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례문화 - 우리나라의 종교문화와 종교별 장례문화를 알아본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장례문화 - 우리나라의 종교문화와 종교별 장례문화를 알아본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장례란? >

< 장례의 종류 >

< 현대 일반 절차 >
1. 임종-
2. 수시
3. 염습
4. 입관
5. 조문-
6. 발인

< 종교별 장례 >
1. 불교
2. 기독교
3. 천주교

본문내용

구차에 싣는다.
- 이어서 그 앞에 제상을 차려서 제물을 진설한 다음 축관이 분향과 함께 술잔을 올리고 견전고사(遣奠告辭)를 읽은 후 상주 이하 복인이 곡을 하며 재배한다.
- 발인식장에는 영구 앞에 고인의 사진이나 혼백을 모시고 명정을 세우며, 촛대와 향합 및 위패를 준비한다.
< 종교별 장례 >
1. 불교
불교식 상례는 임종에서부터 입관까지의 절차가 일반상례와 대동소이(大同小異)하며 오직 영결식의 방법이 다를 뿐이다. 불교에서는 장례식을 '다비식(茶毘式)'이라고 하는데, 다비란 불에 태운다는 뜻으로 화장을 일컫는 말이다. 다비식은 불교의 의례 규범인 '석문의범(釋門儀範)'에서 설명하고 있지만 그리 자세하지는 않고 다만 추도의식의 순서만 그에 따라 장례의식을 거행한다. 임종에서부터 입관까지의 절차는 일반장례식과 거의 비슷하지만 영결식만은 다비에 의한 순서로 한다.
2. 기독교
기독교식 상례에서는 운명하기 전 임종에서부터 하관에 이르기까지 모든 절차가 목사의 집례(執禮) 아래 이루어진다다. 임종과 더불어 찬송과 기도로 고인의 영혼을 하나님께 맡기는 뜻의 예배를 본다다. 초종 중에는 매일 목사의 집례 아래 기도회를 갖고,유가족은 아침저녁으로 빈소에서 기도회를 가지며 찬송이 끊이지 않게 하며 영혼을 하나님 앞으로 가까이 가게 한다. 일반 상례와 틀린 점은 곡을 하지 않으며, 음식을 차리지 않고, 절을 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또 조석으로 전을 올리거나 상식을 올리지 않으며, 염습시에 매장포로 묶지도 않습니다.
3. 천주교
가톨릭교에서는 죽음을 공포라든가, 심판이라는 어두운 의미로 받아들이지 않고, 천국에 계시는 하느님 곁으로 인도되는 것으로 믿는다. 상례의 절차는 ‘성교예규(聖敎禮規)’에 따라서 종부성사(終傅聖事) ·운명 ·초상 ·연(煉)미사 ·장례식의 순으로 진행된다. 장례일에 행하는 장례미사는 일반적으로 고인이 소속한 성당에서 거행된다. 집에서 출관할 때는 신부가 성서의 일부를 읽고 짧은 기도를 올린다. 그 뒤 유족이 최후의 대면을 하고 성당으로 향한다. 영구가 성당에 도착하면 중앙에 안치되고, 그 주위에는 신앙의 빛을 상징하는 촛불을 밝힌다. 미사의 마지막 부분에는 고별식이 있는데, 이는 시체를 발인하기 전에 신자들이 마지막으로 가는 고인에게 인사하는 예식이다. 이어 영구는 장지로 옮겨져 매장 또는 화장을 한다. 장례 후 3일 ·7일 ·30일에 성당에서 연미사와 가족의 영성체(領聖體)를 행한다

키워드

장례,   문화,   한국,   발인,   임종,   장례의 종류,   절차,   종교별 장례,   입관
  • 가격2,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3.10.25
  • 저작시기2013.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8803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