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목차
없음
본문내용
래
일과 관련된 노동요가 대부분 차지
상여소리, 김매기, 모내기, 집터 다지는 소리 등이 그 대표적인 예
통속민요
흔히 창(唱)이라고 불림
중국의 고사(故事)나 옛 시구(詩句) 인용. 세련미가 있으나 가사의 중복이 많음
흔히 직접적인 소리꾼에 의하여 불리는 세련되고 널리 전파된 민요
가락이 비교적 세련됨
음악적인 짜임새나 사설의 구성이 훌륭함
아리랑, 밀양아리랑, 도라지타령, 방아타령, 강원도아리랑, 농부가, 육자배기, 수심가, 천안삼거리 등이 대표적인 예
4. 진도 아리랑
1) 진도 아리랑의 가사
보통의 민요와 다르게 받는 부분이 먼저 나오고 메기는 부분이 뒤에 나옴
받는 부분
아리아리랑 쓰리쓰리랑 아라리가 났네 아리랑 응응으응 아라리가 났네
메기는 부분
1) 문경새재는 웬 고갠가 구부야 구부구부(가) 눈물이 난다
2) 만경 창파에 두둥둥 뜬 배 어기여차 어야디여라 노를 저어라
3) 만나니 반가우나 이별을 어이해 이별이 되랴거든 왜 만났던고
4) 노다 가세 노다나 가세 저 달이 떴다 지도록 노다나 가세
5) 쳐다보니 만학은 천봉 내려 굽어보니 백사지로구나
6) 님이 죽어서 극락을 가면 이내 몸도 따라가지 지장보살
7) 왜 왔던고 왜 왔던고 울고 갈 길을 왜 왔던고
8) 다려가오 날 다려가오 우리 님 뒤따라서 나는 가네
(간다간다 나 돌아간다 정든 님 따라서 나 돌아간다) -임이 떠난 뒤 슬픈 이별의 정서
*청천 하늘엔 잔별도 많고 우리네 가슴 속엔 희망도 많다
*
전체적으로
슬픔: 1, 3, 6, 7, 8(떠나간 임에 대한 슬픈 정서)
즐거움: 2, 4(흐드러지게 재밌게 놀다 가자)
기타: 5(경치 표현)
기쁨과 슬픔이 섞여 있음 멜로디는 하나의 곡조로 되어 있는데 그 안에 인생의 즐거움과 애환-대립되는 삶의 정서가 섞여 있음.
2) 진도 아리랑 감상과 이해
가사 뿐 아니라 곡조를 통해서도 인생의 기쁨과 슬픔을 다 느낄 수 있음.
영화 <서편제>에서 진도아리랑을 불렀음. 같은 곡조라도, 가사의 내용에 따라 템포, 리듬을 바꿔 불러서 기쁨과 슬픔을 표현함. 천천히 부르면 슬픔, 빨리 부르면 기쁨.
9/8 > 세마치 장단. 쿵 덩더 쿵덕 쿵 덩더 쿵덕
우리 국악, 민요에는 우리 정서에 어울리는 이런 리듬이 들어 있음.
민요
민요란 민중의 생활 감정이 소박하게 담겨져 오래동안 전해져 내려오는 노래.
민요는 노래로 불리어질 수 있는 서정시의 기초로서 운문의 진수가 가장 단순하면서도 소박하게 드러나는 곳
한국의 민요는 토속민요와 통속민요(通俗民謠)로 구분
진도아리랑은 인생의 슬픔과 기쁨이 한데 어우러진 전라도 민요
06. 독일 민요
학습내용
독일 민요의 역사
독일 민요의 특성
<옹달샘>
<들장미>
학습목표
독일 민요의 역사와 특성을 이해할 수 있다.
독일 민요 <옹달샘>과 <들장미>를 이해하고 부를 수 있다.
독일 민요의 역사
1) 세계에서 민요를 가장 많이 가지고 있는 나라 찾기
독일
2) 독일 민요의 발생기 및 전성기
대부분의 독일 민요들은 많은 민족이 방랑을 일삼던 중세 후기(14-16세기)에 발생하였음
<독일 민요의 전성기>
01 독일에서 민요는 중세기가 끝나갈 무렵의 루터 시대 즉, 15~16세기 초
02 질풍노도와 낭만주의 시기
헤르더의 민요집 <노래에 나타난 민중의 소리>(1778-79) 계기
→질풍노도와 낭만주의 시기의 작가들 민요로부터 많은 자극을 받음
헤르더의 민요 운동에 동조한 괴테는 엘사스 지방의 민요를 직접 수집
→괴테 외 당대 많은 시인들이 민요 양식을 자신의 시에 접목 시도
03 제1차 세계대전 발발 전의 청년운동 시기=
3) 독일 낭만주의에서 민요 및 민요풍의 시가 번창할 수 있었던 요인은?
19세기 초 프랑스 나폴레옹의 지배에 항거하는 ‘독일 운동’의 일환
그림(Grimm) 형제의 동화집 <어린이와 가정 동화>(1812)
아르님과 브렌타노의 민요집 <소년의 마술피리>(1806-1808)
독일 민족 정신의 부활
그림 형제는 형 야콥 그림(Jacob ludwig karl Grimm)과 동생 빌헬름 그림(Wilhelm karl Grimm)을 말합니다. 이 두 형제는 독일의 대학교수였으며 언어학자로서 독일의 옛날 이야기를 수집하여 독어의 문법과 역사를 연구, 사전과 문법책도 만들게 되어 <어린이와 가정 동화>를 각각 1812년과 1815에 두 편의 책으로 내었는데 근대 아동 문학의 소중한 모태가 되었습니다.
2. 독일 민요의 톡성
01 독일 민요의 형식적 특징
주로 각 행마다 3개 내지 4개의 강음
한 연이 4행으로 구성된 민요 시연이 지배적
02 가장 쉽게 노래로 불리어질 수 있는 성질(가창성)
이 ‘가창성’에 의해 민요는 그 나라 말로 쓰여진 모든 서정시와 음악의 마르지 않는 영감의 원천
3. <옹달샘>
1) <옹달샘>의 독일 노래 가사
<옹달샘>의 원래 독일어 제목
/ 가난하지만 즐겁고 자유롭게
19세기 독일 슈바벤 지방의 민요. 테오도르 고틀리프 바일레라는 사람이 1835년에 새롭게 가사를 개작한 것.
3) <옹달샘> 한국 동요 가사 감상
윤석중(1911-2003)
서울 출생
아동문학가
3/4박자. 강약약 지켜서 율동감 있게 노래
4. 들장미
1) 들장미 독일 시 감상
들장미 (Heidenroslein) 괴테 작시(1771)/베르너작곡(1827
들장미 독일 시는 전체가 모두 정확하게 ‘강약, 강약’으로 진행되는 ‘강약격’의 율격으로 되어 있습니다.
담시.
들장미 시의 특징. 이야기가 있는 시, 이야기체의 시.
1, 2, 3절 가사에 이야기가 들어 있음
2) 들장미 노래 해설
들장미는 괴테가 스승인 헤르더의 셩향을 받아 시도한 최초의 민요조 시로서, 민속 담시에 힘입어 생성된 최초의 독일 예술 담시
괴테가 젊은 시절 슈트라스부르크에서 대학에 다닐 때 (1771년, 21살 때), 제젠하임 목사의 딸인 16살 프리데리케 브리온이라는 아가씨와의 사랑에서 나온 시
괴테의 시<들장미>는 독일의 여러 작곡가에 의해 작곡이 되었는데 (약 300곡 정도), 베르너와 슈베르트의 노래가 우리에게 가장 널리 알려져 있음.
하인리히 베르너 Heinrich Werner(1800-1833)
독일의 작곡가. 음악교사로서 가곡도
일과 관련된 노동요가 대부분 차지
상여소리, 김매기, 모내기, 집터 다지는 소리 등이 그 대표적인 예
통속민요
흔히 창(唱)이라고 불림
중국의 고사(故事)나 옛 시구(詩句) 인용. 세련미가 있으나 가사의 중복이 많음
흔히 직접적인 소리꾼에 의하여 불리는 세련되고 널리 전파된 민요
가락이 비교적 세련됨
음악적인 짜임새나 사설의 구성이 훌륭함
아리랑, 밀양아리랑, 도라지타령, 방아타령, 강원도아리랑, 농부가, 육자배기, 수심가, 천안삼거리 등이 대표적인 예
4. 진도 아리랑
1) 진도 아리랑의 가사
보통의 민요와 다르게 받는 부분이 먼저 나오고 메기는 부분이 뒤에 나옴
받는 부분
아리아리랑 쓰리쓰리랑 아라리가 났네 아리랑 응응으응 아라리가 났네
메기는 부분
1) 문경새재는 웬 고갠가 구부야 구부구부(가) 눈물이 난다
2) 만경 창파에 두둥둥 뜬 배 어기여차 어야디여라 노를 저어라
3) 만나니 반가우나 이별을 어이해 이별이 되랴거든 왜 만났던고
4) 노다 가세 노다나 가세 저 달이 떴다 지도록 노다나 가세
5) 쳐다보니 만학은 천봉 내려 굽어보니 백사지로구나
6) 님이 죽어서 극락을 가면 이내 몸도 따라가지 지장보살
7) 왜 왔던고 왜 왔던고 울고 갈 길을 왜 왔던고
8) 다려가오 날 다려가오 우리 님 뒤따라서 나는 가네
(간다간다 나 돌아간다 정든 님 따라서 나 돌아간다) -임이 떠난 뒤 슬픈 이별의 정서
*청천 하늘엔 잔별도 많고 우리네 가슴 속엔 희망도 많다
*
전체적으로
슬픔: 1, 3, 6, 7, 8(떠나간 임에 대한 슬픈 정서)
즐거움: 2, 4(흐드러지게 재밌게 놀다 가자)
기타: 5(경치 표현)
기쁨과 슬픔이 섞여 있음 멜로디는 하나의 곡조로 되어 있는데 그 안에 인생의 즐거움과 애환-대립되는 삶의 정서가 섞여 있음.
2) 진도 아리랑 감상과 이해
가사 뿐 아니라 곡조를 통해서도 인생의 기쁨과 슬픔을 다 느낄 수 있음.
영화 <서편제>에서 진도아리랑을 불렀음. 같은 곡조라도, 가사의 내용에 따라 템포, 리듬을 바꿔 불러서 기쁨과 슬픔을 표현함. 천천히 부르면 슬픔, 빨리 부르면 기쁨.
9/8 > 세마치 장단. 쿵 덩더 쿵덕 쿵 덩더 쿵덕
우리 국악, 민요에는 우리 정서에 어울리는 이런 리듬이 들어 있음.
민요
민요란 민중의 생활 감정이 소박하게 담겨져 오래동안 전해져 내려오는 노래.
민요는 노래로 불리어질 수 있는 서정시의 기초로서 운문의 진수가 가장 단순하면서도 소박하게 드러나는 곳
한국의 민요는 토속민요와 통속민요(通俗民謠)로 구분
진도아리랑은 인생의 슬픔과 기쁨이 한데 어우러진 전라도 민요
06. 독일 민요
학습내용
독일 민요의 역사
독일 민요의 특성
<옹달샘>
<들장미>
학습목표
독일 민요의 역사와 특성을 이해할 수 있다.
독일 민요 <옹달샘>과 <들장미>를 이해하고 부를 수 있다.
독일 민요의 역사
1) 세계에서 민요를 가장 많이 가지고 있는 나라 찾기
독일
2) 독일 민요의 발생기 및 전성기
대부분의 독일 민요들은 많은 민족이 방랑을 일삼던 중세 후기(14-16세기)에 발생하였음
<독일 민요의 전성기>
01 독일에서 민요는 중세기가 끝나갈 무렵의 루터 시대 즉, 15~16세기 초
02 질풍노도와 낭만주의 시기
헤르더의 민요집 <노래에 나타난 민중의 소리>(1778-79) 계기
→질풍노도와 낭만주의 시기의 작가들 민요로부터 많은 자극을 받음
헤르더의 민요 운동에 동조한 괴테는 엘사스 지방의 민요를 직접 수집
→괴테 외 당대 많은 시인들이 민요 양식을 자신의 시에 접목 시도
03 제1차 세계대전 발발 전의 청년운동 시기=
3) 독일 낭만주의에서 민요 및 민요풍의 시가 번창할 수 있었던 요인은?
19세기 초 프랑스 나폴레옹의 지배에 항거하는 ‘독일 운동’의 일환
그림(Grimm) 형제의 동화집 <어린이와 가정 동화>(1812)
아르님과 브렌타노의 민요집 <소년의 마술피리>(1806-1808)
독일 민족 정신의 부활
그림 형제는 형 야콥 그림(Jacob ludwig karl Grimm)과 동생 빌헬름 그림(Wilhelm karl Grimm)을 말합니다. 이 두 형제는 독일의 대학교수였으며 언어학자로서 독일의 옛날 이야기를 수집하여 독어의 문법과 역사를 연구, 사전과 문법책도 만들게 되어 <어린이와 가정 동화>를 각각 1812년과 1815에 두 편의 책으로 내었는데 근대 아동 문학의 소중한 모태가 되었습니다.
2. 독일 민요의 톡성
01 독일 민요의 형식적 특징
주로 각 행마다 3개 내지 4개의 강음
한 연이 4행으로 구성된 민요 시연이 지배적
02 가장 쉽게 노래로 불리어질 수 있는 성질(가창성)
이 ‘가창성’에 의해 민요는 그 나라 말로 쓰여진 모든 서정시와 음악의 마르지 않는 영감의 원천
3. <옹달샘>
1) <옹달샘>의 독일 노래 가사
<옹달샘>의 원래 독일어 제목
19세기 독일 슈바벤 지방의 민요. 테오도르 고틀리프 바일레라는 사람이 1835년에 새롭게 가사를 개작한 것.
3) <옹달샘> 한국 동요 가사 감상
윤석중(1911-2003)
서울 출생
아동문학가
3/4박자. 강약약 지켜서 율동감 있게 노래
4. 들장미
1) 들장미 독일 시 감상
들장미 (Heidenroslein) 괴테 작시(1771)/베르너작곡(1827
들장미 독일 시는 전체가 모두 정확하게 ‘강약, 강약’으로 진행되는 ‘강약격’의 율격으로 되어 있습니다.
담시.
들장미 시의 특징. 이야기가 있는 시, 이야기체의 시.
1, 2, 3절 가사에 이야기가 들어 있음
2) 들장미 노래 해설
들장미는 괴테가 스승인 헤르더의 셩향을 받아 시도한 최초의 민요조 시로서, 민속 담시에 힘입어 생성된 최초의 독일 예술 담시
괴테가 젊은 시절 슈트라스부르크에서 대학에 다닐 때 (1771년, 21살 때), 제젠하임 목사의 딸인 16살 프리데리케 브리온이라는 아가씨와의 사랑에서 나온 시
괴테의 시<들장미>는 독일의 여러 작곡가에 의해 작곡이 되었는데 (약 300곡 정도), 베르너와 슈베르트의 노래가 우리에게 가장 널리 알려져 있음.
하인리히 베르너 Heinrich Werner(1800-1833)
독일의 작곡가. 음악교사로서 가곡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