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방중격결손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심방중격결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없다. 조기사망의 위험인자는 관상동맥양상, 다발성 심실중격결손, 교정 시 나이 많은 경우, 기타 복잡 심기형으로 알려져 있다. 이 밖에 심전도 이상이나 정맥환류협착, 우심실 부전, 삼첨판폐쇄부전, 재수술, 완전방실차단, 잔여 우심실로협착 등도 위험인자로 보고되고 있다.
11. 특이사항
(1) 심방전환수술 후 합병증
상대정맥협착은 Mustard 수술 시 더 자주 나타나고 5-10%에서 보고되고 있다. 대부분 심방중격위치에서 발생하고 10mmHg이상의 압력차가 나면 임상적으로 의의가 있다.
하대정맥협착은 빈도는 매우 낮으나 일단 발생하면 간비대, 단백질 손실 장병변(protein losing enteropathy) 이 동반된다.
폐정맥협착의 빈도는 낮으나 매우 치명적일 수 있다. 수술 후 6-12개월에 잘 나타나는 편이라 이 시기에 주의를 요한다.
(2) 동맥전환술이 선호되는 이유
① 심방전환술 후 심방성부정맥이 10년 내에 50%이상에서 나타나기 때문이다.
② 심방전환술에서는 우심방부전이 10년 내에 10%에서 나타나기 때문이다.
③ 좌심실이 체순환에 보다 적합하기 때문이다.
동맥전환술 후 혈관이 비정상적으로 늘어나게 된다. 이러한 원인은 발살바동의 확장, 관 상동맥혈류의 감소, 대동맥판첨의 활동이상으로 밝혀져 있다. 새로이 만들어진 대동맥동이 확장되고 딱딱해지는 이유는 수술조작 시 손상, 원래 폐동맥이었던 부분이 높은 압력을 견디기 어렵고, 근섬유 조성이 다르고, 혈관내 혈관(vasa vasorum)의 손상 때문이다.
<내용출처 : 키드하트 http://www.kidheart.com/>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4.02.19
  • 저작시기2014.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0526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