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목차
브라질
콜롬비아
멕시코
과테말라
코스타리카
쿠바
자메이카
푸에르토리코(puerto rico)
하와이(hawaii)
인도네시아
베트남
예멘
이디오피아(Ethiopia)
Kenya
탄자니아
베트남 근대사와 커피 관련 터키역사
콜롬비아
멕시코
과테말라
코스타리카
쿠바
자메이카
푸에르토리코(puerto rico)
하와이(hawaii)
인도네시아
베트남
예멘
이디오피아(Ethiopia)
Kenya
탄자니아
베트남 근대사와 커피 관련 터키역사
본문내용
: 사탕수수 생산 (수출총액의 80~85%,국민총생산의 25%), 아바나 시가 수출
⑧ 지도
2. 커피산업
① Brief History
쿠바 커피의 역사는 1748년 스페인 사람인 돈 호세 헤럴드가 아이티의 커피 농원에서 커피를 가져오면서 시작된다. 이 때 가져온 품종이 자메이카 블루마운틴과 같은 종자였다고 한다. 이후 쿠바에서는 크리스탈 마운틴이라는 이름의 커피를 생산하여 블루 마운틴에 버금가는 맛을 지녔다고 평가받는다. 하지만 쿠바 혁명 이후 카스트로의 사회주의 정부가 들어서자 케네디는 쿠바의 커피를 통상금지 시켰다. 미국이 수입을 금지한 항목은 다른 나라에도 수출이 힘들어진다. 쿠바의 커피는 팔리지 않아 수익이 없어서 커피의 질이 하락하였다. 아직도 이 통상금지는 풀리지 않고 있다. 쿠바에서는 이 수출 금지를 풀기 위한 운동이 전개 중이다.
② 재배품종
아라비카 : 버번, 티피카, 카투라, 카투아이
③ 가공방법
수세식 88%, 건조식 12%
④ 주요생산지역
동부 83%, 중부 11%, 서부 6%
⑤ 생산량
7,980톤 (2008년) : 60kg Bag 사용
⑥ 유명커피
크리스탈 마운틴은 쿠바 전체 수확량의 약 3%정도 밖에 생산되지 않아 구하기가 어려운 최상품의 커피이다. 다른 중남미 국가들에서 행해지는 수세식 처리와 같이 파치먼트를 수조에 담구는 공정 없이 맑고 깨끗한 수압이 있는 물에 흘려보내 씻어내기 때문에 맛과 향이 조화롭고 부드럽다. 이 밖에 큐비타(Cubita), 일본시장을 겨냥한 에스캄브레이(Escombray), 중저급의 큐반(Cuban) 등이 있다.
⑦ 품질등급
Extra Turquino : Retained by screen 18
Turquino : Passes through screen 18, retained by screen 17
Altura : Passes through screen 17, retained by screen 16
Mantana : Passes through screen 16, retained by screen 15
Cumbre : Passes through screen 15, retained by screen 14
Caracolillo : Special creens
⑧ 향과 맛의 특징
쿠바 커피의 특징은 무엇보다 적은 산도이다. 엷은 신맛 속에 부드럽고 감미로운 단맛이 나며 진하게 내려 마시기보다는 조금 연하게 내려 마시면 깔끔한 뒷맛과 은은한 향이 좋다.
자메이카
1.일반정보
①역사: 남아메리카 출신의 아라왁과 타이노 토착민들이 기원전 4000년과 1000년 사이 자메이카에 정착을 했다.[1] 1494년 크리스토퍼 콜럼버스가 도착했을 때 특히 현재 구 항구로서 알려진 가장 인구가 많이 형성된 자메이카의 남 해안과 함께, 추장이 다스리는 200여개 이상의 마을이 있었다.[1] 타이노족들은 영국이 섬을 접수할 때까지 자메이카에 살고 있었다.[1] 1494년 콜롬버스가 발견한 이래 에스파냐와 영국의 지배하에 노예매매의 중심지가 되었다. 1962년 영국으로부터 독립하여 영국 연방의 일원이 되었다.
②수도: 킹스턴(영어:Kingston)은 자메이카의 수도이며, 동시에 가장 큰 도시이다. 자메이카 섬의 동남부 연안에 위치해 있다. 인구는 2001년 현재 651,880명이다.
③면적: 전체 10,991㎢ (159위)
내수면 비율 1.5%
④1인당 GDP: 4172$ (2007)
⑤화폐단위: 자메이카 달러(Jamaica Dollar, J$)
⑥주요산업: 관광업, 보크사이트, 설탕, 바나나
⑦지도
2.커피산업
1728년 커피 경작이 시작되었고 1768년 커피 산업이 크게 발전하였다. 섬의 대부분이 고지대 산악지역으로 기후가 서늘하고 안개가 잦으며 강수량이 많고 배수가 잘 되는 토양으로 이루어져 커피 재배에 이상적이다. 특히 동쪽 블루마운틴(Mt. Blue mountain) 기슭의 해발 1,200m 이상 지역의 짙은 안개는 커피나무의 성장을 더디게 하여 타 지역에 비해 생두의 밀도가 높고 우수한데, 이 커피를 블루마운틴(Blue mountain)이라고 부른다. 재배되는 품종은 아라비카(Arabica)이며 수확은 8월~9월경, 습식법(Wet Method)으로 가공한다. 2008년 총 생산량은 24,000톤으로 세계 40위를 차지하였다. (ICO; International Coffee Organization 2008년 crop year 기준)
커피의 황제, 세계 최고의 커피로 알려진 자메이카 블루마운틴(Jamaica Blue Mountain)은 1950년에 설립된 자메이카 커피 산업 위원회(JCIB; Jamaica Coffee Industry Board)의 철저한 감독 아래에 생산되고 있다. 특히 위원회에서는 특정 지역(블루마운틴 해발 1,200m 이상)에서 생산된 커피만을 블루마운틴으로 인정하도록 법령을 정하고, 엄격한 품질관리로 생산량을 제한하고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수출용 원두를 포대(bag)에 담는 것과 달리 나무상자에 넣어 수출하는 등 다른 커피와의 차별성을 위해 고급스러움을 강조하고 있다.
커피의 등급은 생두의 재배지 고도에 따라 크게 4등급으로 나뉘며, 블루마운틴은 생두의 크기에 따라 3등급으로 분류한다.
주로 커피가 생산되는 곳은 블루마운틴(Blue Mountain) 지역의 포틀랜드(Portland), 세인트 토마스(St. Thomas), 세인트 앤드류(St. Andrews), 그리고 세인트 메리(St. Mary), 맨체스터(Manchester) 등이 있다. 가장 유명한 커피는 단연 자메이카 블루마운틴이고, 블루마운틴 커피를 로스팅(Roasting)하여 포장까지 한 후 수출하는 커피는 별도로 자블럼(JBM, Jablum)이라고 한다. 고가의 커피이기 때문에 국내에서는 스트레이트 커피(Straight Coffee)로 마시기보다는 소량을 블랜딩(Blending)하는 경우가 많다. 자메이카의 원두는 최고급품으로서 크기가 크고 밀도가 높으며 향이 풍부하고 신맛과 쓴맛이 조화로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푸에르토리코(puerto rico)
1. 일반정보
①역사와 지리
서인도 제도(카리브해)의 대앤틸리스 제도에 있는 미국의 자치령
⑧ 지도
2. 커피산업
① Brief History
쿠바 커피의 역사는 1748년 스페인 사람인 돈 호세 헤럴드가 아이티의 커피 농원에서 커피를 가져오면서 시작된다. 이 때 가져온 품종이 자메이카 블루마운틴과 같은 종자였다고 한다. 이후 쿠바에서는 크리스탈 마운틴이라는 이름의 커피를 생산하여 블루 마운틴에 버금가는 맛을 지녔다고 평가받는다. 하지만 쿠바 혁명 이후 카스트로의 사회주의 정부가 들어서자 케네디는 쿠바의 커피를 통상금지 시켰다. 미국이 수입을 금지한 항목은 다른 나라에도 수출이 힘들어진다. 쿠바의 커피는 팔리지 않아 수익이 없어서 커피의 질이 하락하였다. 아직도 이 통상금지는 풀리지 않고 있다. 쿠바에서는 이 수출 금지를 풀기 위한 운동이 전개 중이다.
② 재배품종
아라비카 : 버번, 티피카, 카투라, 카투아이
③ 가공방법
수세식 88%, 건조식 12%
④ 주요생산지역
동부 83%, 중부 11%, 서부 6%
⑤ 생산량
7,980톤 (2008년) : 60kg Bag 사용
⑥ 유명커피
크리스탈 마운틴은 쿠바 전체 수확량의 약 3%정도 밖에 생산되지 않아 구하기가 어려운 최상품의 커피이다. 다른 중남미 국가들에서 행해지는 수세식 처리와 같이 파치먼트를 수조에 담구는 공정 없이 맑고 깨끗한 수압이 있는 물에 흘려보내 씻어내기 때문에 맛과 향이 조화롭고 부드럽다. 이 밖에 큐비타(Cubita), 일본시장을 겨냥한 에스캄브레이(Escombray), 중저급의 큐반(Cuban) 등이 있다.
⑦ 품질등급
Extra Turquino : Retained by screen 18
Turquino : Passes through screen 18, retained by screen 17
Altura : Passes through screen 17, retained by screen 16
Mantana : Passes through screen 16, retained by screen 15
Cumbre : Passes through screen 15, retained by screen 14
Caracolillo : Special creens
⑧ 향과 맛의 특징
쿠바 커피의 특징은 무엇보다 적은 산도이다. 엷은 신맛 속에 부드럽고 감미로운 단맛이 나며 진하게 내려 마시기보다는 조금 연하게 내려 마시면 깔끔한 뒷맛과 은은한 향이 좋다.
자메이카
1.일반정보
①역사: 남아메리카 출신의 아라왁과 타이노 토착민들이 기원전 4000년과 1000년 사이 자메이카에 정착을 했다.[1] 1494년 크리스토퍼 콜럼버스가 도착했을 때 특히 현재 구 항구로서 알려진 가장 인구가 많이 형성된 자메이카의 남 해안과 함께, 추장이 다스리는 200여개 이상의 마을이 있었다.[1] 타이노족들은 영국이 섬을 접수할 때까지 자메이카에 살고 있었다.[1] 1494년 콜롬버스가 발견한 이래 에스파냐와 영국의 지배하에 노예매매의 중심지가 되었다. 1962년 영국으로부터 독립하여 영국 연방의 일원이 되었다.
②수도: 킹스턴(영어:Kingston)은 자메이카의 수도이며, 동시에 가장 큰 도시이다. 자메이카 섬의 동남부 연안에 위치해 있다. 인구는 2001년 현재 651,880명이다.
③면적: 전체 10,991㎢ (159위)
내수면 비율 1.5%
④1인당 GDP: 4172$ (2007)
⑤화폐단위: 자메이카 달러(Jamaica Dollar, J$)
⑥주요산업: 관광업, 보크사이트, 설탕, 바나나
⑦지도
2.커피산업
1728년 커피 경작이 시작되었고 1768년 커피 산업이 크게 발전하였다. 섬의 대부분이 고지대 산악지역으로 기후가 서늘하고 안개가 잦으며 강수량이 많고 배수가 잘 되는 토양으로 이루어져 커피 재배에 이상적이다. 특히 동쪽 블루마운틴(Mt. Blue mountain) 기슭의 해발 1,200m 이상 지역의 짙은 안개는 커피나무의 성장을 더디게 하여 타 지역에 비해 생두의 밀도가 높고 우수한데, 이 커피를 블루마운틴(Blue mountain)이라고 부른다. 재배되는 품종은 아라비카(Arabica)이며 수확은 8월~9월경, 습식법(Wet Method)으로 가공한다. 2008년 총 생산량은 24,000톤으로 세계 40위를 차지하였다. (ICO; International Coffee Organization 2008년 crop year 기준)
커피의 황제, 세계 최고의 커피로 알려진 자메이카 블루마운틴(Jamaica Blue Mountain)은 1950년에 설립된 자메이카 커피 산업 위원회(JCIB; Jamaica Coffee Industry Board)의 철저한 감독 아래에 생산되고 있다. 특히 위원회에서는 특정 지역(블루마운틴 해발 1,200m 이상)에서 생산된 커피만을 블루마운틴으로 인정하도록 법령을 정하고, 엄격한 품질관리로 생산량을 제한하고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수출용 원두를 포대(bag)에 담는 것과 달리 나무상자에 넣어 수출하는 등 다른 커피와의 차별성을 위해 고급스러움을 강조하고 있다.
커피의 등급은 생두의 재배지 고도에 따라 크게 4등급으로 나뉘며, 블루마운틴은 생두의 크기에 따라 3등급으로 분류한다.
주로 커피가 생산되는 곳은 블루마운틴(Blue Mountain) 지역의 포틀랜드(Portland), 세인트 토마스(St. Thomas), 세인트 앤드류(St. Andrews), 그리고 세인트 메리(St. Mary), 맨체스터(Manchester) 등이 있다. 가장 유명한 커피는 단연 자메이카 블루마운틴이고, 블루마운틴 커피를 로스팅(Roasting)하여 포장까지 한 후 수출하는 커피는 별도로 자블럼(JBM, Jablum)이라고 한다. 고가의 커피이기 때문에 국내에서는 스트레이트 커피(Straight Coffee)로 마시기보다는 소량을 블랜딩(Blending)하는 경우가 많다. 자메이카의 원두는 최고급품으로서 크기가 크고 밀도가 높으며 향이 풍부하고 신맛과 쓴맛이 조화로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푸에르토리코(puerto rico)
1. 일반정보
①역사와 지리
서인도 제도(카리브해)의 대앤틸리스 제도에 있는 미국의 자치령
추천자료
커피의 품종,분류
[기호식품][기호음식][커피][우유]커피(기호식품, 기호음식), 우유(기호식품, 기호음식), 치...
커피의 품종에 따른 분류 및 제품에 따른 분류.
스타벅스 & 카페베네 글로벌화 전략,커피전문점 현황 및 커피시장 분석,스타벅스의 해외진출
일본커피 시장에 대하여
커피전문점시장분석, 카베베네, 엔제리너스, 커피산업, 브랜드마케팅, 서비스마케팅, 글로벌...
커피의 세계화 (Globalization Of Coffee) 커피의 역사, 세계의 커피 문화, 한국의 커피.pptx
[EBS 지식채널 e 감상문] <공정무역> 커피 한 잔의 이야기 - 세계를 정복한 커피, 커피 한 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