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택동 (마오쩌둥 / 毛澤東)의 전략사상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모택동 (마오쩌둥 / 毛澤東)의 전략사상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서 론……………………………………………………1
 1. 연구의 목적…………………………………………1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2
II. 모택동 전략사상의 영향 요인………………………3
 1. 중국의 역사적 특징…………………………………3
 2. 클라우제비츠의 영향…………………………………4
 3. 마르크스-레닌의 영향…………………………………5
 4. 중국의 전통 군사사상의 영향…………………………6
III. 모택동의 시기별 전략사상 발전과정………………8
 1. 국내혁명전쟁시기………………………………………9
 2. 항일전쟁 시기…………………………………………13
 3. 국공내전 시기…………………………………………15
IV. 모택동의 전략사상……………………………………17
 1. 모택동 전략사상의 특징………………………………18
 2. 인민전쟁 전략사상……………………………………19
 3. 적극방어 전략사상……………………………………20
 4. 현대중국의 전략에 미친 영향………………………21
V. 결 론 ………………………………………………23
참 고 문 헌……………………………………………………25

본문내용

인민을 충분히 믿고 의존하여 군사투쟁에서 전면적인 승리를 쟁취한다는 입장을 견지하였다.
둘째, 전략문제의 과학적 방법을 인식하였다. 모택동은 변증 유물주의와 역사 유물주의의 과학적 방법을 운용하여 전략문제를 인식하였다. 군사투쟁 법칙의 객관성과 가시성은 인정하고 일반 법칙을 연구하는데 치중할 뿐만 아니라 특수 법칙을 연구하는데도 주의를 기울였다. 또한 군사투쟁 지도 법칙의 객관성과 가시성을 인정하고 군사투쟁에 대한 일반 법칙과 특수 법칙을 연구 중에 군사투쟁의 지도 법칙을 진일보 탐색하고 인식하였다.
셋째 약한 것으로 강한 것을 이기고 열세로 우세를 이기는 사상이었다. 중국 혁명전쟁시 적은 강하고 홍군은 약했고, 적은 우세하고 홍군은 열세한 조건에서 진행되었으며,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후에도 장기간 적대세력에 포위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군사투쟁의 전체 국면에 있어서 약한 것으로 강한 것을 이기고 열세로 우세를 이기는 문제를 어떻게 잘 해결하는가 하는것이 가장 우선적인 문제였다. 모택동 전략사상은 바로 이 가장 우선적인 대사를 해결하는 데서부터 발전해 나온 것이다. 바로 이것이 인민전쟁전략과 적극방어 전략사상이다.
인민전쟁 전략사상
모택동은 1945년 4월 ‘연합정부론’에서 인민전쟁에 대해 정의하였다. 군사전선의 투쟁을 정치전선, 경제전선, 문화전선, 사상전선의 투쟁과 상화 결합시키는 전민전쟁(全民戰爭)이고, 총체전쟁(總體戰爭)이어야 한다고 규정하였다. 인민전쟁이란 당의 절대영도, 인적요소의 중시, 민군일치, 그리고 농촌으로써 도시를 포위한다는 점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지영철, 전게서, p. 20.
모택동 인민전쟁 전략사상은 인민을 믿고 의지하며, 인민을 동원하고, 조직하며, 무장하고, 완전하고 철저하게 인민의 근본적이 이익을 위하여 전쟁을 수행하는 전략지도의 기본적인 관점에 관한 것이다. 박종원김종운 역, 전게서, p. 87-88.
인민전쟁은 당연히 전쟁목적과 인민 군중의 근본 이익이 서로 일치해야 한다는 전쟁의 과학적인 논리를 제기하였다. 모택동은 마르크스주의의 사상을 기초로, 인민 군중은 자연을 개조하고 사회를 개조하는 주체일 뿐만 아니라 전쟁 활동을 수행하는 주체라고 지적하였고 인민 군중은 사회발전을 추진하는 동력일 뿐만 아니라 전쟁을 수행하는 주체라고 강조하였다. 그가 중국 혁명전쟁과 신중국 군사투쟁을 실제로 수행하는 중에, 인민군중에 숨겨져 있는 힘을 충분히 발휘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전투력이라고 판단하여 중국 특색을 갖춘 인민전쟁 전략사상을 창조한 것이다.
모택동의 인민전쟁론의 체계는 유격전, 지구전, 섬멸전으로 구체화 된다. 유격전은 인민전쟁을 수행하기 위한 기본적인 수단으로서 채택되었고, 이것이 시간적, 공간적 확대를 통하여 지구전으로 진전되면서 인민의 힘에 대한 신뢰를 마련한 것이다. 이 전략사상의 정신이 실제로 나타난 것은 3개 방면이다. 첫째는 전쟁을 수행하는 목적인 완전히 인민을 위한 것이다. 둘째는 전쟁 역량을 운용하는데 있어 인민을 굳건히 믿고 의지하며, 인민을 충분히 동원하고 조직하며 무장하고, 전면적으로 철저하게 인민전쟁을 수행하는 것이다. 셋째는 전쟁 승리의 성과가 완전히 인민에게 속하는 것이다. 상게서, p. 89.
이 세 방면이 상호 연결되어 모택동 인민전쟁 전략사상의 본질적인 특성을 구성하였다.
적극방어 전략사상
신해혁명 이후 중국 역사를 볼 때, 모택동은 약한 적과 싸운 사례가 없었다. 즉, 약자가 강자를 이기는 전략, 일(一)로써 십(十)을 이겨야 하는 전략이 선택이 아닌 생존문제였던 것이다. 초기 국내혁명전쟁시기에서부터 중국혁명전쟁에 이르기까지 강한 적에 대해 무모하게 결전을 시도한 사례는 모두 실패로 귀결되었다. 박창희, 전게서, p. 105.
모택동 적극방어 전략사상은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현실을 철저하게 직시한 후 수 많은 전투경험을 통해 수립된 것이다.
모택동은 마르크스주의의 군사이론을 지침으로 하여 고금의 중국과 외국의 전쟁경험의 정수를 받아들여 적극방어의 일반적인 원리를 중국 혁명전쟁의 구체적인 실행에 운용하면서 중국특색을 갖춘 전략이론을 창조하였다. 혁명전쟁 시대에는 적극방어 전략사상이 국내외 강력한 적을 제압할 수 있었다. 즉 무모한 공격이 아닌, 적의 공격이 정점에 달했을 때 까지 전략적 방어를 시행하다가 전략적 반격과 공격을 통해 승리를 거둔 것이다.
전략이론의 발전 역사를 볼 때 적극방어를 받아들이고 소극방어를 반대하는 것은 동서양을 떠나 공통된 인식이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모택동의 적극방어 전략사상은 선명한 특색을 가지고 있다. 모택동은 마르크스주의 입장, 관점 및 방법을 운용하여 중국 혁명전쟁의 실제에서 출발하여 적극방어를 방어작전을 지도하는 일반 이론원칙으로 삼았으며, 이 전략사상은 방어 작전의 일반이론의 시간적, 공간적 시야를 멀리 초월하였으며, 군사투쟁의 전체 국면에서 출발하여 군사투쟁의 전 과정을 지도하는 거시적 관점에 착안하는 근본적인 지도사상이 되었다. 혁명전쟁시대에 그것은 이미 전략적 방어 단계를 관할하였으며, 나아가 전략적 반격과 전략적 공세 단계를 이론화 한 것이다.
모택동의 적극방어 전략사상은 주로 두 개 방면을 나타내고 있다 그것은 첫째는 방어성이며, 둘째는 적극성이다. 방어성은 모택동 적극방어 전략사상의 근본적인 성질을 나타내고 있으며, 그것이 지도하는 전쟁 및 기타 일체의 군사투쟁이 압박에 의한 불가피한 자위행동이라는 것을 가리킨다. 이러한 방어성은 서로 다른 시기에 서로 다른 원인과 서로 다른 표현으로 나타났었다. 혁명전쟁 시대 그것은 중국사회의 정치, 경제, 군사 등 여러 요인으로부터 만들어 졌으며, 그중 중요한 것은 군사력이 결정하였으므로 객관성, 필연성의 현저한 특성을 가지고 있었다. 모택동은 ‘중국 혁명전쟁의 전략문제’에서 중국 공산당은 국민당의 강력한 포위소멸에 의해 전략적 방어 문제가 홍군 작전중 가장 중요하고 복잡한 문제가 되었다. 혁명과 혁명전쟁은 본질상 공격을 추구하는 것이다. 그러나 방어와 후퇴도 있다. 그리고 궁극적으로 공격이나 방어, 전진이나 후퇴를 결정하는 것은 곧 힘이다 모택동이 “중국 혁명전쟁의 전략문제”를 발표한 것은 국민당의 추격에
  • 가격3,300
  • 페이지수27페이지
  • 등록일2013.10.14
  • 저작시기2012.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8555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