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서 론...............p. 1
II. 본 론...............p. 2
1. 생식세포 발달과정의 조작
2. 치료 차원의 유전자조작
3. 배아복제
4. 인격체존엄성 대 인간존엄성
5. 유전공학의 진보와 인류의 미래
III. 결 론...............p. 14
* 참고자료...............p. 15
II. 본 론...............p. 2
1. 생식세포 발달과정의 조작
2. 치료 차원의 유전자조작
3. 배아복제
4. 인격체존엄성 대 인간존엄성
5. 유전공학의 진보와 인류의 미래
III. 결 론...............p. 14
* 참고자료...............p. 15
본문내용
인간의 장기이식술은 불치, 난치의 질환을 치료하는 확실한 수단으로 수십 년 전부터 사용되어 이제는 일반치료술로 인정받고 있으며 생명을 살리는 중요한 수단이 되고 있다. 그러나 현실적인 문제로 장기공급원이 절대적으로 부족하지만 이를 해결할 만족스런 방법은 없는 형편이다. 장기부족 문제를 해결하는 데는 의공학적 접근법에 의한 인공장기의 개발과 형질전환 동물의 생산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돼지 등 이종 동물의 장기를 이식하면 이종항원에 의한 거부반응이 일어나 이식이 실패하게 된다. 따라서 문제가 되는 이종항원을 유전자조작기법으로 사전에 파괴하거나, 이식 후 인간면역세포와 반응하는 장기 세포의 반응도를 떨어뜨리는 유전자를 주입하거나 해서 인간에게 이식해도 별 문제가 없는 형질전환동물을 만들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이렇게 만든 동물을 체세포복제기법으로 복제한다면 많은 수의 이식 가능한 장기를 손쉽게 얻을 수 있는 것이다.
⑥ 질병모델 동물의 생산
인간을 대상으로 한 질병 연구는 한계가 있으므로 연구자들은 각종 동물 모델을 만들어 그 병을 연구하려는 노력을 오래 전부터 해 왔다. 지금까지는 돌연변이나 우연에 의지해 왔지만 유전자조작기법을 적용하면 우리가 원하는 동물에서 원하는 질병모델동물을 얻을 수 있다. 예컨대 특정 암을 가진 쥐나 당뇨병, 파킨슨병을 가진 생쥐 등을 만들어 이를 체세포복제기법으로 대량생산한다면 연구에 쓸 수 있는 질병 모델을 얼마든지 얻을 수 있으며 이는 해당 질병의 연구와 치료제의 개발에 엄청난 가치를 지닌다. 또 동물을 대상으로 실험을 할 때 각 개체간의 다양한 유전형질의 차이로 인해 의미 있는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지금까지는 근친교배로 순계혈통의 실험동물을 얻어 이런 문제를 해결해 왔지만 체세포복제기술은 한결 쉽고 간단하게 동일한 유전형질을 가진 실험동물을 대량생산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실험과 연구를 가능하게 할 것이다.
⑦ 세포, 유전자 치료
현재 백혈병, 파킨슨병, 당뇨병 등에 걸린 환자에게 장애가 생긴 세포를 대신하는 정상 세포를 외부에서 배양, 주입하여 치료하려는 시도가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면역학적 거부반응의 문제 때문에 주입하는 정상 세포는 배아기간세포로부터 얻은 것을 사용한다. 이 단계의 세포는 아직 면역 반응을 일으킬 만큼 성숙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인간 세포가 난자 없이도 재프로그래밍 되는 과정을 이해하게 되면 환자 자신의 세포를 역분화 시켜 사용할 수 있으므로 면역학적 거부반응의 문제나 배아 세포를 사용하는 데 대한 윤리적인 문제를 줄일 수 있다. 아울러 이 과정을 더욱 완벽하게 이해한다면 심지어는 손상된 장기나 신체 부분을 세포 하나로부터 재발생 시킬 수 있다는 기대도 해볼 수 있다.
사 례)
2007.06.08 일반세포로 줄기세포 대체 성공
(일본 과학자들이 생쥐의 피부 세포에 간단한 유전자 조작을 가해 배아줄기세포와 비슷한 상태로 만드는데 성공, 문화일보)
2007.06.23 누에 유전자 조작으로 명주실 색깔 낼 수 있다
(사쿠도 타카시 교수 등 도쿄 대학 연구진이 미국립과학원회보(PNAS)최신호에 기재한 연구보고서)
2007.06.23 인간 단백질을 생산하는 쌀 재배
(모유에서 발견되는 단백질을 생산하는 유전자 조합쌀이 미국 캔자스주에서 재배될 예정이라고 2007년 5월 16일 미국농업부가 발표)
2-1) 반대입장: 적극적 우생학에 대한 한스 요나스의 비판
① 첫째, 유전자지도가 완성되어 우생학적 통제가 완벽하게 이루어진다하더라도 좋은 유전자와 나쁜 유전자, 바람직한 유전자와 바람직하지 못한 유전자의 판단기준이 불분명하다.
② 둘째, 우성유전자의 선별과 열성유전자의 도태를 통해서 우등한 인간을 길러내려는 - 이른바 인간사육(Menschenzuchtung)의 꿈의 실현-적극적 우생학은 궁극적으로 유전적 다양성을 파괴한다. 즉 특정소수를 위해 불특정다수가 배제됨으로써 유전적 획일화와 특성화가 이루어지고, 이러한 획일화와 특성화는 인간본질의 미 규정성의 파괴로 이어지게 된다.
③ 셋째, 적극적 우생학과 관련하여 제기될 수 있고, 또한 제기되지 않으면 안 될 이들 물음을-즉 좋은 유전자와 나쁜 유전자에 대한 기준과 인간의 본질에 대한 물음-심각하게 제기하지 않는 한 적극적 우생학은 근시안적 일 수밖에 없다. 우와 열에 대한 판단이 한시대와 사회에서 통용되는 합의를 통해서 이루어진다할지라도, 그것은 일시적 선호도에 의한 것 일뿐이다.(p.177) Hans Jonas, Das Prinzip Verantwortung: Versuch einer Ethik fur die technologische Zivilisation, Frankfurt am Main 1979. 한국어판: 요나스지음, 이진우옮김, 『책임의원칙』, 서광사, 1994.
2-2) 반대입장: 적극적 유생학에 대한 하버마스의 비판
자유주의적 우생학은 인간과 사물에 놓여 있는 존재론적 차이를 망각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제 아무리 힘들고 고통스럽고 불행해 질지라도-자식 스스로 영위해 나가야하는 삶의 공동 저자가 되려는 지나친 욕심을 애써 정당화 하려는 우를 범하고 있다. 인간의 삶이 다른 존재자의 삶과 다른 것은 그것이 일방적으로 주어져 있는 궤도를 따르지 않는다는 것, 즉 자기 삶의 저자는 오직 자기 자신 일수 밖에 없다는 엄연한 사실에서 비롯된다. 인간의 존엄성과 인격의 고유한 가치는 바로 이러한 삶의 고유성과 독립성, 그리고 침해 불가능성에 놓여 있는 것이다. Habermas, J.: Die Zukunft der menschlichen Natur. Auf dem Weg zu einer liberalen Eugenik?, Frankfurt am Main 2001. 82쪽이하참조.
사 례) 유전자 조작식품에 대한 비판
왜 생명공학은 세계를 먹여 살릴 수 없는가? 『why biotechnoligy and High-tech Agriculture Can\'t Feed the World?\", The Ecologists, Oct./Nov.1998, p294~98
(앤드류 킴브렐)
세계적인 기아의 주원인은 식량부족에 있다.
=> 일차적인 원인은 식량의존이다. 농민들이 토지로부터
⑥ 질병모델 동물의 생산
인간을 대상으로 한 질병 연구는 한계가 있으므로 연구자들은 각종 동물 모델을 만들어 그 병을 연구하려는 노력을 오래 전부터 해 왔다. 지금까지는 돌연변이나 우연에 의지해 왔지만 유전자조작기법을 적용하면 우리가 원하는 동물에서 원하는 질병모델동물을 얻을 수 있다. 예컨대 특정 암을 가진 쥐나 당뇨병, 파킨슨병을 가진 생쥐 등을 만들어 이를 체세포복제기법으로 대량생산한다면 연구에 쓸 수 있는 질병 모델을 얼마든지 얻을 수 있으며 이는 해당 질병의 연구와 치료제의 개발에 엄청난 가치를 지닌다. 또 동물을 대상으로 실험을 할 때 각 개체간의 다양한 유전형질의 차이로 인해 의미 있는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지금까지는 근친교배로 순계혈통의 실험동물을 얻어 이런 문제를 해결해 왔지만 체세포복제기술은 한결 쉽고 간단하게 동일한 유전형질을 가진 실험동물을 대량생산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실험과 연구를 가능하게 할 것이다.
⑦ 세포, 유전자 치료
현재 백혈병, 파킨슨병, 당뇨병 등에 걸린 환자에게 장애가 생긴 세포를 대신하는 정상 세포를 외부에서 배양, 주입하여 치료하려는 시도가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면역학적 거부반응의 문제 때문에 주입하는 정상 세포는 배아기간세포로부터 얻은 것을 사용한다. 이 단계의 세포는 아직 면역 반응을 일으킬 만큼 성숙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인간 세포가 난자 없이도 재프로그래밍 되는 과정을 이해하게 되면 환자 자신의 세포를 역분화 시켜 사용할 수 있으므로 면역학적 거부반응의 문제나 배아 세포를 사용하는 데 대한 윤리적인 문제를 줄일 수 있다. 아울러 이 과정을 더욱 완벽하게 이해한다면 심지어는 손상된 장기나 신체 부분을 세포 하나로부터 재발생 시킬 수 있다는 기대도 해볼 수 있다.
사 례)
2007.06.08 일반세포로 줄기세포 대체 성공
(일본 과학자들이 생쥐의 피부 세포에 간단한 유전자 조작을 가해 배아줄기세포와 비슷한 상태로 만드는데 성공, 문화일보)
2007.06.23 누에 유전자 조작으로 명주실 색깔 낼 수 있다
(사쿠도 타카시 교수 등 도쿄 대학 연구진이 미국립과학원회보(PNAS)최신호에 기재한 연구보고서)
2007.06.23 인간 단백질을 생산하는 쌀 재배
(모유에서 발견되는 단백질을 생산하는 유전자 조합쌀이 미국 캔자스주에서 재배될 예정이라고 2007년 5월 16일 미국농업부가 발표)
2-1) 반대입장: 적극적 우생학에 대한 한스 요나스의 비판
① 첫째, 유전자지도가 완성되어 우생학적 통제가 완벽하게 이루어진다하더라도 좋은 유전자와 나쁜 유전자, 바람직한 유전자와 바람직하지 못한 유전자의 판단기준이 불분명하다.
② 둘째, 우성유전자의 선별과 열성유전자의 도태를 통해서 우등한 인간을 길러내려는 - 이른바 인간사육(Menschenzuchtung)의 꿈의 실현-적극적 우생학은 궁극적으로 유전적 다양성을 파괴한다. 즉 특정소수를 위해 불특정다수가 배제됨으로써 유전적 획일화와 특성화가 이루어지고, 이러한 획일화와 특성화는 인간본질의 미 규정성의 파괴로 이어지게 된다.
③ 셋째, 적극적 우생학과 관련하여 제기될 수 있고, 또한 제기되지 않으면 안 될 이들 물음을-즉 좋은 유전자와 나쁜 유전자에 대한 기준과 인간의 본질에 대한 물음-심각하게 제기하지 않는 한 적극적 우생학은 근시안적 일 수밖에 없다. 우와 열에 대한 판단이 한시대와 사회에서 통용되는 합의를 통해서 이루어진다할지라도, 그것은 일시적 선호도에 의한 것 일뿐이다.(p.177) Hans Jonas, Das Prinzip Verantwortung: Versuch einer Ethik fur die technologische Zivilisation, Frankfurt am Main 1979. 한국어판: 요나스지음, 이진우옮김, 『책임의원칙』, 서광사, 1994.
2-2) 반대입장: 적극적 유생학에 대한 하버마스의 비판
자유주의적 우생학은 인간과 사물에 놓여 있는 존재론적 차이를 망각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제 아무리 힘들고 고통스럽고 불행해 질지라도-자식 스스로 영위해 나가야하는 삶의 공동 저자가 되려는 지나친 욕심을 애써 정당화 하려는 우를 범하고 있다. 인간의 삶이 다른 존재자의 삶과 다른 것은 그것이 일방적으로 주어져 있는 궤도를 따르지 않는다는 것, 즉 자기 삶의 저자는 오직 자기 자신 일수 밖에 없다는 엄연한 사실에서 비롯된다. 인간의 존엄성과 인격의 고유한 가치는 바로 이러한 삶의 고유성과 독립성, 그리고 침해 불가능성에 놓여 있는 것이다. Habermas, J.: Die Zukunft der menschlichen Natur. Auf dem Weg zu einer liberalen Eugenik?, Frankfurt am Main 2001. 82쪽이하참조.
사 례) 유전자 조작식품에 대한 비판
왜 생명공학은 세계를 먹여 살릴 수 없는가? 『why biotechnoligy and High-tech Agriculture Can\'t Feed the World?\", The Ecologists, Oct./Nov.1998, p294~98
(앤드류 킴브렐)
세계적인 기아의 주원인은 식량부족에 있다.
=> 일차적인 원인은 식량의존이다. 농민들이 토지로부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