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케팅전략 보고서] 국순당 기업분석과 국순당 마케팅전략분석과 국순당 문제점과 개선방안분석 및 국순당 마케팅전략 제언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마케팅전략 보고서] 국순당 기업분석과 국순당 마케팅전략분석과 국순당 문제점과 개선방안분석 및 국순당 마케팅전략 제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보고서요약

1.서론

2.본론
 1) 국순당 마케팅상황 분석
  - Company (자사분석)
  - Competitor (경쟁사분석)
  - 거시적환경분석
 2) 주류시장에서의 국순당 막걸리
  - 국순당 마케팅믹스 4P 전략분석
  - 국순당 SWOT 분석
  - 국순당 현 문제점과 마케팅방안
 3) 국순당 막걸리 STP전략분석
  - STP 분석
  - 국순당 마케팅전략 제안
 4) 마케팅 실행예산 측정
 5) Measuring Progress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팅 전략이 적은 것을 각성하여 국순당에서 캔막걸리인 ‘아이싱’을 선보였으나 크게 홍보되지 않았다. 그 후 막걸리 시장에서 젊은 세대의 기호를 감안한 LTE(LittleTastyEasy)형 막걸리가 트렌드가 되어 경쟁사인 비슷한 형태로 서울탁주에서Ee:FF, 우리술에서 Me3%를 시장에 내놓았지만 모두 크게 관심을 받지 못했다. 그러므로 LTE형 막걸리를 제조함으로써 막걸리 시장 내에서 각 브랜드 간의 차별성 및 경쟁력을 명료하게 하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거시적환경분석
현재 국순당에 영향을 끼치고 있는 거시환경적 요인으로는 대기업의 막걸리 시장 제한, ‘갑의 횡포’ 논란으로 인한 이미지 추락, 저가경쟁에만 치우친 막걸리 시장을 들 수 있다. 첫 번째 국가적인 요인으로서 정부의 대기업 막걸리 시장 참여 제한은 2011년 9월 동반성장위원회가 막걸리를 중소기업 적합품목에 포함해 대기업의 막걸리 시장참여가 제한된 것이 막걸리 시장 침체를 야기시켰다. 이는 막걸리 시장 전체의 규모를 침체시켜 국순당의 막걸리 제품 판매량에도 영향을 끼쳤다. 두 번째 요인은 사회적인 요인으로서 국순당에서 일방적인 구조조정에 맞섰다는 이유로 협의회를 결성한 도매점주들에게 협박과 탈퇴 서약서를 강요하고 거부한 도매점에 제품 공급 중단 등을 자행하는 갑의 횡포를 저질러 사회적으로 비윤리적인 행동을 하였다는 비난을 받아 국순당의 이미지가 추락한 점이다. 세 번째 요인은 LTE형 트렌드를 제외하고는 막걸리 업계 전체가 영세한 점을 핑계로 각 브랜드가 저가경쟁에만 치우쳤을 뿐 광고나 마케팅으로 인해 소비자에게 제품을 인식시키고 홍보를 하여 소비를 이끌려고 하는 노력이 부족했다는 점이다.
2) 주류시장에서의 국순당 막걸리
-국순당 마케팅믹스 4P 전략분석
현재 국순당 막걸리는 대박 막걸리, 국순당 막걸리, 옛날 막걸리, 자연담은, 아이싱, 오름, 햅쌀로 빚은 첫술, 이화주로 총 8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각자 차별화된 맛과 진한 정도, 특징이 있어 다양한 소비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킨다.
그 중 국순당 막걸리는 우국생, 생 막걸리, 쌀 막걸리로 이루어져 있다. 우국생은 신선한 국내산 쌀만을 재료로 사용하여 만들었고 최초로 생 막걸리 밀폐 캡을 적용하여 방부제 없이도 맛과 신선함을 한 달까지 지켜준다. 국순당 생 막걸리는 국내 최초로 개발된 발효제어기술을 이용하고 냉장유통을 신현하여 오래도록 맛과 시선함을 유지할 수 있고 생쌀 발효법으로 빚어 아미노산이 풍부하다. 마지막으로 국순당 쌀 막걸리는 다른 제품의 막걸리들과 다르게 탄산이 없어 부드럽고 깨끗한 점이 특징이다. 또한 이는 캔 용기로도 출시가 되어 소비자들이 야외에서도 쉽고 간편하게 즐길 수 있다.
비교적 최근에 나온 제품으로는 2013년에 출시한 대박 막걸리와 아이싱이다. 대박 막걸리는 전통누룩과 막걸리 전용 효모를 빚어 만든 제품으로써 3단 발효법과 6℃ 이하 냉장숙성을 통해 신선하고 목 넘김이 부드러운 맛을 낸다. 아이싱은 슈퍼쿨링공법을 이용하여 냉각 숙성한 캔 막걸리로, 자몽 과즙을 첨가하여 상큼한 과일 맛을 느낄 수 있다. 국순당은 아이싱을 통해 막걸리 시장 내에서 과일 맛 캔 막걸리를 출시하는 것을 처음 시도하였고 강력한 경장사인 서울 탁주도 이를 뒤이어 달콤한 과일 향이 나는 Ee:FF를 출시하였다.
국순당의 막걸리 제품 라인은 경쟁사의 서울탁주의 것들과 흡사하고 더 나아가 서울 탁주가 가지고 있지 않은 더 다양한 막걸리 제품도 있다. 축하 건배주인 스파클링 막걸리 “오름”과 자연담은 복분자 막걸리가 그 예이다. 서울 탁주는 막걸리 관련 제품만 판매하는 반면 국순당은 막걸리뿐만 아니라 백세주, 명작, 예담, 국순당 담금세상 등의 다양한 제품 라인도 가지고 있다.
두 번째로 Price에 관하여,
국순당 생막걸리
국순당 우국생
장수막걸리
카스
참이슬
처음처럼
1100~1200
1300원~1400
1190~1400
1280~1280
1000~1110원
990~1110원
막걸리 기준 750 ml / 맥주 기준 330 ml / 소주 기준 360 ml (단위: 원)
출저: 한국소비자원 대형마트 기준
위의 테이블을 보면 막걸리의 가격이 소주와 맥주보다 용량 대비 더 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국순당의 인기 브랜드인 국순당 생막걸리와 우국생의 가격이 서울 탁주의 인기 브랜드인 장수 막걸리의 가격과 그리 큰 차이가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국순당과 서울탁주는 이미 여러 차례 막걸리 시장 점유율을 차지하기 위한 저가 가격전쟁을 치렀고, 타 주류에 비해 막걸리가 저렴한 것을 고려해 보았을 때 국순당은 가격 측면에서는 이미 충분한 경쟁력을 가지고 있다.
세 번째로 국순당은 Promotion으로, 아이싱 대학생 서포터즈, 스타마케팅, 펀 마케팅을 실시하였다. 국순당은 현재 신제품인 아이싱의 브랜드 가치를 올리고 홍보하기 위해 대학생 서포터즈를 뽑아 활동 진행 중이다. 대학생들을 통해 아이싱을 홍보하는 것뿐만 아니라 침체된 전통주 시장을 활성화하기 위한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이를 바탕으로 젊은 세대들에게도 막걸리 같은 전통주가 선호하는 주류가 되게끔 하는데 의의가 있다. 국순당은 선발된 대학생 서포터즈에게 활동비를 지급하고 우수학생에게는 장학금 수여와 국순당 인턴 입사 지원시 가산점을 부여하는 혜택을 주고 있다.
국순당은 대박 막걸리의 홍보모델로 탑스타 전지현을 써서 스타마케팅을 펼쳤다. 이를 통해 침체된 막걸리 시장에서 대박 막걸리는 4개월 만에 1,000만병 판매를 돌파하여 성공을 거두는 듯 하였다. 하지만 국순당은 스타 광고와 시음행사 등 판촉비용에 너무 많은 돈을 투자하여 다음 분기에 오히려 적자를 예상하고 있다. 또한 세련된 이미지의 배우 전지현이 막걸리를 마시는 신선한 모습만 주목 받았을 뿐 대박 막걸리의 매출을 장기적으로 올리는 데는 어려움이 있었다고 평가된다.
국순당은 펀(Fun)마케팅을 통하여 젊은 세대도 막걸리에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노력하였다. 막걸리의 고형분이 뭉치지 않고 잘 섞이도록 뚜껑을 따는 다양한 방법을 재미있게 영상으로 담은 “막걸리 빨리 따기, 막걸리 섞기의 달인을 찾아라” 동영상을 유투브에 공개했다.
  • 가격5,5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14.03.17
  • 저작시기2014.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0837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