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통기방식
통기관의 정의 및 목적
통기 방식
통기관의 종류
통기관경
- 기구배수 부하단위법에 의한 관경
통기관의 정의 및 목적
통기 방식
통기관의 종류
통기관경
- 기구배수 부하단위법에 의한 관경
본문내용
통기 설비 [통기방식][통기 방식][통기관 종류][통기관 정의][통기관 목적][통기관경][통기 설비 피피티][통기 설비 ppt][통기 설비 소개][통기 설비 조사][통기 설비 분석][통기 설비 개요]
통기관
배수관 속은 항상 대기압 상태에서 배수가 흐르도록 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그러나 배수가 통과할 때 관 속의 공기는 압축 또는 흡인되어 관내기압이 정압(+)과 부압(-)으로 변동한다. 이 변동 폭이 일정한도를 넘으면 트랩의 봉수(封水, water seal)가 파괴되어 트랩의 기능을 상실하게 된다. 그래서 배수관 속의 요소를 대기에 개방시켜 압력 변동시 공기를 빠져나가게 하거나 보급을 하여 관 속의 압력을 대기압 상태로 유지하도록 해야 한다. 이와 같이 배수관과 대기를 연결시켜 관 속의 기압변동 폭을 줄임으로서 트랩의 기능을 완전하게 하기 위한 관이 통기관(通氣管 ; vent pipe)이다.
통기관의 목적
트랩의 봉수를 보호한다.
배수관 내의 압력 변동을 억제하여 배수의 흐름을 원활하게 한다.
배수관에 신선한 외기를 통하게 함으로써 충분한 환기를 도모하여 배수관의 청결을 유지한다.
통기관
배수관 속은 항상 대기압 상태에서 배수가 흐르도록 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그러나 배수가 통과할 때 관 속의 공기는 압축 또는 흡인되어 관내기압이 정압(+)과 부압(-)으로 변동한다. 이 변동 폭이 일정한도를 넘으면 트랩의 봉수(封水, water seal)가 파괴되어 트랩의 기능을 상실하게 된다. 그래서 배수관 속의 요소를 대기에 개방시켜 압력 변동시 공기를 빠져나가게 하거나 보급을 하여 관 속의 압력을 대기압 상태로 유지하도록 해야 한다. 이와 같이 배수관과 대기를 연결시켜 관 속의 기압변동 폭을 줄임으로서 트랩의 기능을 완전하게 하기 위한 관이 통기관(通氣管 ; vent pipe)이다.
통기관의 목적
트랩의 봉수를 보호한다.
배수관 내의 압력 변동을 억제하여 배수의 흐름을 원활하게 한다.
배수관에 신선한 외기를 통하게 함으로써 충분한 환기를 도모하여 배수관의 청결을 유지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