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액관 유형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배액관 유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사강상처에는 페이스트나 파우더 등의 채우는 드레싱이 필요하다.
가장자리가 말릴수 있다.
4)사용되는 제품-Duoderm, confeel, Tegasorb
4.압박 완화 드레싱
1)장점-상처부위의 압력을 감소시킨다.
2)단점-혐기성 세균의 감염된 상처에는 폐쇄드레싱 적용이 불가능하다.
3)사용되는 제품-PRD
5.칼슘알지네이트 드레싱
1)적용-해초에서 추출한 천연 폴리사카라이드로 다양한 크기와 로프형태오 구성되며 분비물이 과다한 상처에 사용된다.
2)장점-뛰어난 흡수력이 있다.
젤 형성으로 상처표면을 촉촉하게 유지한다.
신경말단을 보호하여 통증을 경감시킨다.
미생물 분해가 가능하다.
상처의 사강을 줄이기 위한 팩킹용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지혈성분 함유로 출혈성 상처의 지혈을 촉진한다.
3)단점-2차드레싱이 필요하다.
혐기성 세균에 감염된 상처에는 폐쇄 드레싱 병용이 부적합하다.
젤이 농이나 부육으로 혼동가능하다.
건조한 사처나 괴사조직이 덮인 상처에는 부접합하다.
4)사용되는 제품-Kaltostat, Sorbsan
6.Wet-to-damp 드레싱
1)목적-육아조직이 자라고 있는 상처드레싱 교환시 조직에 손상을 주지 않기 위함이다.
@MRSA
(1) 역학적 특성
가. 병원체 및 전파 방법
① 병원체
MRSA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란 황색포도균(S. aureus)중에서 methicillin이라는 항균제에 대하여 내성을 가지는 균주를 말한다. 초기에는 methicillin에만 내성을 보이는 것으로 여겨졌으나 그 후 cephalosporin계를 포함한 대부분의 β-lactarm계 항균제에도 내성을 보이고 있다. 인체의 어느 부위에서도 정착하여 감염을 일으킬 수 있으며 객담, 창상 부위, 혈액, 소변등 모든 검체에서 분리될 수 있다. 특히 피부의 정상 방어기전이 손상된 수술 환자나 화상 환자에게 잘 정착하여 치명적인 감염을 일으키기 쉽다. 일반인 보다 의료인이 비강내의 정착율이 높다.
② 전파방법
ⓐ 정착화 또는 감염된 환자로부터의 전파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환자와 접촉한 의료인이 다른 환자나 물품을 오염시킴으로 전파하게 된다. 호흡기 감염이나 정착화된 환자의 비말을 통한 전파도 가능하다.
ⓑ 정착화나 감염된 병원직원으로부터의 전파되는 경우는 많지 않다.
ⓒ 수술기구, 의료기구 등과 같이 환경을 통해서 전파되기도 한다.
나. 발생 양상
병원의 규모와 특성에 따라 달라지지만 3차 병원이나 종합병원으로 갈수록 분리율이 높아지고 있으며 면역력이 저하된 환자들에게 특히 치명적이다. 국내 종합병원의 경우 70-80% 정도의 분리율을 보이고 있다.
(2) 감염관리
가. 항균제 관리
항균제의 오남용을 피하여 균주들이 항균제에 노출되는 기회를 줄이는 것이 필요하다.
나. MRSA에 감염된 환자의 관리
균이 분리되는 신체의 부분에 대해서 접촉경계를 추가로 실시한다. 호흡기 분비물에서 균이 검출되는 경우는 비말경계를 추가로 실시한다.
① 손씻기
대부분 접촉에 의하여 전파되며 의료인의 손에서 3시간까지 생존이 가능하므로 감염된 환자와 접촉한 후에 소독제를 이용한 철저한 손씻기가 요구된다.
② 객담관리
환자의 호흡기계 분비물이 환경에 튀지 않도록 주의한다. 환자의 호흡기계 분비물을 닦은 휴지 등은 뚜껑 달린 쓰레기통에 잘 모으도록 하고 흡인시 환자의 객담이 환경에 튀지 않도록 주의한다. 흡인시에는 장갑과 일회용 마스크를 착용하도록 한다.
③ 사용한 기구 및 환경관리
재사용 기구들은 병동에서 소독제에 30분간 침전시킨 후 중앙부로 소독을 의뢰한다. Wheelchair나 메트리스 등 환자와 접촉한 가구나 기구들은 약한 소독제(Tego, sodium hypochlorite, Hibisol)로 닦는다.
다. 치료
① 항균제 치료
Glycopeptide계인 vancomycin이나 teicoplanin으로 치료한다.
② 국소적인 항균제 치료
ⓐ 비강내에 정착화한 경우- Bactroban 비강용인 mupirocin으로 치료한다.
ⓑ 피부 감염- Bactroban 연고를 도포한다. 습진이나 욕창과 같은 국소적인 감염에는 효과 있으나 화상이나 광범위한 피부 감염에는 사용하지 않는다
ⓒ 피부에 집락화- 소독비누(베타 스크럽이나 히비클렌)을 이용하여 샤워한다.
≪참고자료≫
기본간호학(하) 손영희 외 현문사
성인간호학 2 김조자외 현문사
기본 간호 실습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4.02.19
  • 저작시기2014.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0519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