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기업의 해외진출 사례-켈로그, 맥도날드, 디즈니랜드-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해외기업의 해외진출 사례-켈로그, 맥도날드, 디즈니랜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17개국 이상의 나라에서
제조
☆ 180개국 이상의 나라에서 판매
☆ 25000명이 근무
☆ 전세계 시리얼 시장의 45% 차지
☆ 2013 글로벌 100대 브랜드 30위
Kellogg’s의 황금기
1980s
미주와 유럽 시장에서
홀로 승승장구!
전세계적으로 20개의 공장을 가동하면서 연매출 60억달러라는 경이적인 수치
Kellogg’s의 위기
1990년대에 접어들면서 시리얼 시장은 General Mills의 Cheerios 브랜드와 함께 치열해지기 시작했다. 그리고 시리얼의 핵심 시장이라고 할 수 있는 미국과 영국의 시리얼 산업은 오랫동안 매우 정체되어 있었기 때문에 성장전략을 추진할 수 있는 여지도 그만큼 제한되어 있었다.  그러나 Cheerios 브랜드의 약진과 함께 1997년에 Fortune지는 켈로그의 브랜드 관리자들을 ‘상상력이 부족하고 전세계적인 선도 브랜드를 망치고 있는 사람들’이라며 비난하는 기사를 실어 켈로그의 경영진들에게 분발을 촉구하기에 이른다. 사실 켈로그는 1990년대 초반부터 새로운 고객들을 개척하기 위해 포화기에 접어든 미국과 유럽이 아닌 다른 지역으로 그들의 관심을 전환
Kellogg’s의 선택은?
때마침 Kellogg’s를 설레게 만든 한 나라가 있었으니 그건 바로!
‘인도’를 최적의 시장으로 주목하게 된다.

세계 2위의 인구,
중산층이 빠르게 성장해서
구매력이 좋아요.
게다가 세계 최대의
민주주의 국가 아닙니까?
이 정도면 금상첨화죠.
사실 인도는 9500백만이라는 인구와 함께 2500백만이라는 잠재적 소비자(인도의 중산층)가 있는 미개척 시장이라는 특성 때문에 켈로그뿐만 아니라 많은 글로벌 브랜드들이 인도 시장 진입을 열망하고 있었다.
세계 2위의 인구
중산층의 빠른 성장
세계 최대의 민주주의 국가
선진화된 법률시스템
인도에 대한 국제무역 장벽 철회 (1994)
중략
정보화, 세계화 가속화 + 각 나라간 FTA협정 증가
이에 따라 기업들의 해외진출도 탄력
철저한 현지 분석 없인 잘나가는 다국적기업도 고분분투
  • 가격3,000
  • 페이지수38페이지
  • 등록일2014.01.16
  • 저작시기2014.1
  • 파일형식기타(pptx)
  • 자료번호#90223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