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서론
1.1 이 건축가에 대해 조사하게 된 배경
1.2 도니미크 페로, 그는 누구인가?
2.본론
2.1 도미니크페로의 건축사상
2.2 도미니크페로의 건축작품 분석
2.2.1 프랑스 국립도서관
2.2.2 이화여대 캠퍼스 센터
2.2.2.1 글로벌리즘과 문화정체성의 관점에서 본 ECC
2.2.3 베를린 올림픽 자전거 경기장과 수영장
2.2.4 Aplix 공장
2.2.5 마드리드 테니스 구장
2.2.6 Francois Pinault foundation for contemporary Art
2.2.7 마린스키 극장
2.2.8 밀라노 호텔
3.결론
3.1 느낀 점
1.1 이 건축가에 대해 조사하게 된 배경
1.2 도니미크 페로, 그는 누구인가?
2.본론
2.1 도미니크페로의 건축사상
2.2 도미니크페로의 건축작품 분석
2.2.1 프랑스 국립도서관
2.2.2 이화여대 캠퍼스 센터
2.2.2.1 글로벌리즘과 문화정체성의 관점에서 본 ECC
2.2.3 베를린 올림픽 자전거 경기장과 수영장
2.2.4 Aplix 공장
2.2.5 마드리드 테니스 구장
2.2.6 Francois Pinault foundation for contemporary Art
2.2.7 마린스키 극장
2.2.8 밀라노 호텔
3.결론
3.1 느낀 점
본문내용
이션이 이루어지지 않아 건축물의 질이 떨어지는 상황들이라던가 그리고 대부분의 우리나라 거대건축주들은 세계적인 건축가들의 건축보다 그들의 스타성에 의존하여 유명세를 역이용해 외관만 설계를 부탁한다든지 하는 여러 부작용들이 발생하고 있다. 그렇게 지어진 건축물은 글로벌리즘이라는 이름의 껍데기로 화려할지는 몰라도 그 나라, 도시가 가지고 있던 특유의 문화적, 지역적인 정체성은 잃어버린 채 유명건축가의 이름만 빌려 상업적인 기능만 남게 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지역성은 설계 프로젝트 작업시 가장 고려되어야 하는 요소이다. 다른 나라에서 작업하게 되는 의식 있는 건축가라면 설계를 의뢰받는 나라가 어디인지에 따라 먼저 그 지역의 특성, 사람, 문화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접근하는 것이 기본이 되어야 할 것이다. 세계화의 측면에서 중요한 것은 폐쇄적인 시각이 아닌 열린 지역성을 지향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런 측면에서 도미니크 페로가 설계한 ECC는 건축의 글로벌리즘의 과도기선상에 놓여있는 작품가운데 긍정적인 평가를 받을 만한 요소를 가지고 있다. 전형적인 프랑스 건축가인 페로가 한국에서 특정 공간의 건축물을 설계하고자 했을 때 고려하였던 지역적, 문화적 특성들이 건물에 어느 정도 반영된 것이 눈에 띈다. 아마도 동양만이 가지고 있는 여백의 미에 대해서 고려한 것 같다. 여백의 개념을 적용하여 자연지형과 맞물려 캠퍼스 한복판을 가로 짓는 계곡형태의 빈 공간을 둠으로써 자연과의 조화를 꾀한 것에서 나아가 열린 개방성을 통해 신촌이라는 도시와의 연결점을 찾고자 노력했다. 그와 함께 외부공간은 프랑스식 정원을 접목시켜 녹지파크를 만들어냈다. 야경을 보게 되면 건축의 메탈리컬한 느낌은 거울을 보는 듯한 느낌이 들게 하였고 이로 인해 체류자는 속을 투과하는 듯 하게 물 밑을 보는 기분을 자아내도록 신경 썼다고 한다.
그 밖의 여러 가지의 건축 요소들이 동서양의 전통적 미의식이 조화를 이루어 녹아있는 ECC, 이 건축물은 건축가의 숨겨진 노력으로 인해 글로벌리즘과 문화정체성이 서로 선순환을 그려가며 공간에 대한 거부감을 없애고 있는 성공적인 작품이 아닌가 생각한다.
2.2.3 베를린 올림픽 자전거 경기장과 수영장 (Berlin, Germany 1992-1999)
이 프로젝트는 독일의 통일과 관계가 있다. 과거 서로 다른 개발속도로 인해 도시의 모습이 다를 수 밖에 없었던 동독과 서독 두 도시를 연결하고, 그 안에 스포츠시설 뿐만 아니라 그 시설을 지원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통합 계획으로 이 프로젝트를 시작하게 되었다. 이 프로젝트 숨겨진 도시 개념은 균형 있는 크기의 녹지 공간을 조성하는 것과 그 중앙에 건물을 심는 것 이었다. 그런 의미에서 도미니크 페로의 도시안에 과수원을 만들기로 하였다. 즉, 사과나무를 심는 것이다. 과수원을 보고 걸으면서 접근할 때 대지는 시작되고 땅을 약간 파서 사람들이 자유롭게 건축물에 접근하도록 하였으며, 철망으로 덮인 두 개의 볼륨(하나의 둥글고 하나는 사각형)은 1m 높이에서 펼쳐지게 만들었다. 두 볼륨의 금속표면은 햇빛에 반사되어 반짝거리고 한눈에 봤을 때 건물이라기보다는 과수원의 중심에 있는 반짝이는 호수처럼 보인다. 프랑스 국립도서관이 건축물 내부에 정원(땅)을 포함하였다면 베를린 올림픽 자전거 경기장과 수영장은 녹지 안에 건물을 위치시켜 프랑스 국립도서관과는 상반된 개념을 가지고 있다.
2.2.4 Aplix 공장 (Le Cellier, France, 1997-1999)
Aplix 공장에 나타난 두드러진 특징은 경관(자연)과의 조화에 있다. 메탈 패널이 거울과 같은 효과를 만들어 내어 주변 경관을 반사하여 풍경을 2배로 확장(연장)시켜 보여주도록 계획 하였다. 일반적으로 공장이라는 곳은 환경오염을 촉진시키는 주범이라는 좋지 않은 이미지를 가지고 있는데, 주변의 자연을 건축물로 끌어들이는 아이디어를 통해 공장에 대한 좋지 않은 이미지를 순화시켜 일반 공장의 외부 디자인과는 다른 독특한 느낌이 든다.
2.2.5 마드리드 테니스 구장 (Madrid, Spain 2002-2009)
마드리드의 올림픽 테니스 센터는 넓은 공원에 마련된 생태 호수 옆에 위치하고 있다. 본래 이 지역은 철도, 고속도로가 지나가는 자리로 개발이 거의 없었던 지역이었기 때문에 테니스 구장의 건축을 새로운 개발의 축으로 하고자 계획하였다.
조용한 주변 환경은 페로의 웅장한 대규모 건축물의 완벽한 배경이 된다. 이 건물 감싸는 메탈패널은 낮에 주변을 반사하며, 밤이면 조명이 밝혀져 내부의 엄격한 기하학적 형태를 겉으로 드러낸다. 색채와 조명이 자아내는 외부적인 효과와 내부에서 일어나는 일이 밖에서도 보인다는 사실 때문에 페로는 이 건물에 매직박스라는 별명을 붙여주었다.
이 매직 박스가 가진 가장 큰 특징은 조정 가능한 금속 지붕이다. 세 개의 지붕은 날씨에 따라, 그 용도에 따라, 부분적으로 혹은 완전히 여닫을 수 있다. 이는 마치 거대한 판지 상자의 뚜껑이 열리는 것 같은 효과를 주며, 각각의 뚜껑은 그 안에 있는 사람들에게 최상의 환경을 제공해 주도록 각도가 맞춰져 있는 듯하다. 스페인 테니스의 본거지에게 주어지는 혜택으로 이 센터에는 선수와 관중 모두를 위한 최신 시설을 갖추고 있다. 세 개의 주 코트는 각각 1만 2천 명, 5천 명, 3천 명의 관중을 수용할 수 있다. 게다가, 열여섯 개의 실외 코트, 다섯 개의 실내 코트, 천장이 있는 여섯 개의 훈련용 코트, 수영장과 식당까지 갖추고 있다.
2.2.6 Francois Pinault foundation for contemporary Art
이 프로젝트는 쎄느강 주변에 위치한 대지 위에 있어 지나가는 섬처럼 마치 흰색의 언덕이 강가에 자연스럽게 있는 느낌을 주고자 계획하였고, 별도의 입구(안과 밖)가 없도록 설계되었다고 한다. 이 프로젝트가 비록 채택되지는 않았지만 도미니크 페로의 디자인이 메탈 패브릭을 컨셉으로 하는 것에 모티브가 되었던 작품이라고 한다. 도미니크 페로는 웨딩드레스의 베일에서 영감을 받아 메탈 패브릭을 사용하여 건축물이 나타나기도 하고 사라지기도 하는 효과를 표현하고자 하였다. 이 프로젝트는
지역성은 설계 프로젝트 작업시 가장 고려되어야 하는 요소이다. 다른 나라에서 작업하게 되는 의식 있는 건축가라면 설계를 의뢰받는 나라가 어디인지에 따라 먼저 그 지역의 특성, 사람, 문화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접근하는 것이 기본이 되어야 할 것이다. 세계화의 측면에서 중요한 것은 폐쇄적인 시각이 아닌 열린 지역성을 지향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런 측면에서 도미니크 페로가 설계한 ECC는 건축의 글로벌리즘의 과도기선상에 놓여있는 작품가운데 긍정적인 평가를 받을 만한 요소를 가지고 있다. 전형적인 프랑스 건축가인 페로가 한국에서 특정 공간의 건축물을 설계하고자 했을 때 고려하였던 지역적, 문화적 특성들이 건물에 어느 정도 반영된 것이 눈에 띈다. 아마도 동양만이 가지고 있는 여백의 미에 대해서 고려한 것 같다. 여백의 개념을 적용하여 자연지형과 맞물려 캠퍼스 한복판을 가로 짓는 계곡형태의 빈 공간을 둠으로써 자연과의 조화를 꾀한 것에서 나아가 열린 개방성을 통해 신촌이라는 도시와의 연결점을 찾고자 노력했다. 그와 함께 외부공간은 프랑스식 정원을 접목시켜 녹지파크를 만들어냈다. 야경을 보게 되면 건축의 메탈리컬한 느낌은 거울을 보는 듯한 느낌이 들게 하였고 이로 인해 체류자는 속을 투과하는 듯 하게 물 밑을 보는 기분을 자아내도록 신경 썼다고 한다.
그 밖의 여러 가지의 건축 요소들이 동서양의 전통적 미의식이 조화를 이루어 녹아있는 ECC, 이 건축물은 건축가의 숨겨진 노력으로 인해 글로벌리즘과 문화정체성이 서로 선순환을 그려가며 공간에 대한 거부감을 없애고 있는 성공적인 작품이 아닌가 생각한다.
2.2.3 베를린 올림픽 자전거 경기장과 수영장 (Berlin, Germany 1992-1999)
이 프로젝트는 독일의 통일과 관계가 있다. 과거 서로 다른 개발속도로 인해 도시의 모습이 다를 수 밖에 없었던 동독과 서독 두 도시를 연결하고, 그 안에 스포츠시설 뿐만 아니라 그 시설을 지원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통합 계획으로 이 프로젝트를 시작하게 되었다. 이 프로젝트 숨겨진 도시 개념은 균형 있는 크기의 녹지 공간을 조성하는 것과 그 중앙에 건물을 심는 것 이었다. 그런 의미에서 도미니크 페로의 도시안에 과수원을 만들기로 하였다. 즉, 사과나무를 심는 것이다. 과수원을 보고 걸으면서 접근할 때 대지는 시작되고 땅을 약간 파서 사람들이 자유롭게 건축물에 접근하도록 하였으며, 철망으로 덮인 두 개의 볼륨(하나의 둥글고 하나는 사각형)은 1m 높이에서 펼쳐지게 만들었다. 두 볼륨의 금속표면은 햇빛에 반사되어 반짝거리고 한눈에 봤을 때 건물이라기보다는 과수원의 중심에 있는 반짝이는 호수처럼 보인다. 프랑스 국립도서관이 건축물 내부에 정원(땅)을 포함하였다면 베를린 올림픽 자전거 경기장과 수영장은 녹지 안에 건물을 위치시켜 프랑스 국립도서관과는 상반된 개념을 가지고 있다.
2.2.4 Aplix 공장 (Le Cellier, France, 1997-1999)
Aplix 공장에 나타난 두드러진 특징은 경관(자연)과의 조화에 있다. 메탈 패널이 거울과 같은 효과를 만들어 내어 주변 경관을 반사하여 풍경을 2배로 확장(연장)시켜 보여주도록 계획 하였다. 일반적으로 공장이라는 곳은 환경오염을 촉진시키는 주범이라는 좋지 않은 이미지를 가지고 있는데, 주변의 자연을 건축물로 끌어들이는 아이디어를 통해 공장에 대한 좋지 않은 이미지를 순화시켜 일반 공장의 외부 디자인과는 다른 독특한 느낌이 든다.
2.2.5 마드리드 테니스 구장 (Madrid, Spain 2002-2009)
마드리드의 올림픽 테니스 센터는 넓은 공원에 마련된 생태 호수 옆에 위치하고 있다. 본래 이 지역은 철도, 고속도로가 지나가는 자리로 개발이 거의 없었던 지역이었기 때문에 테니스 구장의 건축을 새로운 개발의 축으로 하고자 계획하였다.
조용한 주변 환경은 페로의 웅장한 대규모 건축물의 완벽한 배경이 된다. 이 건물 감싸는 메탈패널은 낮에 주변을 반사하며, 밤이면 조명이 밝혀져 내부의 엄격한 기하학적 형태를 겉으로 드러낸다. 색채와 조명이 자아내는 외부적인 효과와 내부에서 일어나는 일이 밖에서도 보인다는 사실 때문에 페로는 이 건물에 매직박스라는 별명을 붙여주었다.
이 매직 박스가 가진 가장 큰 특징은 조정 가능한 금속 지붕이다. 세 개의 지붕은 날씨에 따라, 그 용도에 따라, 부분적으로 혹은 완전히 여닫을 수 있다. 이는 마치 거대한 판지 상자의 뚜껑이 열리는 것 같은 효과를 주며, 각각의 뚜껑은 그 안에 있는 사람들에게 최상의 환경을 제공해 주도록 각도가 맞춰져 있는 듯하다. 스페인 테니스의 본거지에게 주어지는 혜택으로 이 센터에는 선수와 관중 모두를 위한 최신 시설을 갖추고 있다. 세 개의 주 코트는 각각 1만 2천 명, 5천 명, 3천 명의 관중을 수용할 수 있다. 게다가, 열여섯 개의 실외 코트, 다섯 개의 실내 코트, 천장이 있는 여섯 개의 훈련용 코트, 수영장과 식당까지 갖추고 있다.
2.2.6 Francois Pinault foundation for contemporary Art
이 프로젝트는 쎄느강 주변에 위치한 대지 위에 있어 지나가는 섬처럼 마치 흰색의 언덕이 강가에 자연스럽게 있는 느낌을 주고자 계획하였고, 별도의 입구(안과 밖)가 없도록 설계되었다고 한다. 이 프로젝트가 비록 채택되지는 않았지만 도미니크 페로의 디자인이 메탈 패브릭을 컨셉으로 하는 것에 모티브가 되었던 작품이라고 한다. 도미니크 페로는 웨딩드레스의 베일에서 영감을 받아 메탈 패브릭을 사용하여 건축물이 나타나기도 하고 사라지기도 하는 효과를 표현하고자 하였다. 이 프로젝트는
추천자료
마리오 보타(Mario Botta)의 미술관건축 공간구성 특성연구
렘 쿨하스 작가분석 및 사례조사
네덜란드의 건축과 주거문화
그리스 파르테논과 로마 판테온의 역사적 가치
빌라사보아 최종보고서
[건축]러시아의 구성주의_미술 및 건축물 위주 설명
건축에 있어서 지역성 구현과 작품사례 분석 및 특성
상업공간 디자인의 이해
[세계의도시와건축]인간의 생활을 담는 그릇, 건축 바로 알기 서평
아돌프 로스와 근대건축
마리오 보타의 미술관 건축 및 공간구성 특성연구
[팝아트][팝아트의 발달][팝아트의 특징][팝아트의 시대적 배경][영국팝아트][팝아트의 작가]...
르꼬르뷔제, 필립존슨
필립존슨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