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마켓 기업분석과 마케팅전략분석및 G마켓 활성화전략분석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G마켓 기업분석과 마케팅전략분석및 G마켓 활성화전략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G마켓 선정배경

2. G마켓 개요 및 연혁
1)기업 개요
2)기업 연혁

3. 오픈마켓 시장 현황
1)‘오픈마켓’에 대하여
2)오픈마켓 성장률 및 시장점유율
3)주요경쟁사 11번가의 위협

4. G마켓 SWOT분석
⓵강점(Strength)
⓶약점(Weakness)
⓷기회(Opportunity)
⓸위협(Threat)

5. G마켓 STP전략 분석
⓵Segmentation
⓶Targeting
⓷Positioning

6. G마켓 4C분석
⓵Consumer Value
⓶Cost
⓷Convenience
⓸Communication

7. G마켓 활성화 방안

8. G마켓 사이트 평가점수

[참고자료]

본문내용

인터넷 쇼핑몰은 판매자로부터 제품을 받고 구매자는 인터넷 쇼핑몰에서 제품을 구매한다(판매 방식). 하지만, 오픈 마켓은 판매자가 직접 제품을 판매하고, 구매자가 직접 판매자에게 제품을 구매하는 방식이다. 즉, 오픈 마켓은 중간에 위치한 중개자 역할을 할 뿐이다(중개 방식).
때문에 오픈 마켓의 제품 가격이 저렴하다. 기존 입점식 B2C 판매방식의 경우 높은 판매수수료가 소비자 구매 가격에 포함되었기 때문에 가격이 높다. 하지만 오픈 마켓은 판매자가 구매자가 되고, 구매자가 판매자가 되는 C2C 판매방식이기 때문에 제품 가격이 낮다. 또한 오픈 마켓은 한 가지 제품이라도 판매자가 여럿이기 때문에 경쟁 관계가 자연스럽게 유발되는 적자생존의 공간이다. 때문에 오픈 마켓의 제품 가격이 전체적으로 싸다.
오프라인 유통 구조보다 이용하기 편리하다는 장점과 중간 유통 과정 없이 싸게 제품을 구매할 수 있다는 장점은 지금도 유효하다. 실제로 오프라인 매장의 매출 규모는 정체된 반면, 오픈 마켓 및 온라인 쇼핑몰의 매출은 지속해서 성장하고 있다. 대표적인 국내 오픈 마켓으로 G마켓, 옥션, 11번가 등을 꼽는다.
2)오픈마켓 성장률 및 시장점유율
오픈 마켓의 성장은 지금도 현재 진행형이다. 작년 오픈마켓 시장 규모가 12조원을 돌파했을 것이라 추정되며, 5년사이 2배이상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2000년대 후반 업계에서 ‘포화상태’라는 지적이 무색하게 연평균 10%이상 고속성장하며 경쟁이 갈수록 치열해 지고 있는 상황이다. 판 커진 오픈마켓…올해 12조원 넘는다, 지디넷코리아, 2012년 6월 12일
[2007년-2011년 오픈마켓 시장 규모]
출처: 지디넷코리아
온라인쇼핑업계 자체분석 자료들을 종합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 2007년 G마켓과 옥션의 오픈마켓 시장 점유율은 각각 54.4%, 38.5%로 92.9%를 차지했지만, 2008년 진출한 11번가가 공격적인 마케팅을 펼치며 선전한 결과 2011년 G마켓과 옥션의 점유율은 66.9%까지 감소했다. 2012년 11번가의 총거래액은 4조6000억 원으로 전체 오픈마켓 시장의 30.8%차지했다. 옥션의 시장점유율은 2011년까지 11번가를 근소한 차이로 앞섰으나 2012년 점유율 29%대를 기록해 3위로 밀려났다. G마켓은 39%대를 차지하며 1위를 유지하고 있다.
[2007년-2011년 오픈마켓 시장점유율 변화] G마켓-옥션 “겸허한 자세로 고객 최우선 기업 되겠다, 경제투데이, 2011년 7월 5일
G마켓과 옥션의 합병 - ‘이베이코리아’
G마켓과 옥션의 합병으로 탄력을 받은 이베이코리아는 2012년, 6281억 원의 매출액을 기록하며 전년(4441억원) 대비 41.43%(1840억원) 급증했다. 힘잃던 \'G마켓+옥션\' 매출급증의 비밀은, 중앙일보, 2013 4월 23일
하지만 영업이익은 194억 원으로, 전년(650억 원) 대비 70.15% (456억 원) 급감했다. 매출은 크게 늘어난 반면 수익성이 악화됐다는 건 오픈마켓 시장 전체의 경쟁이 격해지면서 영업마진이 크게 줄어들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영업이익률은 악화됐으나 세금 환급 효과에 힘입어 당기순이익은 흑자전환하며 481억 원의 당기순이익을 올렸다.
2012년
2011년
매출액
628,090
444,138
영업이익
19,352
64,984
당기순이익
48,053
-1,738
판매비와 관리비
370,631
219,379
광고비
154,690
94,206
기부금
344
8
출처-금융감독원 (단위:백만원)
3)주요경쟁사 11번가의 위협
2008년 2월 오픈한 국내 유일 토종 오픈마켓 11번가는 2011년 모바일쇼핑 부문의 괄목할 만한 성과를 바탕으로 거래액 3조9천3백억을 달성, 사업을 시작한 이후 처음으로 연간기준 흑자구조로 전환했다. 2012년에는 거래액 4조6천억원을 달성하며 꾸준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는데 이 같은 실적은 고객대상의 신뢰마케팅과 T맴버쉽, OK캐쉬백 등 다양한 고객혜택, 경쟁사와 차별화된 상품경쟁력을 강화가 뒷받침되었다.
11번가는 업계 최초로 고객만족을 위해 다양한 신뢰마케팅을 추진했는데 위조품110%보상제, 최저가보상제, 무료반품제, 배송지연보상제, 고객실수보상제, 24시간 콜센터 운영으로 업계 신뢰 다지기를 성공적으로 수행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또한 11번가는 경쟁사와 동일 상품으로는 시장을 이끌어 갈 수 없다고 판단, 상품 유니크 전략을 통해 차별화를 모색했다. 가격은 기본, 고가의 캠핑트레일러, 전기자동차, 할리데이비슨 등 11번가에서만 판매하는 유니크한 상품판매로 11번가에 대한 관심과 브랜드이미지를 제고 시킬 수 있는 기회가 됐다.
모바일쇼핑 부문에서 작년 업계 최고치인 연 거래매출 2800억 원, 월 430억 원을 달성한 11번가는 SK텔레콤, SK플래닛의 통신 인프라 및 무선 플랫폼을 적극 활용해 ‘모바일 커머스 리더십’의 위상을 확고히 했다 11번가 실적은 모바일쇼핑 어플리케이션시장 전체에서는 무려 50%내외의 점유율이다.
4. G마켓 기업분석
1)SWOT분석
4. G마켓 SWOT분석
강점(Strength)
-낮은 수수료 [판매자 진입장벽을 낮춤]
-사회공헌활동 [후원쇼핑, 100원의 기적] G마켓, 고객이 상품 구입하면 저절로 일정액 기부, 한국경제, 2012년 10월 8일
-소비자의 니즈를 반영한 서비스 제공
[마트 온, G Soho#, G9 등]
-효율적인 판매자용 웹 호스팅 서비스
-중소상인 지원(G Soho#)
-다양한 이벤트와 혜택
[G마켓 해외자원봉사단, 20대 쇼핑지원
등급별 차등혜택, 20개월 무이자할부 이벤트 ]
약점(Weakness)
-소비자 피해건수 1위의 불명예 4대 오픈마켓 소비자 피해 크게 증가, 아이티투데이, 2013년 4월 27일
-허위 표시, 과장광고로 인한 신뢰도 하락
-특별 상품군의 매출 편중
-오프라인 매장 부재 [눈으로 확인할 수 없음]
-불량 판매자 관리의 어려움
-배송 문제
기회(Opportunity)
-E마켓 플레이스의 성장
-고객들의 쇼루밍 현상 증가
-해외 진출
-모바일 거래 활성화
-B2B 시장거래의 발달
위협(Threat)
-대기업의 E-마켓 플레이스 시장진출 [

키워드

  • 가격3,8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14.03.31
  • 저작시기2014.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1075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