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성폭력의 예방
2. 성폭력시 조치
1) 성폭력 상황에서의 대처방안
2) 성폭력 당한 후의 사후조치
⒜ 의학적 조치
⒝ 심리적 조치
⒞ 법률적 조치
3. 사이버 성폭력·성희롱
1) 사이버 성폭력·성희롱 예방
2) 사이버 성폭력 ․ 성희롱을 당할 시
3) 사이버 성폭력 ․ 성희롱 신고할 때
2. 성폭력시 조치
1) 성폭력 상황에서의 대처방안
2) 성폭력 당한 후의 사후조치
⒜ 의학적 조치
⒝ 심리적 조치
⒞ 법률적 조치
3. 사이버 성폭력·성희롱
1) 사이버 성폭력·성희롱 예방
2) 사이버 성폭력 ․ 성희롱을 당할 시
3) 사이버 성폭력 ․ 성희롱 신고할 때
본문내용
폭력 성희롱을 당할 시에는 일일이 답하지 않고 무시하도록 하며, 오프라인에서 만나는 것에 신중을 기한다. 사이버 성폭력이라 해도, 당혹감, 두려움 등 그 피해 정도는 상당하므로, 적극적인 대처가 필요하다.
3) 사이버 성폭력 성희롱 신고할 때, 증거자료 모으는 법!
① 해당 화면을 캡처한다 : 신고하고자 하는 대화창이나 사이트의 화면을 띄운 상태에서, 키보드 오른쪽 윗 편의 키를 클릭! → 보조 프로그램 중 ‘그림판’ 프로그램 열기 → 붙여넣기(Ctrl + V) → 다른 이름으로 저장.
② 대화방에서 대화내용 저장하기 : ‘대화저장’ 또는 ‘갈무리 시작’ 클릭! → 저장할 장소와 파일명 지정한 후 ‘저장’ → 위 방법처럼 ‘그림판’ 프로그램 열기 → 붙여넣기 → 다른 이름으로 저장(상대방 ID, 대화시간 등으로 이름 붙이면 내용 파악에 더욱 효율적!).
③ 이메일 헤더 정보 : 보통 이메일을 읽을 때는 헤더는 보이지 않는다. 헤더에는 아이피 주소나 그 사람이 메일을 쓸 때 쓴 프로그램, 식별번호 등의 메일을 보낸 정보가 담겨있다. 헤더를 보려면, 그 메일을 열고 ‘헤더보기’ 메뉴를 클릭!
(예 : 한메일(Daum)의 경우 메일 상단 ‘기타기능’ 중 ‘메일 헤더보기’를, 네이버 메일의 경우 오른쪽 윗 편 ‘헤더보기’를 클릭!)
④ 기타 : 상대방 ID나 그 사람이 보내준 사이트 주소, 유해정보제공 사이트 주소.
※ 성폭력 상담소
: 평택 성폭력가정폭력 상담소(618-1366, 658-6614)
평택가정법률상담소 가정성폭력 상담소(611-4251~2. www.lawhomep.or.kr),
한국성폭력 상담소(02-338-5801~2, www.sisters.or.kr),
여성긴급전화(1366), 청소년긴급전화(1388),
경기해바라기센터(분당 차병원과 연계되어 있음. 708-1376)
가정폭력학교폭력여성폭력 피해자 ONE-STOP 지원센터
(경기 남부는 아주대병원과 연계되어 있음. 국번없이 117, www.117.go.kr),
평택교육청 Wee센터(665-0806, 658-0580, http://wee.goept.kr),
여성의 전화(02-2263-6465, 기타지역은 www.hotline.or.kr 참고),
아우성 (02-332-9978, 3141-6191, www.aoosung.com)
※ 신고 전화 : 경찰(112), 평택경찰서(652-7000, http://www.ggpolice.go.kr/pt/), 경찰신고민원포털(http://cyber112.police.go.kr)
※ 가해자 출소여부 확인방법
: 한국범죄피해자지원센터(http://www.kcvc.net, 02-539-4990)
※ 사이버성폭력 신고, 상담기관 : 국번없이 1377,
사이버명예훼손 성폭력상담센터 (02-3415-0113, www.cyberhumanrights.or.kr),
사이버테러대응센터 (www.netan.go.kr),
불법 청소년유해정보신고센터 (02-3415-0112, www.internet119.or.kr)
→ www.internet119.or.kr에서 ‘인터넷파랑새’ 프로그램을 다운받아 설치하면, 더욱 편리하게 신고할 수 있다.
※ 직장내 성희롱 미해결시 시정 신청 : 국가인권위원회(1331) - 나중에 직장 다닐 때 필요시.
※ 성매수 유인 신고 : 채팅, 쪽지, 인터넷 글 등을 통해 성매매의 유인을 받는 경우, 네이버 등에서 Youth keeper 라는 프로그램 검색하여 다운받아 신고. (아동 및 청소년을 대상으로 성매매 유인만 해도 처벌됨. 거래될 수 없는 소중한 성 및 건전하고도 성실한 근로의 대가로 받는 돈에 대한 올바른 가치관이 중요!)
※ 청소년 성매매 피해 도움요청 기관 : 청소년 긴급전화(1388), 여성 긴급전화(1366), 경찰청 성매매 피해여성신고전화(117), 성매매피해자 보호소(평택 세움터(031-663-4655~6), 그 외의 성매매 피해자 보호소에 대한 정보는 여성부 홈페이지(www.moge.go.kr)→여성정책가이드→인권보호→성매매방지→시설정보 란에 있습니다.
※ 아동ㆍ청소년대상 성범죄 성매매자의 신상정보 공개자료 보는 방법 :
알림e 사이트(www.sexoffender.go.kr) → 2006년 6월 30일부터의 아동 청소년 대상 성범죄자 성매매자 중 신상정보 공개명령 판결을 받은 자 만의 정보를 볼 수 있다. 성인이라면 누구나 성인 인증 절차를 거쳐 볼 수 있다. (부모님께 안내해드리세요!)
3) 사이버 성폭력 성희롱 신고할 때, 증거자료 모으는 법!
① 해당 화면을 캡처한다 : 신고하고자 하는 대화창이나 사이트의 화면을 띄운 상태에서, 키보드 오른쪽 윗 편의
② 대화방에서 대화내용 저장하기 : ‘대화저장’ 또는 ‘갈무리 시작’ 클릭! → 저장할 장소와 파일명 지정한 후 ‘저장’ → 위 방법처럼 ‘그림판’ 프로그램 열기 → 붙여넣기 → 다른 이름으로 저장(상대방 ID, 대화시간 등으로 이름 붙이면 내용 파악에 더욱 효율적!).
③ 이메일 헤더 정보 : 보통 이메일을 읽을 때는 헤더는 보이지 않는다. 헤더에는 아이피 주소나 그 사람이 메일을 쓸 때 쓴 프로그램, 식별번호 등의 메일을 보낸 정보가 담겨있다. 헤더를 보려면, 그 메일을 열고 ‘헤더보기’ 메뉴를 클릭!
(예 : 한메일(Daum)의 경우 메일 상단 ‘기타기능’ 중 ‘메일 헤더보기’를, 네이버 메일의 경우 오른쪽 윗 편 ‘헤더보기’를 클릭!)
④ 기타 : 상대방 ID나 그 사람이 보내준 사이트 주소, 유해정보제공 사이트 주소.
※ 성폭력 상담소
: 평택 성폭력가정폭력 상담소(618-1366, 658-6614)
평택가정법률상담소 가정성폭력 상담소(611-4251~2. www.lawhomep.or.kr),
한국성폭력 상담소(02-338-5801~2, www.sisters.or.kr),
여성긴급전화(1366), 청소년긴급전화(1388),
경기해바라기센터(분당 차병원과 연계되어 있음. 708-1376)
가정폭력학교폭력여성폭력 피해자 ONE-STOP 지원센터
(경기 남부는 아주대병원과 연계되어 있음. 국번없이 117, www.117.go.kr),
평택교육청 Wee센터(665-0806, 658-0580, http://wee.goept.kr),
여성의 전화(02-2263-6465, 기타지역은 www.hotline.or.kr 참고),
아우성 (02-332-9978, 3141-6191, www.aoosung.com)
※ 신고 전화 : 경찰(112), 평택경찰서(652-7000, http://www.ggpolice.go.kr/pt/), 경찰신고민원포털(http://cyber112.police.go.kr)
※ 가해자 출소여부 확인방법
: 한국범죄피해자지원센터(http://www.kcvc.net, 02-539-4990)
※ 사이버성폭력 신고, 상담기관 : 국번없이 1377,
사이버명예훼손 성폭력상담센터 (02-3415-0113, www.cyberhumanrights.or.kr),
사이버테러대응센터 (www.netan.go.kr),
불법 청소년유해정보신고센터 (02-3415-0112, www.internet119.or.kr)
→ www.internet119.or.kr에서 ‘인터넷파랑새’ 프로그램을 다운받아 설치하면, 더욱 편리하게 신고할 수 있다.
※ 직장내 성희롱 미해결시 시정 신청 : 국가인권위원회(1331) - 나중에 직장 다닐 때 필요시.
※ 성매수 유인 신고 : 채팅, 쪽지, 인터넷 글 등을 통해 성매매의 유인을 받는 경우, 네이버 등에서 Youth keeper 라는 프로그램 검색하여 다운받아 신고. (아동 및 청소년을 대상으로 성매매 유인만 해도 처벌됨. 거래될 수 없는 소중한 성 및 건전하고도 성실한 근로의 대가로 받는 돈에 대한 올바른 가치관이 중요!)
※ 청소년 성매매 피해 도움요청 기관 : 청소년 긴급전화(1388), 여성 긴급전화(1366), 경찰청 성매매 피해여성신고전화(117), 성매매피해자 보호소(평택 세움터(031-663-4655~6), 그 외의 성매매 피해자 보호소에 대한 정보는 여성부 홈페이지(www.moge.go.kr)→여성정책가이드→인권보호→성매매방지→시설정보 란에 있습니다.
※ 아동ㆍ청소년대상 성범죄 성매매자의 신상정보 공개자료 보는 방법 :
알림e 사이트(www.sexoffender.go.kr) → 2006년 6월 30일부터의 아동 청소년 대상 성범죄자 성매매자 중 신상정보 공개명령 판결을 받은 자 만의 정보를 볼 수 있다. 성인이라면 누구나 성인 인증 절차를 거쳐 볼 수 있다. (부모님께 안내해드리세요!)
추천자료
가상공동체(사이버공동체, 인터넷) 가치와 유형, 가상공동체(사이버공동체, 인터넷) 속성과 ...
온라인문학(사이버문학, 인터넷문학)의 정의와 성격, 온라인문학(사이버문학, 인터넷문학)의 ...
인터넷(사이버) 불건전정보 정의, 인터넷(사이버) 불건전정보 판단기준, 인터넷(사이버) 불건...
인터넷공동체(사이버공동체, 가상)의 개념과 특징, 인터넷공동체(사이버공동체, 가상)의 배경...
[사이버시장]사이버시장(인터넷시장)의 현황, 사이버시장(인터넷시장)과 사이버교육시장, 사...
[사이버브랜드][인터넷브랜드][자본화과정]사이버브랜드(인터넷브랜드)의 의미, 사이버브랜드...
[사이버해운거래][사이버해운거래 시스템][사이버해운거래 모델][시스템개발][전자상거래]사...
[사이버테러][인터넷테러][보안대책][사이버][테러][사이버테러 유형]사이버테러(인터넷테러)...
[사이버홍보][사이버관계망][사이버교육]사이버홍보, 사이버관계망, 사이버교육, 사이버대학,...
인터넷 사이버공간, 인터넷 사이버문화, 인터넷 사이버쇼핑, 사이버쇼핑몰, 인터넷 사이버폭...
[사이버가정학습, 사이버대학]사이버가정학습, 사이버대학, 사이버문화, 사이버문학, 사이버...
[사이버공간(인터넷)]사이버공간(인터넷)의 개념과 특성, 사이버공간(인터넷)의 주체, 사이버...
인터넷 사이버교육, 인터넷 사이버교회, 인터넷 사이버언어, 인터넷 사이버공동체, 인터넷 사...
[사이버 폭력과 사이버중독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사이버 폭력과 사이버중독 - 사이버 폭력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