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 마지막으로 캐시와 헤어턴의 결말의 사랑이다. 여기서 작품의 주축을 이루는 것은 히스클리프와 캐서린의 사랑이다. 이 사랑이 시작되어 교감을 나누다가 캐서린이 히스클리프가 아닌 에드거를 선택함으로써 사랑에 대한 순종보다는 사회적 통념, 혹은 현실적인 조건을 선택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캐서린의 사랑이 끝난 것이 아니었기 때문에 캐서린은 끊임없이 히스클리프와 교감을 나누기를 바라며, 히스클리프가 가진 광란의 사랑을 안타까워한다. 여기에서 삼각관계를 이루는 에드거는 아내를 사랑하면서, 아내를 사랑하는 다른 축인 히스클리프를 증오하게 되는데, 소설 내의 삼각관계는 캐서린과 히스클리프, 에드거처럼 모두 삼각관계를 드러내게 된다.
곧 히스클리프의 사랑은 애증으로 변하게 되면서 히스클리프와 캐서린 주위의 인물들은 모두 불행에 빠지게 된다. 히스클리프는 캐서린에 대한 애증으로 이자벨라와 결혼, 이자벨라에 대한 폭력을 통해, 처음부터 애정이 아닌 증오의 관계를 보여준다. 분노와 복수로 이어진 결혼 생활이 오래갈 리가 없었고, 곧 이자벨라는 런던 근처로 도망, 린턴을 낳게 된다. 그러나 히스클리프의 분노는 그의 대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캐서린의 조카이며 힌들러의 아들인 헤어턴과 캐서린의 딸 캐시, 히스클리프의 아들 린턴에까지 이르게 된다.
캐서린이 선택한 현실적 조건은 히스클리프에 대한 배신으로 드러나 히스클리프는 그의 사랑을 억눌린 방향으로, 모순과 혼돈으로 나타내 보인다. 그는 결국 두 집안을 그의 손아귀에 넣고 모든 사람을 좌지우지하는 입장에서 불행에 빠뜨린다.
이 소설에서 나타나는 ‘사랑’이라는 것은 매우 힘겹고 증오스럽다. 어쩌면 ‘정상적인’사랑을 하는 사람들이 이 세상에 몇이나 될까 하는 생각이 든다. 그러나 어쩌면 집착에 가까운 히드클리프의 사랑은 영원할 것이며, 언제까지나 무한할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이 소설 전체적으로 사랑은 복잡하게 얽혀있고 격정적이라고 할 수 있다. 사랑하지만 결합할 수 없는 남녀와 그런 여자를 사랑하는 남자가 등장하고 그들의 후손에까지 이런 사랑은 이어진다. 불안하고 복잡한 사랑을 잘 나타내 주는 것이 폭풍이 몰아치는 저택이라고 생각한다. 외부에서 내부로 이야기가 도입될 때도 폭풍의 언덕이 등장하고 히스클리프가 상처받고 사라질 때, 캐서린이 아이를 낳다 죽는 밤에도 폭풍이 미친듯이 몰아친다. 이는 이야기의 전환(외부->내부이동, 후손으로 이야기 전달- 캐서린 출산으로)에 도움이 되며 그들의 사랑을 대변해 준다. 하지만 폭풍이 지나가면 언제 그랬느냐는 듯이 그 다음날은 맑은 날이 된다. 이처럼 그들의 사랑이 격정적이고 비극적으로 전개됐지만 마지막에는 후손들이 결합함으로써 맑은 날이 이어진다는 암시가 나타난다. 소설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사랑은 모두 정상적인 방향으로 진행되지는 않는다. 그러나 해어턴과 캐시에서 생겨나는 사랑만큼은 우리가 생각하는 순수하고 진실된 사랑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을 것이다. 히스클리프가 가졌던 복수의 의지를 희석시키는 이들의 사랑이 작가가 이야기하고자 하는 사랑은 아니었을까.
곧 히스클리프의 사랑은 애증으로 변하게 되면서 히스클리프와 캐서린 주위의 인물들은 모두 불행에 빠지게 된다. 히스클리프는 캐서린에 대한 애증으로 이자벨라와 결혼, 이자벨라에 대한 폭력을 통해, 처음부터 애정이 아닌 증오의 관계를 보여준다. 분노와 복수로 이어진 결혼 생활이 오래갈 리가 없었고, 곧 이자벨라는 런던 근처로 도망, 린턴을 낳게 된다. 그러나 히스클리프의 분노는 그의 대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캐서린의 조카이며 힌들러의 아들인 헤어턴과 캐서린의 딸 캐시, 히스클리프의 아들 린턴에까지 이르게 된다.
캐서린이 선택한 현실적 조건은 히스클리프에 대한 배신으로 드러나 히스클리프는 그의 사랑을 억눌린 방향으로, 모순과 혼돈으로 나타내 보인다. 그는 결국 두 집안을 그의 손아귀에 넣고 모든 사람을 좌지우지하는 입장에서 불행에 빠뜨린다.
이 소설에서 나타나는 ‘사랑’이라는 것은 매우 힘겹고 증오스럽다. 어쩌면 ‘정상적인’사랑을 하는 사람들이 이 세상에 몇이나 될까 하는 생각이 든다. 그러나 어쩌면 집착에 가까운 히드클리프의 사랑은 영원할 것이며, 언제까지나 무한할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이 소설 전체적으로 사랑은 복잡하게 얽혀있고 격정적이라고 할 수 있다. 사랑하지만 결합할 수 없는 남녀와 그런 여자를 사랑하는 남자가 등장하고 그들의 후손에까지 이런 사랑은 이어진다. 불안하고 복잡한 사랑을 잘 나타내 주는 것이 폭풍이 몰아치는 저택이라고 생각한다. 외부에서 내부로 이야기가 도입될 때도 폭풍의 언덕이 등장하고 히스클리프가 상처받고 사라질 때, 캐서린이 아이를 낳다 죽는 밤에도 폭풍이 미친듯이 몰아친다. 이는 이야기의 전환(외부->내부이동, 후손으로 이야기 전달- 캐서린 출산으로)에 도움이 되며 그들의 사랑을 대변해 준다. 하지만 폭풍이 지나가면 언제 그랬느냐는 듯이 그 다음날은 맑은 날이 된다. 이처럼 그들의 사랑이 격정적이고 비극적으로 전개됐지만 마지막에는 후손들이 결합함으로써 맑은 날이 이어진다는 암시가 나타난다. 소설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사랑은 모두 정상적인 방향으로 진행되지는 않는다. 그러나 해어턴과 캐시에서 생겨나는 사랑만큼은 우리가 생각하는 순수하고 진실된 사랑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을 것이다. 히스클리프가 가졌던 복수의 의지를 희석시키는 이들의 사랑이 작가가 이야기하고자 하는 사랑은 아니었을까.
추천자료
[인쇄매체][인쇄매체광고][인쇄광고][신문광고]인쇄매체의 개념, 인쇄매체의 종류와 인쇄매체...
GPS(위성항법장치)의 개념, GPS(위성항법장치)의 구성, GPS(위성항법장치)의 이용분야와 GPS(...
[IMT-2000][동기식][비동기식]IMT-2000의 정의, IMT-2000의 목표, IMT-2000의 특성, IMT-2000...
[통일][통일운동][남북통일][남북분단][통일운동 발전 과제][통일운동 새로운 방향][통일운동...
[음성패킷망][VoIP]음성패킷망(VoIP)의 의미, 음성패킷망(VoIP)의 구성, 음성패킷망(VoIP)의 ...
[현장토론의 개념][현장토론의운영][현장토론의 구성원역할][현장토론의 사례][현장토론의 효...
[사랑][사랑의 정의][사랑의 분류][사랑의 능력][사랑의 적][사랑의 실천][러브][love]사랑의...
브루너교수학습이론(발견학습이론)의 의미와 의의, 브루너교수학습이론(발견학습이론)의 특징...
[협력학습][협력학습 절차][협력학습 방법]협력학습의 의미, 협력학습의 유형, 협력학습의 이...
[과학교육]과학과교육(학습)의 성격, 과학과교육(학습)의 목표, 과학과교육(학습)의 과정, 과...
[교육과정][교사][학생][교육과정의 과제]교육과정의 의미, 교육과정의 성격, 교육과정의 변...
베르메르의 Girl with a pearl earring 업적, 대표작품, 그림의 의미, 업적에 대한 분석과 평...
글쓰기의 이론과 실제, 문학적 글쓰기, 학문적 글쓰기, 글쓰기의 가치, 의미, 과정, 진술방식...
박정희 정권 분석과 정책 분석 및 역사적 의미_ 박정희정권 경제개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