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VA 임상적 특징 및 치료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CVA 임상적 특징 및 치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CVA의 정의

▶ 원인
1. 허혈성(ischemia) - 80%차지
(1)혈전증(thormbisis)
(2) 색전증
2. 출형성 (hemorrage)
(1) 뇌내출혈(ICH)
(2) 지주막하 출혈( subarachnoid hemorrhage)

▶ 증상
1. 운동장애
(1) 움직임의 필요 조건
(2) 비정상적 근진장도
(3) 비정상적 반사
(4) 근육약화와 지구력 감소
(5) 근활동 양상의 변화
(6) 운동계획장애
(7) 비정상적인 균형반응
2. 반맹증(환측무시 hemianopsia)
3. 실어증(apasia)
4.연하장애(dyspagia) : 삼키는 것의 어려움
5. 체성 감각 결손
6. 실행증(apraxia) : 근육과 간각에 이상이 없음에도 행동을 바르게 못함
7. 인지 결손

Ⅳ.합병증
1. 피부문제
(1) 욕창
(2) 피부보전
(3) 연조직 길이 유지
2. 낙상

본문내용

이 한다.
(2) 피부보전
(3) 연조직 길이 유지
2. 낙상
▶성인편마비 환자에게서 나타나는 전형적인 자세
1.Head: 환측으로부터 반대편을 향해 회전되채 환측을 향해 lateral flexion.
2.U/E: 전형적으로 flexion synergy 패턴이다.
(1)scapula: depression, retraction
(2)shoulder: adducion, internal rotation
(3)elbow: flexion
(4)forearm: pronation
(5)wrist: flexion, ulnar deviation
(6)fingers: flexion
3.Trunk: 환측으로의 lateral flexion
4.L/E: 전형적으로 extension synergy 패턴이다.
(1)pelvis: posterior elevation, retraction
(2)hip: internal rotation, adduction, extension
(3)knee: extension
(4)ankle: plantar flexion, supination, inversion
(5)toes: flexion
▶반신마비 환자의 치료
1.회복단계
-일반적인 반신마비 환자의 회복단계
1단계 - 이완단계,수의적 운동 없음
2단계 - 연합반응, 협동동작(수의적), 강직 증가
3단계 - 강한강직, 협동동작 수의적으로 함
4단계 - 협동동작에서 몇 가지 분리 운동이 가능
5단계 - 협동동작이 저하되고, 어려운 동작의 분리 운동 가능
6단계 - 강직이 없고, 개별적인 관절운동과 협조운동이 정상에 가까워짐
-보바스의 치료단계
단계1
이동(transfer), 자세잡기(positioning)
단계2a
편측활동, 양측수동활동, 양측활동(bilateral → bimanual → unilateral)
단계2b
어깨와 팔꿈치의 안정성, 쥐기-놓기(grip-release)
단계3
편측활동, 자발적 조절의 촉진, 손기능의 향상
단계4
협응훈련, 선택적 움직임
2.뇌졸중 운동치료 절차
1)초기단계 치료 : 양측 팔다리의 대칭성 확보, 호흡문제 , 삼킴문제 해결
-침상자세, 앉은자세, 방의배치, 침상에서 대소변처리, 호흡기능 훈련
씹기 삼키키 훈련
구르기 훈련 : 몸통 근육의 조절능력을 향상, 율동적 개시의 적용
수동 - 능동보조 - 저항 - 능동
골반의 회전운동 등
2)중기,후기 단계 치료 : 부론스트롬 반신마비 치료, 보바스, PNF 치료 기법을 사용
* 부론스트롬의 반신마비 치료
① 균형훈련 : 앉은자세에서 환자를 한쪽으로 기울이거나 경사지게 하여 바로서기 반응을 촉진
- 몸통의 앞쪽 굽힘 훈련
- 몸통의 돌림 운동 : 초기는 몸통과 돌림과 같은 방향으로 실시 진전시 다른 방향으로 실시
② 팔의 기능 훈련 : 침범된 쪽을 향한 목 부의 옆굽힘 : 어깨뼈 올림을 촉진
elbow flex, abd 자세로 책상위에 올림, lateral neck flex와 scapular elevator의 저항
3) 반신마비 임상 운동치료
①교각운동(Bridging exercise)
. Hook-lying position
. 환자에게 골반을 들어올릴때 치료사는 골반 아래쪽으로
저항을 가함 → 엉덩관절 폄근의 concentric c.
. 다시 골반을 침대쪽으로 내리도록 하고 치료사가 천천히
저항을 부가 함
②앉은 자세에서의 운동
옆으로 누운 자세 → 앉은 자세
. 바로 잡기 반응 (righting, equilibrium, protective r.)
. 평행반응, 보호폄근 밀기반사, 고유감각반사 등이 요구
. 엉덩부위와 다리에 들어오는 감각 → 안정성 확보
앉은 자세에서 마비측 체중이동
. 비마측의 몸통 뻗침, 굽힘 패턴의 억제
. 비마측의 다리는 올라감
③의자로부터 일어서기 운동
앉아 있는 자세 고려
- BOS(ischial tuberosity, foot base),
- pelvis
- 무릎부위-발목부위의 위치
- trunk flexion with extension
- shoulder
- neck
- head
. 발의 위치
일반적으로 뒤에 놓인 다리에 체중 지지
비마비측 발 (앞), 마비측 발(뒤) . 다리에 힘이 있어야 가능
비마비측 발 (뒤), 마비측 발(앞) . 마비측 다리에 힘이 없는 경우
. 환자의 손을 깍지 끼게 하여 pushing 하며 일어서게 함
④계단 오르고 내리기 운동
▶참고문헌 : 최신 신경계 운동치료학 (하늘뜨락)
물리치료사의 작은 메모장 참고
구글 CVA 참조

추천자료

  • 가격9,66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3.12.15
  • 저작시기2013.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9753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