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생아실 보고서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신생아실 보고서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신생아실 보고서

1. 신생아 정상발달(문헌고찰 및 관찰)
1) 초기 건강사정
2) 후기 건강사정(24시간 이내)
3) 신생아의 특성과 간호

2. 고위험 신생아(문헌고찰 및 관찰)
1) 고위험 신생아의 분류
2) 고위험 신생아의 건강문제와 간호

본문내용

비해 짧아 보일 수 도 있으나, 손을 뻗쳤을 때는 허벅지 위쪽에 닿아야 한다.
② 활력징후 (BT, PR, RR, BP)
BT : 36.5~37.6도
PR : 120~140회/분
RR : 30~60회/분
BP : 65~441mmHg
③ 피부(색깔과 특성)
혈관 운동 신경이 불안정하고 말초혈액순환이 완만하기 때문에 울 때 암적색이나 자색을 띠고 얼룩덜룩하거나 말단청색증을 보이고, 심하게 울수록 점점 심하게 변한다. 피부의 진피와 표피는 서로 느슨하게 부착되어 있고 매우 얇아 조그만 자극에도 쉽게 손상될 수 있다. 피부는 철생시에 회백색의 태아기름막 태지로 덮여 있다. 태지는 기름샘과 상피세 포의 분비물로 구성되어 있으며 왁스 성분과 유사하여 피부를 보호해 주는 역할을 하고 피부가 접히는 부분에 많다. 그밖에 이마, 뺨, 어깨와 등 부위에서 가늘고 부드러운 솜털 을 볼 수 있다.
④ 신체계측(신장, 체중, 두위, 흉위)
체중 : 2700~4000g, 평균 3,400g
두위 : 33~33.5cm
흉위 : 30.5~33cm
3) 신생아의 특성과 간호
① 정상적인 특성
영역
항목
의학용어 & 설명
피부
솜털
lanugo / 12주~16주에 만들어지기 시작하고 8개월째 탈락한다.
태지
vernix caseosa / 기름샘과 상피세포의 분비물로 구성되어 있으며 왁스성분과 유사하여 피부를 보호해 주는 역할을 하고 피부가 접히는 부분에 많다.
회색구진
milia / 피부 밑에 생긴 작고 밟은 흰색의 결절
몽고반점
mongolian spot / 신생아나 유아의 등 또는 궁둥이 등에 나타나는 청색반점
피부낙설
skin desquamation / 피부가 벗겨지는 현상
중독성 홍반
toxic erythema / 신생아의 얼굴에 울긋불긋 발진이 나타나는 것
말단청색증
acrocyanosis / 혈관운동신경이 불안정하고 말초 혈액순환이 완만하기 때문에 울 때 암적색이나 자색을 띠고 얼룩덜룩 함.
머리
천문
fontanel / 신생아부터 유아기에 걸쳐 두골이 각 봉합 부위에 골질이 결여되어 결합조직만으로 덮여있는 부분.
산류
caput succedaneum / 두피 연조직의 종창
주형
molding / 분만과정에서 태아의 머리에서 발생하는 현상
흉부
유방울혈
breast engorgement / 분만 후 수유 중에 발생하는 유방의 통증이나 전신적 발열
마유
hempseed oil / 남녀 구별 없이 생후 3~4일경부터 신생아의 유방에서 나오는 초유 비슷한 액체
복부

소화기계
제대
umbilical cord / 태아와 태반을 연결하여 모체와 태아 사이의 물질교환이 일어나는 통로
이행변
cleft lip / 태변에서 정상변으로 넘어가는 중간단계
비뇨생식기계
첫 배뇨시간
소변배셜량은 1~3ml/kg/hr로 하루에 대략 2~6회 배설, 생후 첫 24시간 동안 배뇨하지 않는 경우 신장 기능 평가해야 한다.
여아 생식기 특징
모체 호르몬의 영향으로 생식기가 두드러져 보이고 분비물이 나올 수 있다. 가성월경은 기저귀에서 혈액이 관찰, 36주 이전의 신생아는 음핵이 두드러지게 돌출되어 있고 대음순은 작고 넓게 퍼져있다. 만삭아는 음핵과 소음순이 대음순에 의해 덮혀있다.
가성월경 및 질 분비물
pseudomenstruation / 기저귀에서 혈액이 관찰되는 현상, 정상적인 현상임.
남아 생식기 특징
재태기간 36주 이전의 음낭은 작고 주름도 적고 고환은 태아 8개월경에 음낭으로 내려가나 서혜관에서 촉죄드는 겅우가 많음. 음낭은 크고 부종이 있고 주름이 많고 고환이 만져진다.
고환하강
testicular feminizatin / 고환이 처음에는 허리등뼈의 바깥쪽에서 생겨 태아가 자람에 따라 내려가 음낭 안으로 들어가는 현상.
근골격계
체위
만삭의 신생아는 사지의 고긴장성 굴곡을 나타낸다.
사지대칭 및 균형
신생아를 앙와위에서 앉는 자세로 당기면 신생아는 머리처짐 현상이 나타난다. 복위로 눕히면 신생아는 고개를 살짝 들어올려 옆으로 돌릴 수 있는 능력이 있다. 팔을 뻗쳤을 때 손은 허벅지 윗부분에 닿아야 한다. 다리는 반드시 똑같은 길이여야 하고, 둔근의 피부주름은 대칭적이어야 한다. 척추는 곧고 편평해야 하며 신경관 결손의 하나인 이분척추와 같은 기형이 있는지 잘 관찰해야 한다.
신경계 반사
눈 - 각막반사
corneal reflex / 각막을 자극하면 눈을 재빨리 닫는 반사현상.
입과 인후 - 포유반사
rooting / 입쪽의 볼을 건드리면 자극이 있는쪽으로 고개를 돌리는 반사.
입과 인후 - 흡철반사
sucking / 입술이나 입속에 자극하면 빠는 반사
사지 - 바빈스키반사
babinski / 발바닥을 가로질러 위쪽으로 긁으면 발가락을 쫙 펴고 엄지발가락은 배굴된다.
사지 - 파악반사
grasp / 손바닥을 건드리면 물건을 움켜잡고, 엄지손가락을 신생아의 발가락 기저부분에 놓으면 발가락이 아래쪽으로 굴곡되는 반사.
사지 - 보행반사
step / 안은 채로 발바닥을 딱딱한 면에 닿게 하면 걷는 것을 흉내내듯 다리의 굴곡과 신장이 번갈아 있다.
전신 - 모로반사
moro / 평형의 갑작스러운 부조화나 변화를 주면 사지를 갑작스럽게 펴고 손가락을 편다.
다리는 약하게 굴곡되고, 머리는 뒤로 움직이고, 척추와 하지는 뻗는다.
전신 - 긴장성 경 반사
tonic neck / 한쪽으로 목을 돌리면 그쪽의 사지는 신장되고, 반대쪽으로 굴곡되는 반사
전신 - 체간만곡반사
trunk incurvation / 배를 대고 누웠을 때 신생아의 등을 척추를 따라 약 5cm정도 건드렸을 때 자극을 받은 쪽으로 등을 구부리는 반사.
기타
생리적 체중감소
neonatal physiologic weight loss / 출생 후 바로 몸에 묻은 양수가 마르고 태어나기 전 자궁속에서 누지 않은 소변과 태변을 누고 갓 태어난 신생아들 대부분은 생후 첫 2~3일 동안 모우나 인공영양을 충분히 먹지 않기 때문에 체중감소가 나타난다.
생리적 탈수열
dehydration fever / 수분 섭취 부족한 모유 수유아, 주위의 온도가 너무 높을 때, 햇볕이나 난방기구에 노출
  • 가격2,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4.04.11
  • 저작시기2014.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1274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