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농업] 농업의 발달과 입지조건 & 한국 농업의 특색(특징) & 우리나라 주요 농작물의 생산과 분포 & 목축업과 낙농업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우리나라의 농업] 농업의 발달과 입지조건 & 한국 농업의 특색(특징) & 우리나라 주요 농작물의 생산과 분포 & 목축업과 낙농업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우리나라의 농업

Ⅰ. 농업의 발달과 입지조건

Ⅱ. 한국 농업의 특색

Ⅲ. 주요 농작물의 생산과 분포

1. 쌀
2. 맥류
3. 두류
4. 잡곡
5. 서류
6. 원예작물
7. 특용작물

Ⅳ. 목축업과 낙농업

1. 목축업
2. 낙농업

본문내용

양 등 남해안의 난대형 원예농업지역, 그리고 대관령을 중심으로 한 태백
산맥 일대의 고냉지형 원예농업지역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과수는 기후나 토양 등 자연조건에 의해 지역에 따라 집중적으로 재배되
는 것이 특색이므로 관광농장으로 발달되고 있다.
사과는 냉량성 과실로 내한성이 크고 저장이 용이하다. 우리나라는 사과
재배에 알맞은 기후지역으로 남해안지방을 제외하고는 전국적으로 재배되며,
전체 과수 재배 면적의 38%를 차지하고 있다. 주산지는 북한의 황주, 남포,
연변과 남한의 대구분지, 충청북도의 충주, 충청남도의 예산, 서산 등지로 최
근에 수출도 많이 하고 있다.
배는 난대성 과실로 전국적으로 널리 재배된다. 주산지는 수도권 및 경상
남도 김해, 전라남도의 나주 등지이다.
복숭아와 포도는 수송 문제 때문에 인구가 밀집된 도시 근교에서 생산하
며, 주산지는 경기도와 충청남도이다.
글은 제주도와 남해안지방에서 집중 재배되고 있으며, 개량종은 충청남도
까지 전파되었다.
- 지역별 과수 생산 -
(7) 특용작물
특용작물로는 면화, 삼, 모시, 아마, 저마, 담배, 인삼, 차 등을 들 수 있다.
면화는 무상기일 200일 이상이 필요한 작물로, 1900년대에 전국적으로 재
배되어 한때는 국내 수요는 물론 일본에 수출까지 하였다. 최근에는 미국에
서 값싼 원면을 수입하고, 각종 화학섬유의 보급으로 면화의 재배는 거의 하
지 않고 있다.
삼은 안동을 중심으로 한 낙동강 상류지방과 강원도 산간지방에서 재배되
고 있다. 모시는 한산모시의 주산지인 서천 부여에서 생산되나 소량이며 최
근에 혼방사의 원료로 쓰이고 있다.
담배는 성장 기간이 고온다우한 지역에서 재배가 적합하다. 주산지는 충청
북도의 음성, 괴산, 충주와 경상북도의 봉화, 문경 등지이다.
인삼은 약용작물로 재배되어 왔으나, 근래에는 관광 상품작물로 수익성이
높아 해외 수출이 증대되고 있다. 개성, 금산, 부여, 괴산, 강화, 포천 등이
주산지이나 재배지역이 확대되고 있다.
차(茶)는 전라남도 보성을 중심으로 대단위 단지가 조성되어 관광농장으로
발전되고 있다.
4) 목축업과 낙농업
(1) 목축업
오랫동안의 식생활 양식과 살생을 금하는 불교와 유교의 영향으로 목축업
발달은 부진하였다. 소와 말은 가장 오래된 가축으로 전국적으로 분포하고
있다. 소는 육용보다 농경용 및 운송용으로 사육되었으며, 고기, 가죽, 비료
등의 공급에 중요한 가축으로 태백산지와 개마고원, 영남지방에서 주로 사육
되었으나, 육류 소비의 증가로 최근에는 육우로의 사육 두수가 증가하고 있
다. 말은 제주도와 개마고원에서 주로 사육된다. 특히 제주도에서는 사육 두
수가 증가하고 있다.
돼지와 밝은 농가의 부업으로 사육되었으나, 오늘날에는 대도시 주변에 대
단위 단지를 조성하여 기업적으로 사육되고 있다.
농업 구조면에서 축산 총생산액이 차지하는 비율은 1970년대 이후 높은
성장률을 보이고 있다. 이는 국민소득 향상에 의한 식생활 개선으로 육류의
수요가 증대되었기 때문이다.
제주도나 대관령 이외는 대규모의 자연 목초지나 방목지가 없고, 기후조건
도 알맞지 않으나, 국토의 약 65%에 해당하는 산지의 완사면과 구릉지를 초
지나 방목지로 개발할 수 있어 목축업 발전에 유리한 조건을 가지고 있다.
최근 산지 개발을 통한 초지 조성 계획을 수립하여 목축업 발전에 주력하
고 있다.
목축업은 농가의 부업 형태를 벗어나 식량자원의 확보라는 차원에서 한우,
육우, 양돈, 양계 및 낙농단지를 확대시켜 기업 형태로 발전시키고 있다.
(2) 낙농업
낙농업은 초지 조성이 가능하고 자급 사료 공급이 충분한 지역으로, 우유 가
공 공장이 가깝게 있어야 하며, 철도교통이나 고속도로와 쉽게 연결될 수 있
는 지역으로 소비시장에 인접한 지역일수록 유리하다.
우리나라의 낙농업은 역사가 50여 년에 불과하나, 1960년대 초의 젖소 도
입과 우유 가공 공장의 건설 등이 낙농업 발전에 큰 계기가 되었다.
우리나라의 낙농업은 목초지 조성에 의한 사료작물 재배에 의존하는 것보
다 농축 사료에 의존하는 경향이 높아, 입지는 교통로의 영향을 많이 받고
있다. 그러므로 서울의 대소비시장을 중심으로 도로망을 따라 약 50km 이내
의 동심원상으로 집중되어 있으며, 고속도로와 국도를 따라 확산되고 있다.
대도시 근교에는 소규모의 낙농업이 발달하고, 도시와 별리 떨어진 곳에서
는 대규모의 기업낙농업이 발달되어 관광자원화되고 있다. 서울 근교 및 경
기도지방이 전국의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 가격2,8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4.04.09
  • 저작시기2014.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1239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