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사탄 배상설 (Ransom to Satan)
2. 요점재현설 or 총괄갱신설 (Recaptulation)
3. 속죄 만족설 (Satisfaction)
4. 도덕 감화설 (Moral Influence) - 하나님의 사랑 설 (Love of God)
5. 모범설 (Example) - 순교설
6. 신비설 (Mystical)
7. 통치설 or 정치설 (Governmental)
8. 대리 회개설 (Vicarious Repentance)
9. 현대신학에서 나타나는 잘못된 속죄관
참고 자료
2. 요점재현설 or 총괄갱신설 (Recaptulation)
3. 속죄 만족설 (Satisfaction)
4. 도덕 감화설 (Moral Influence) - 하나님의 사랑 설 (Love of God)
5. 모범설 (Example) - 순교설
6. 신비설 (Mystical)
7. 통치설 or 정치설 (Governmental)
8. 대리 회개설 (Vicarious Repentance)
9. 현대신학에서 나타나는 잘못된 속죄관
참고 자료
본문내용
속죄를 하나님의 의의 필연적 율법의 형벌의 집행, 죄인과 하나님과의 화목을 위한 희생, 죄인의 구원을 위한 성경이 말씀하는 진정한 대속사역임을 무시하고 있다.(벧전 1:18f)
(4) 형벌의 실제적 집행은 죄인에게 깊은 인상을 줄 것이라는 율법에 대한 하나님의 높은 관심을 보이기 위한 의도에서 계획된, 거짓된 공의의 과시로서 생겨나지 아니할 것이다.
(5) 이 이론은 하나님의 공의에 초점을 둔 것이 아니고 좋은 사회를 근거로 한 것으로 속죄 문제가 잘못된 것이다. 하나님은 죄를 벌하시는데 단순히 그의 공의만을 보여주시기 위한 것이 아니다. 그리스도는 우리를 대신해서 우리의 죄를 지셨다.
8. 대리 회개설 (Vicarious Repentance)
주장자: 매리어드 캠벨 (McLeod Campbell)가르침: 만일 인간이 적절히 회개할 능력을 가졌다면 완전한 회개가 죄의 충분한 속죄에 효력이 있었으리라는 가설에 유래한다. 그런데 그리스도는 인류를 위하여 필수적인 회개를 하나님께 드리셨고, 그같이 하심으로써 용서의 모든 조건들을 충족시키셨다. 그의 사역을 실제로 인간을 위한 죄의 대리적 고백이었다.. 그러면 그리스도의 죽음과 대리적 회개 및 고백과의 관계는? 그리스도가 그의 고난과 죽음으로써 성부의 정죄에 동정적으로 참여하셨고(동정설(Symphathy) 또는 동일시(Identification) 이라고도함), 죄의 가증됨을 드러내셨고, 또한 죄를 정죄하셨다는 것이다. 성부에 의해 우리 죄악의 완벽한 고백으로서 간주되었다는 것이다.
(1) 그리스도께서 구원하시기 위해 오신 죄인들을 동정하셨음을 인정할 수 있지만 이 동정은 그의 구속사역에 일부에 불과하고 전부나 가장 중요한 부분으로 묘사되지 않고 있다.
(2) 대리적 회개는 회개라는 의미를 보면 모순이다. 회개란 주관적이고 개인적인 것이다. 그것은 개인적 죄의 소산이고 그 효과도 개인적인 것이다. 대리적 회개가 타인들을 어떻게 회개할 의무로부터 면제시켜주는지 이해하기 힘들다.
(3) 구속의 도움을 받아야 할 필요성인 인간이 진정으로 회개할 능력을 가지지 않았다는 근거에서 전개된 이론이다. 이 이론은 아무런 성경적인 기초가 없다.
(4) 이 이론도 하나님의 공의에대한 죄의 대가로 우리를 대신해 그리스도가 돌아가셨음을 무색케 만들고 있다.
- 이상의 이론은 크게 3가지로 볼 수 있는데
(1) 사탄과 관계된 그리스도의 죽음(오레겐, 오울렌)과
(2) 그의 죽음이 도덕의 본이되고, 사랑의 표상이요, 사람들에게 영향을 주는 강력한 본이라는 설과 (아발라드, 소시노스, 그로티스, 바르트, 어빙)
(3) 바른 성경의 가르침과는 거리가 있으나 대속이나 회개의 설이다 (안셀롬, 캠벨).
9. 현대신학에서 나타나는 잘못된 속죄관
(1) 죄는 진화의 과정 속에서 아직 극복하지 못했으나, 곧 극복하게 될 허약과 불완전을 가르치며 속죄는 필요 없다.
(2) 그리스도의 속죄는 죄인에 대한 하나님의 태도에 변화를 준 것이 아니라, 하나님에 대한 죄인의 태도에만 변화를 주었다.
(3) 그리스도의 죽음으로 하나님을 떠난 사람들이 돌아 오도록 자책적인 사랑을 그들 마음 속에 각성 시키려 했다.
(4) 비판: 그리스도의 속죄사역의 의미를 무시. 하나님의 공의를 무시. 그리스도의 죽음의 필요성을 설명 못함.
참고 자료
존 칼빈, 문병호 저, 30주제로 풀어 쓴 기독교 강요, 생명의말씀사 2013
언약적 관점에서 본 개혁주의 조직신학, 마이클 호튼 저, 부흥과개혁사 2012
루이스 벌코프 저, 기독교교리사, 크리스챤다이제스트 2008
고려신학대학원 교수진 저, 개혁주의를 말하다. 2011
H. G. 만 저, 교의학, 신앙과지성사 2012
(4) 형벌의 실제적 집행은 죄인에게 깊은 인상을 줄 것이라는 율법에 대한 하나님의 높은 관심을 보이기 위한 의도에서 계획된, 거짓된 공의의 과시로서 생겨나지 아니할 것이다.
(5) 이 이론은 하나님의 공의에 초점을 둔 것이 아니고 좋은 사회를 근거로 한 것으로 속죄 문제가 잘못된 것이다. 하나님은 죄를 벌하시는데 단순히 그의 공의만을 보여주시기 위한 것이 아니다. 그리스도는 우리를 대신해서 우리의 죄를 지셨다.
8. 대리 회개설 (Vicarious Repentance)
주장자: 매리어드 캠벨 (McLeod Campbell)가르침: 만일 인간이 적절히 회개할 능력을 가졌다면 완전한 회개가 죄의 충분한 속죄에 효력이 있었으리라는 가설에 유래한다. 그런데 그리스도는 인류를 위하여 필수적인 회개를 하나님께 드리셨고, 그같이 하심으로써 용서의 모든 조건들을 충족시키셨다. 그의 사역을 실제로 인간을 위한 죄의 대리적 고백이었다.. 그러면 그리스도의 죽음과 대리적 회개 및 고백과의 관계는? 그리스도가 그의 고난과 죽음으로써 성부의 정죄에 동정적으로 참여하셨고(동정설(Symphathy) 또는 동일시(Identification) 이라고도함), 죄의 가증됨을 드러내셨고, 또한 죄를 정죄하셨다는 것이다. 성부에 의해 우리 죄악의 완벽한 고백으로서 간주되었다는 것이다.
(1) 그리스도께서 구원하시기 위해 오신 죄인들을 동정하셨음을 인정할 수 있지만 이 동정은 그의 구속사역에 일부에 불과하고 전부나 가장 중요한 부분으로 묘사되지 않고 있다.
(2) 대리적 회개는 회개라는 의미를 보면 모순이다. 회개란 주관적이고 개인적인 것이다. 그것은 개인적 죄의 소산이고 그 효과도 개인적인 것이다. 대리적 회개가 타인들을 어떻게 회개할 의무로부터 면제시켜주는지 이해하기 힘들다.
(3) 구속의 도움을 받아야 할 필요성인 인간이 진정으로 회개할 능력을 가지지 않았다는 근거에서 전개된 이론이다. 이 이론은 아무런 성경적인 기초가 없다.
(4) 이 이론도 하나님의 공의에대한 죄의 대가로 우리를 대신해 그리스도가 돌아가셨음을 무색케 만들고 있다.
- 이상의 이론은 크게 3가지로 볼 수 있는데
(1) 사탄과 관계된 그리스도의 죽음(오레겐, 오울렌)과
(2) 그의 죽음이 도덕의 본이되고, 사랑의 표상이요, 사람들에게 영향을 주는 강력한 본이라는 설과 (아발라드, 소시노스, 그로티스, 바르트, 어빙)
(3) 바른 성경의 가르침과는 거리가 있으나 대속이나 회개의 설이다 (안셀롬, 캠벨).
9. 현대신학에서 나타나는 잘못된 속죄관
(1) 죄는 진화의 과정 속에서 아직 극복하지 못했으나, 곧 극복하게 될 허약과 불완전을 가르치며 속죄는 필요 없다.
(2) 그리스도의 속죄는 죄인에 대한 하나님의 태도에 변화를 준 것이 아니라, 하나님에 대한 죄인의 태도에만 변화를 주었다.
(3) 그리스도의 죽음으로 하나님을 떠난 사람들이 돌아 오도록 자책적인 사랑을 그들 마음 속에 각성 시키려 했다.
(4) 비판: 그리스도의 속죄사역의 의미를 무시. 하나님의 공의를 무시. 그리스도의 죽음의 필요성을 설명 못함.
참고 자료
존 칼빈, 문병호 저, 30주제로 풀어 쓴 기독교 강요, 생명의말씀사 2013
언약적 관점에서 본 개혁주의 조직신학, 마이클 호튼 저, 부흥과개혁사 2012
루이스 벌코프 저, 기독교교리사, 크리스챤다이제스트 2008
고려신학대학원 교수진 저, 개혁주의를 말하다. 2011
H. G. 만 저, 교의학, 신앙과지성사 2012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