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요한 경제학 용어 - 잠재적 가격, 경제학적 비용, 회계학적 이윤, 지대, 경제적 지대, 보복행위, 기대효용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필요한 경제학 용어 - 잠재적 가격, 경제학적 비용, 회계학적 이윤, 지대, 경제적 지대, 보복행위, 기대효용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잠재적 가격(implicit price)

(2) 경제학적 비용(economic profit)과 회계학적 이윤(accounting profit)

(3) 지대(地代, rent)

(4) 경제적 지대(economic rent)

(5) 보복행위(retaliation)

(6) 기대효용(expected utility)

본문내용

대효용 역시 사람마다 다르다. < 그림 2-9>에 같은 복권에 대해 서로 다르게 행동하는 세 가지 유형의 효용함수를 그려 보았다.
a. 위험 중립적(risk neutral); 공정한 도박과 확실한 현금을 동일시하는 사람의 태도를 말한다. 복권의 기대값의 효용과 복권의 기대효용을 같게 생각하는 사람이다.
b. 위험 선호적(risk loving); 확실한 현금보다는 불확실성이 내포된 공정한 도박을 선호하는 사람의 태도를 일컫는다. 복권의 기대효용이 복권의 기대값의 효용보다 더 큰 사람이다. 객관적으로 보아 불리함을 알면서도 기꺼이 위험한 제안에 응하는 사람으로서 주관적으로 이 복권을 높게 평가하는 사람이다.
c. 위험 기피적(risk averse); 공정한 도박보다도 확실한 현금을 선호하는 사람의 태도를 말한다. 복권의 기대값의 효용이 복권의 기대효용보다 큰 사람이다. 확실한 것을 위험이 있는 것보다 더 좋아하는 사람으로서 대부분의 사람들이 여기에 속한다.
다. 그림을 이용한 설명
체육 복권에 당첨되면 100만원의 당첨금을 받을 수 있다고 하고 확률은 1/500이라고 하자. 부자인 A씨는 100만원에 대한 효용을 100만원이라고 느끼고 있고 B는 가난한 사람이라서 100만원에 대해 1,000만원 만큼의 효용을 느낀다고 하자. 우리 속담에 “빈집에 황소 들어간다”라는 속담이 있다. 이것은 가난한 집에 들어오는 황소는 그 집의 재산목록 1호가 되고 주인이 애지중지(愛之重之)하게 되는 것을 말한다. 반면 ‘부자집에 들어오는 황소’는 기존에 있는 많은 황소에다가 한 마리 추가되는 것이므로 부자가 기뻐는 해도 가난한 사람만큼 그 소를 애지중지하지 않는다. 이것을 우연히 제 발로 들어 온 황소에 대한 부자의 효용이 가난한 사람의 효용 보다 적음을 의미한다고 효용이론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 이 복권은 5,000원에 팔리고 있다고 하자. 복권 구입가 5천원에 대해 부자는 5,000원의 효용을 느끼고 가난한 B는 1만원의 효용을 느낀다고 하자.
이 때 부자 A가 복권을 산 경우의 기대효용은 U(100만원)1/500 = 2,000원이지만 사는 비용의 기대효용 U(5000)=5,000원으로서 후자가 더 크기 때문에 복권을 사지 않는다. 그러나 B의 기대효용은 U(100만원)1/500 = 1,000만원1/500=2만원인 반면 구입가 5,000원의 효용U(5,000)=1만원이므로 복권을 산다.
< 그림 3> 위험에 대한 태도

추천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4.01.31
  • 저작시기2014.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0370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