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촉진연구] 사회적 촉진 연구의 발전 (사회적 촉진에 대한 초기 연구, 사회적 촉진 연구에 대한 Landers의 재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회적촉진연구] 사회적 촉진 연구의 발전 (사회적 촉진에 대한 초기 연구, 사회적 촉진 연구에 대한 Landers의 재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사회적 촉진 연구의 발전

Ⅰ. 사회적 촉진에 대한 초기 연구
 1. 공동 활동과 관중의 긍정적 효과: 사회적 촉진
  1) 실험실 연구
  2) 현장연구
 2. 공동 활동과 관중의 부정적 효과: 사회적 훼손

Ⅱ. 사회적 촉진 연구에 대한 Landers의 재분석
 1. Zajonc의 통합적 설명: 추동이론
 2. 추동의 성격과 측정

본문내용

했다. 추동은 가설적 구성체지만 각성촉발은 신경 생리적 기반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측정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Zajonc는 각성촉발 상태의 변화에 대한 연구들을 사회적 영향으로 설명할 수 있게 되었고, 사회적 촉진현상을 각성촉발로 해석하려는 자신의 주장을 지지할 수 있게 되었다.
각성촉발 또는 에너지 활성화는 전기피질(electrocortical)기법, 자율신경적(autonomic)기법, 행동적(behavioral) 기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전기피질기법은 뇌 피 질로부터 신경흥분 수준을 측정하는 EEG기록을 얻어 내는 것이다. 매우 효과적인 기법이긴 하지만 지금까지 사회적 촉진 연구에서는 사용된 적이 없다.
활성화 각성촉발의 생리적 측정치로 가장 널리 사용된 것은 자율신경계의 직접적인 영향 아래 있는 과정을 포함한다. 사회적 촉진 연구에서는 심장박동, 손바닥 땀 분비, 근육 긴장(Chapman, 1973, 1974)등이 이런 지표에 포함된다. 그러나 이런 측정치를 이용한 연구결과의 패턴은 분명하지 않다. 어떤 연구는 타인의 존재가 자율신경 각성촉발을 증가시키는가 하면 다른 연구는 효과가 없다는 결과를 보였다.
이처럼 연구결과의 불일치는 두 가지 결론을 제시한다. 하나는 타인의 존재가 일반적으로 각성촉발 상태를 높이지는 않는다는 것이다. 두 번째의 가능한 결론은 다양한 생리적 측정치 그 자체에 문제가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자율신경계 반응은 매우 구체적이며, 다양한 생리적 측정치 간에는 관련성이 거의 없다는 사실이 반복적으로 드러났다. 타인이 존재하는 동일한 자극조건에서 세 사람의 심장박동이나 전기피부반응은 다를 수 있다. 한 사람은 심장박동이 발라지고 전기피부반응이 증가하지만, 두 번째 사람은 두 가지 반응에서 아무런 반응이 없거나, 세 번째 사람은 한 가지 반응은 증가하지만 다른 한 가지 반응은 감소할 수 있다.
각성촉발을 동일하게 반영한다고 생각한 심장박동이나 땀의 분비와 같은 생리적 지표가 일치를 보이지 않을 때 연구자들은 딜레마에 직면하게 된다. 타인이나 관중이 선수의 각성촉발 수준을 높이는 데 실패한 것인가? 아니린 그런 상황에서 특정한 생리적 측정치가 선수 개인에게 적절하게 사용되지 못한 것인가? 행동과학자들은 각성촉발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서 여러 가지 생물학적 검사의 사용을 선호했다.
각성촉발 수준을 측정하는 행동적 기법은 Spielberger(1970)의 '상태-특성불안 항목표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STAI)나 Thayer(1967)의 Activation-Deactivation Adjective Checklist(AD-ACL)등과 같은 자기-보고식 질문지를 사용하는 것이다. Carron과 Bennett(1976)은 STAI를 이용하여 공동 활동 상황에서는 상태불안이 증가한다는 결과를 얻었다. 반면 Landers, Braley 그리고 Hale(1977)은 관중이 있거나 또는 공동 활동 조건 어디서도 STAI로 측정된 각성촉발 수준의 증가를 발견하지 못했다. McCullagh와 Landers(1976)그리고 Thayer와 Moore(1972)는 AD-ACL을 이용하여 관중이 있는 조건에서는 각성촉발 수준이 증가하는 결과를 얻었으나, Landers, Brawl와 Hale(1977)은 관중이 있는 조건이나 공동 활동 조건 어디서도 그런 효과를 발견하지 못했다.
전체적으로 보면 타인이 존재하는 결과로 증가된 각성촉발을 객관적으로 측정해서 증명하려는 노력은 성공적이라고 할 수 없다. 그러나 이것은 증가된 각성촉발 수준과 연합되어 있다고 생각되는 변수들을 측정하는 방법의 한계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 가격3,5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4.03.17
  • 저작시기2014.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0832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