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불규칙 활용의 정의
2. 불규칙 활용의 유형
3. 불규칙 활용이 나타나게 된 원인
4. 통시적 정보와 공시적 기술의 차이
5. 불규칙 활용에 대한 설명 ― ‘ㅂ’ 불규칙, ‘ㅅ’ 불규칙, ‘ㄷ’ 불규칙을 중심으로
2. 불규칙 활용의 유형
3. 불규칙 활용이 나타나게 된 원인
4. 통시적 정보와 공시적 기술의 차이
5. 불규칙 활용에 대한 설명 ― ‘ㅂ’ 불규칙, ‘ㅅ’ 불규칙, ‘ㄷ’ 불규칙을 중심으로
본문내용
물으면, 물어
걸으니, 걸으면, 걸어
ㄷ → ㄹ / V__V
비고)
묻다(埋), 묻고
묻으니, 묻으면, 묻어
→ ‘ㄷ’ 규칙
활 용 예
‘르’ 불규칙
오르다, 오르고, 오르니, 오르면, 올라
다르다, 다르고, 다르니, 다르면, 달라
‘우’ 불규칙
푸다, 푸고, 푸니, 푸면, 퍼
어미가교체
‘여’ 불규칙
하다, 하고, 하니, 하면, 해(하여)
‘러’ 불규칙
이르다(到着), 이르고, 이르니, 이르면, 이르러
‘너라’ 불규칙
오다, 오고, 오니, 오면, 오너라
어간과어미가교체
‘ㅎ’ 불규칙
노랗다, 노랗고, 노라니, 노라면, 노래
파랗다, 파랗고, 파라니, 파라면, 파래
☞ 과거 ‘-거라’ 불규칙의 경우 현행 학교 문법에서는 규칙으로 다루고 있다. 그러나 그렇다고 하더라도 ‘-거라’가 여타의 활용처럼 규칙적인 활용을 하는 것은 아니다.
☞ 경북방언을 비롯한 일부 방언에서는 불규칙 용언이 규칙 용언으로 나타난다.
ㅇ 덥다, 덥고, 덥으니[더브니], 덥으면[더브면], 덥어[더버](경북방언)
걸다(步)[걸따], 걸고[걸꼬], 걸으니[거르니], 걸으면[거르면], 걸어[거러](강릉방언)
☞ ‘ㅅ’ 불규칙 용언의 경우 어간말 자음 /ㅅ/은 표면에 실현되는 경우가 없다.
[
걸으니, 걸으면, 걸어
ㄷ → ㄹ / V__V
비고)
묻다(埋), 묻고
묻으니, 묻으면, 묻어
→ ‘ㄷ’ 규칙
활 용 예
‘르’ 불규칙
오르다, 오르고, 오르니, 오르면, 올라
다르다, 다르고, 다르니, 다르면, 달라
‘우’ 불규칙
푸다, 푸고, 푸니, 푸면, 퍼
어미가교체
‘여’ 불규칙
하다, 하고, 하니, 하면, 해(하여)
‘러’ 불규칙
이르다(到着), 이르고, 이르니, 이르면, 이르러
‘너라’ 불규칙
오다, 오고, 오니, 오면, 오너라
어간과어미가교체
‘ㅎ’ 불규칙
노랗다, 노랗고, 노라니, 노라면, 노래
파랗다, 파랗고, 파라니, 파라면, 파래
☞ 과거 ‘-거라’ 불규칙의 경우 현행 학교 문법에서는 규칙으로 다루고 있다. 그러나 그렇다고 하더라도 ‘-거라’가 여타의 활용처럼 규칙적인 활용을 하는 것은 아니다.
☞ 경북방언을 비롯한 일부 방언에서는 불규칙 용언이 규칙 용언으로 나타난다.
ㅇ 덥다, 덥고, 덥으니[더브니], 덥으면[더브면], 덥어[더버](경북방언)
걸다(步)[걸따], 걸고[걸꼬], 걸으니[거르니], 걸으면[거르면], 걸어[거러](강릉방언)
☞ ‘ㅅ’ 불규칙 용언의 경우 어간말 자음 /ㅅ/은 표면에 실현되는 경우가 없다.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