. 3.15 부정선거
- 60. 3.15 마산의거
- 60. 4.18 고대 시위
- 60.4.19 시민혁명 발발
- 60.4.25 교수단 데모
- 60.4.26 이승만 대통령 하야
- 60.7.29 제 5 대 국회의원 선거
- 60.8.13 제 2 공화국의 탄생
4.19 혁명 당시 정치권 일지
1960.4.20 이승만 박사의 담화문 발표
- 질서 회복 후 소요사태 조사
- 자유당의 국민 담화문 발표
- 책임을 국민에게 전가
1960.4.21 전국구 의원 사표 제출
1960.4.22 국회 비상시국 위원회 구성
1960.4.23 장면 부통령 사임서를 국회에 제출
1960.4.24 이승만 자유당 총재직 사퇴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3.10.05
  • 저작시기2013.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8447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