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후보 공약 비교평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대선 후보 공약 비교평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탕으로 합의의 세부 사항은 현실에 맞춰 조정해가며 실천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남북간 기존 합의를 유지하겠다는 입장은 이전 정부의 대북정책의 기조를 유지하겠다는 입장으로 볼 수 있다. 신뢰,균형 외교로서 평화정착-경제-정치 3단계의 통일정책을 공약으로 제시하고 있으나, 남북정상회담에 대해서는 검토 중이며 천안함, 연평도 사건에 대해서는 공식 사과를 요구하는 입장, 금강산 관광도 재개하기 보단 재발 방지를 우선하고 북한이 사과하기 전까지는 재개하지 않겠다는 박 후보의 공약은 이전 정부의 강경한 대북 정책을 따라갈 것임을 보인다.
반면 문재인 후보는 “남북관계 발전과 북핵문제 해결, 평화체제 구축을 병행 추진해 가겠다”고 밝혔다. 문 후보의 정책으로 5·24조치 해제, 금강산 관광 재개, 개성공단 확대, 서해평화협력특별지대 관련 대화, 이산가족 상봉 재개, 국군포로·납북자 문제 협의, 정상회담 등을 제시할 수 있는데, 참여정부의 평화협력정책을 계승하면서도 남북간 포괄적 경제협약을 체결하며, 박 후보보다 상대적으로 적극적이고 전면적인 대북정책을 실시할 것으로 보인다. 천안함와 연평도 사건에 대해서도 박후보와는 다르게 대화과정에서 사과가 가능하다는 비교적 온건한 입장 취하고 있다.
.
두 후보의 대북정책 공약의 한계점에 대해 알아보자.
문재인 후보의 대북정책 공약의 한계점은 햇볕정책이 아닐까 싶다. 햇볕정책의 직접적인 한계점보다는 이 정책을 바라보는 국민들의 시선에 한계점이 있다고 본다. 무조건 북한에 퍼주기 식이라고 바라보고 있는 국민들의 생각을 돌리고 이해시키는 것이 가장 큰 숙제이며, 햇볕정책을 통해서 북한을 통제할 수 없다는 점에서는 직접적인 햇볕정책의 한계점이라고본다.
박근혜 후보의 대북정책에는 완전히 새로운 내용은 없지만 위기를 기회로 반전시키는 발상을 통해 교 남북관계의 얽힌 실타래를 풀어나갈 수 있다는 전망을 제시한 것은 매우 전략적인 선택이다. 하지만 한계점은 어떻게 현실 속에서 구체적으로 이 정책을 실천해 나가는 것이다. 특히 국제사회의 규범을 무시해온 북한을 상대로 새 대북정책을 펴나가는 일은 말처럼 쉬운 일은 아닐 것이므로 이것은 박근혜 후보의 숙제이자 한계점이라고 본다.
이렇게 두 후보의 주요정책에 대해 알아보았고 공약에 대한 한계점도 살펴보았다. 이를 통. 두 후보의 공약의 특징과 한계점을 파악하고 19일 대선 때 후회 없는 투표에 있어 내 생각을 정립해 볼 수 있는 시간이 되었다.
\'
  • 가격4,2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3.11.17
  • 저작시기2013.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9337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