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페베네 caffebene 마케팅 사례분석과 카페베네 해외진출 국제마케팅전략분석및 카페베네의 현문제점과 향후전략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카페베네 caffebene 마케팅 사례분석과 카페베네 해외진출 국제마케팅전략분석및 카페베네의 현문제점과 향후전략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카페베네 기업선정동기

2. 카페베네 기업소개
(1) 카페베네 기업소개
(2) 카페베네 마케팅사례
➀ PPL과 스타마케팅
➁도서출간
➂ 다양한 이벤트와 공모전

3. 국내 커피 시장 현황분석

4. 카페베네 해외 커피시장 진출 현황
*카페베네 미국시장진출
➀ 현지화 전략
➁ 차별화 전략
*카페베네 중국시장진출
*동남아, 중동시장진출
*필리핀 시장진출

5.카페베네와 경쟁기업과 비교

6.카페베네 SWOT분석
강점
기회
약점
위협

7. 카페베네 한계점과 시사점(향후전략)
(1) 한계점
(2) 시사점 및 향후전략

8. 참고문헌

본문내용

통했다\"고 강조했다.
메뉴에서 신선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패스트푸드류의 인스턴트 음식을 제공하는 타 브랜드와 달리 키친의 숙련된 스태프들이 수작업으로 샌드위치, 빵, 샐러드 등을 즉석에서 만들어 테이블에 제공하고 있다.
특히, 뉴욕점에서 커피음료를 제외하고 핫초코 다음으로 많이 팔리는 음료가 바로 \'미수가루 라떼(misugaru latte)\' 다. 우리의 건강 음료인 미숫가루를 현지인의 입맛에 맞게 개발, 판매 하고 있는데 하루 200여 잔 이상 팔리는 등 뜨거운 호응을 얻고 있다.
카페베네 측은 해외 진출 계획에 대해 \"올 상반기 LA 한인타운에 미국 2호점을 개장할 예정이며, 6개월 이내에 맨해튼에 2호점을 개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3월에는 중국 베이징 매장 오픈을 시작으로 필리핀, 베트남 이후 일본과 태국,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등 7개국과 합작 계약을 완료하고 본격적으로 진출을 준비하고 있다.
김 대표는 \"글로벌로 확장할수록 대한민국 우리 고객의 목소리를 귀 담아 듣는 것이 글로벌 경영의 최우선 조건이라고 본다.\"며 \"그 저력이 확인된 우리네 사랑방 문화를 뉴욕 너머 세계로 전파하는 글로벌기업으로 성장하겠다.\"고 말했다.
*카페베네 중국시장진출
중국은 전통적으로 차(茶)문화가 발달했지만 앞으로 커피문화가 확산될 경우 시장 잠재력이 크기 때문에 아시아 진출 최초 국가로 결정, 또한 한류의 영향으로 중국 시장이 한국 브랜드에 대해 호의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어 성장가능성이 주목해 볼 만하기에 카페베네는 중국시장으로의 진출을 확장하였다.
① ‘사랑방 담소문화’에 기반을 둔 ‘한국식 커피문화’
◆ 차의 나라 중국에 \'한국 커피문화\'로 도전장
한국의 카페베네가 중국 베이징의 왕진, 올림픽공원, 중관촌 등 3곳에 매장을 동시에 열어 한국 뿐 아니라 중국 현지에서도 관심을 끌고 있다. 커피전문점계의 후발주자였던 카페베네가 3년여 만에 매장 수 760여개로 한국 내 1위로 올라섰다는 소식이 알려지면서 관심은 곧 기대로 바뀌었다. 한류 영향으로 한국 브랜드에 대해 호의적인 입장을 보이는 점을 고려할 때 카페베네는 중국시장에서의 성공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기대된다.
베이징 카페베네는 중국인들에게 차별화된 한국 커피전문점 이미지를 그대로 소개하기 위해 한국과 동일한 인테리어를 기준으로 꾸며졌다. 북카페 컨셉을 적용해 중국 서적이 배치됐고 메뉴도 대부분 한국의 메뉴와 같다. 다만 매장 내 스텝이 커피에 익숙하지 않은 중국인들에게 보다 상세한 설명과 기호에 따른 추천서비스를 적용한다는 점이 차별화된 점이다. 또한 카페베네는 한국에서의 매장 운영 노하우와 로스팅 기술 등 기본기를 바탕으로 중국 내 커피문화를 새롭게 선도하겠다는 계획이다.
이에 따라 시장진출 3년 뒤인 2015년까지 매장 1500개를 돌파해 국내에서와 같이 중국 1등 커피전문점 브랜드로 성장하겠다는 야심찬 목표를 갖고 있다. 이 경우 중국에서만 로열티 200억 원 이상을 기대할 수 있는 것으로 예상된다. 카페베네는 북경 중심의 동북 3성부터 상해 중심의 남부지역을 집중 공략하되 4개 지역으로 구분해 연내 주요 거점 도시 별 2개 이상의 매장을 연다는 계획이다.
②중국 자본 투자
카페베네가 중국 진출에 속도를 낼 수 있었던 것은 중국 내 부동산·금융 종합그룹인 중기집단(中企集團)의 지원이 컸다. 중국농업은행·중국은행 등으로부터 3000억 원 이상의 자금 확보를 약속 받았다. 이는 1000개 이상의 매장을 중국 내에 동시에 오픈 할 수 있는 규모의 자금이다. 카페베네는 이런 지원을 통해 3년 내에 2015년까지 매장 1500개를 열어 스타벅스를 제치고 중국 1등 커피전문점 브랜드로 성장하겠다는 목표다. 우선 베이징 중심의 동북 3성부터 상하이 중심의 남부지역을 집중 공략하고 크게 4개 지역으로 구분해 연내에 주요 거점 도시별 2개 이상의 매장을 오픈 한다는 계획이다. 계획대로 매장을 오픈할 경우 중국에서만 로열티 200억 원 이상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본다.
\'중국 시장 진출\' 카페베네, 3개 매장 동시 개점
[스포츠서울닷컴 | 오세희 기자]
한국 토종브랜드 커피전문점 (주)카페베네가 중국자본의 투자를 받아 스타벅스와 커피 전쟁을 벌인다. 카페베네가 중국 베이징에 왕진, 올림픽공원, 중관촌 등 카페베네 3개 매장을 오픈하고, 본격적인 중국 시장 진출을 시작한 것. 지난 2월 뉴욕 맨해튼에 해외 1호점을 오픈 한데 이어 두 번째 해외 진출이다.
카페베네는 중국 진출을 기념해 지난 27일 왕징푸마 매장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중국 진출의 의미에 대한 브리핑 자리를 가졌다. 카페베네는 중국 올림픽 매장 내 상시 직원교육을 진행하며 질적 서비스를 유지하는 것은 물론 중국 본사 건물 내“ 아카데미를 설치하고 향후 지속적인 교육프로그램을 통해 서비스향상을 꾀할 예정이다.
이 날 김선권 대표는 “차(茶) 문화로 대표되던 중국에 커피 브랜드들의 진출과 마케팅이 활발한 것은 전통 음료인 차 대신 커피를 즐겨 마시는 젊은이들이 늘어나면서 커피에 대한 인식이 바뀌고 이에 따른 수요가 늘어난 때문이다”며 “무한 성장 가능성을 가진 중국시장에서 한국에서 카페베네가 선점브랜드와 경쟁해 시장을 리드 했듯 중국에서도 2년 이내에 경쟁 브랜드를 넘어설 것이다”고 밝혔다.
카페베네는 중국 베이징에 3개 매장 동시 개점한다. 추가적으로 베이징과 상하이에 매장을 개설하고 중국대륙에 한국 커피문화를 전파할 계획. 오픈 하는 왕징, 올림픽공원, 중관촌 등 3개 매장은 중국 현지인들에게 차별화된 한국 커피전문점 이미지를 그대로 소개하기 위해 한국과 동일한 인테리어를 기준으로 꾸며졌다.
카페베네가 중국진출을 기념해 진행한 기념식에도 중기집단(中企集團)과 카페베네 전속모델인 한예슬씨가 참석해 자리를 더욱 빛냈다. 특히 한예슬은 기념식 이후 왕징푸마매장에서 교민과 중국 팬들을 대상으로 사인회도 진행했다. 또한, 한국에서의 매장 운영 노하우와 로스팅 기술 등 기본기를 바탕으로 중국 내 커피문화를 새롭게 선도해 3년 이내 2015년까지 매장 1500개를 돌파하겠다는 계획이다.
카페베네 관계자는 “카페베네의 신선한 커피와 함께 즐길 수 있는 와플과 케
  • 가격5,000
  • 페이지수22페이지
  • 등록일2013.10.25
  • 저작시기2013.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8798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