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혈관질환 - 심장질환, 혈관질환, 심혈관계통 검사 및 치료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심혈관질환 - 심장질환, 혈관질환, 심혈관계통 검사 및 치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주제 : 심혈관 질환
Ⅰ.심장 질환
1. 부정맥(Arrhythmia)
2. flutter(조동)
3.congenital heart disease(선천성 심장병) 
4.congestive heart failure(울혈성 심부전)
5.CAD(coronary artery disease)

Ⅱ. 혈관 질환
1.동맥류(aneurysm)-동맥벽의 국소적 확장
2.심부정맥 혈전증(DVT-deep vein thrombosis)
3고혈압(Hypertension =HTN)
4.peripheral vascular disease(PVD말초혈관진환)
5.레이노병6.varicose vein(정맥류)

Ⅲ. 심혈관계통 검사 및 치료

Ⅳ. 임상진단과 관련된용어

본문내용

eart block(방실차단)
=AV node(방실결절)에서 atrioventricular bundle(방실다발)로 이어지는 자극전달 경로장애.
서맥 =손상에 의해 SA node의 자극이 약해지면 AV node를 자극하지 못하고 결국 심실의 수축을 일으키지 못하게 된다. 장애가 부분적으로 발생하면 심장은 정상적인 박동을 거스르게 되며 (부분 리듬장애) 만약 완전리듬장애 같이 SA node로부터 AV node에 전달되는 자극이 완전히 차단되면 심실이 심방에 비해 늦게 움직이게 된다.(완전 리듬 장애)
방실차단=
ex)right bundle branch block(RBBB)/left bundle branch block(LBBB)은 방실차단(heart block)의 가장흔한 예이다. 이경우에는 방실 다발 갈래를 통과하는 신호가 늦어지거나 완전히 막혀 발생한다
pace maker(인공심장박독조율기)를 이용 치료
2. flutter(조동)=심방 또는 심실의 규칙적이지만 정상보다 빠른 수축
=심장 박동수가 분당 300회까지 올라갈수 있다 atrial fluttter는 종종 다른 심장병의 증상인 경우가 있고 때로는 약물 투여,cardioversion(심장 율동전환),카테타를 이용한 절개등의 치료가 필요하다.
. fibrillation(세동)=빠르고 불규칙하며 비효율적인 심방과 심실의 수축
(분당 350회 이상의 수축)
atrial fibrillation(AF)은 가장 흔한 부정맥의 하나로서 심방에서 불규칙적인 전기적 신호가 발생하여 일어난다. 따라서 불규칙하고 떨리게 된다.
가장흔한증상은 palpitation,피로,숨참.
만성적 또는 간헐적으로 AF를 일으키는 환자는 비효율적인 심방의 운동 때문에 심장내에 형성된 혈전이 뇌혈관을 막아 뇌졸중이 발생할 가능성도 있다.
ventricular fibrillation(VF;심실세동)때는 불규칙적인 전기신호가 심실을 통과한다. 심장마비가 초래될수있는 매우 치명적인 현상으로 응급 cardioversion(심장율동전환)을 통해 조절될수있는데 이는 심장을 일시적으로 정지시키는 방법으로 비정상적인 리듬으로부터 회복한다.
제세동기로 조절
3.congenital heart disease(선천성 심장병)
①.COA (coarctation of the aorta)=대동맥 협착증
대동맥의 일부분이 좁아진 선천성 기형으로서 좁아진 부분을 수술로 제거하여 치료
② PDA(patent ductus arteriosus)=동맥관열림증
-태생기에 대동맥과 허파동맥 사이를 연결하는 작은관 이 출생후에 박히지 않고 유지되는 기형
-산소 농도가 높은 혈액이 대동맥에서부터 허파동맥으로 새어나간다. PDA는 미숙아에서 흔하고 청색증,피로,짧은 숨쉬기 등을 유발한다. 대개 출생후1달후에 저절로 치유가 되나 그렇지 않을 경우 치료를 해야한다.
**즉 산소가 많은 동맥피가 온몸으로 가야 하는데 저 관이 안막혀 있어서 정맥(산소 적은 피)와 섞여 충분한 산소가 없는 채로 피가 돌때 생기는 병
③septal defect-ASD/VSD-=심방사이막(ASD),심실사이막(VSD)의 작은 구멍
안 막혀 있어서 정맥과 동맥피가 섞이고 온몸으로 나가야 하는 피(사진의 아래쪽으로간다)가 구멍을 통해 왼쪽으로 가서 제대로 피를 못 뿜습니다
+2,3번이 가장 흔한 단순선천기형
④Tetralogy of Fallot(팔로네 징후)-4개의 특징적인 결손을 동시에 동반하는 선청성기형
(복합기형)
1)pulmonary artery stenosis(폐동맥 협착)-피가 폐로 제대로 못감
2)VSD(심실중격 결손)-정맥혈이 왼심실로 유입, 결과적으로 대동맥으로 흐름
3)대동맥 우향-대동맥이 심실 사이막 중간에 위치 우심심 좌심실 모두 연결되어 우심실의 피가 대동맥으로 흐름
4)Hypertrophy of the right ventricle(우심실비대) -폐동맥의 협착으로 피가 폐쪽으로 제대로 가지못해 정상보다 강한 수축력 필요, 결과적으로 우심실의근육층이 비대해진다.
왼쪽 =정상 오른쪽 =비정상 기형
다른 장기는 모양이 좀 이상하게 생기거나 반대쪽에 있어도 기능에 문제가 없는데
심장은 모양이 이상할 경우 제대로된 기능을 수행할수 없어 수술이 필요하다.

4.congestive heart failure(울혈성 심부전) -울혈-피가 고인것
여러 가지원인으로 인해 심장이 약해져 충분한 피를 뿜어내지 못함
(들어오는피 >나가는피)
왼심실기능상실폐부종
우심실기능상실간,지라
증상-숨차고 피로,운동능력 저하 . 원인-심장동맥질환+고혈압
5.CAD(coronary artery disease-심장동맥질환)= 심장 자체의 동맥 질환
심장자체의 동맥질환심장동맥은 대동맥으로부터 시작되는 한쌍의 동맥으로 심장에 동맥혈을 공급한다.
심장동맥질환은 대부분 athrosclerosis(죽경화증)로부터 시작된다. 죽경화증은 지방화합물들이 혈관의 속면에 침착하는 현상이다. 이에의해 혈관은 울퉁불퉁해지고 딱딱해진다.
경화판은 처음에는 혈류의 흐름을 방해하고 더 진행되면 혈관벽이 딱딱해져 혈관이 터지거나 비정상적인 혈전이 발생 혈류가 감소하거나 (ischemia-허혈) 완전히 막혀 근육층 일부가 괴사한다.
괴사-myocardial infarction(심근경색) -경색은 죽은 심장조직이다.-라 한다.
협심증 -심장 혈관이 좁아짐
치료-혈관이완제 또는 수술-CABG(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심장동맥우회술)
-막힌 혈관 대신 다른 혈관으로 새로운 길을 만들어 주는것
PCI(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경피적 관상동맥중재술)등이 있다.
+급성 심장동맥 증후군-심장동맥에서 경화판의 파열에 의해 unstable angina(불안정형협심증) 이나 심근경색증이 발생하는것

Ⅱ. 혈관 질환
1.동맥류(aneurysm)-동맥벽의 국소적 확장
(=혈관변이 탄력을 잃고 약해져 언제 터져도 모를 뮈험한 상태)
원인 죽경화증,고혈압,혈관벽의 선천적약화등이다.동맥류는 대동맥에서 많이 발생하지만 말초동맥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 동맥류는 파열될 경우 심한출혈이 야기될수있기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4.03.11
  • 저작시기2014.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0767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