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문헌고찰>
* 자궁근종이란?
(1) 빈도
(2) 원인
(3) 유형
(4) 증상
(5) 근종의 2차변성
(6) 자궁근종과 임신
(7) 치료 및 간호
<간호사례 연구기록>
1) 간호력
(1) 일반적 특성
2) 월경력
3) 현병력
4) 과거병력
2) 건강검진
(1) 신체사정
(2) 임상적 의의
(3) 진단을 위한 검사
(4) 최종 진단명
3) 치료계획과 치료방법
3) 간호진단 목록
4)간호과정
간호진단 1 : 복강경 수술과 관련된 수술 후 회복지연
간호진단 2 : 수술과 관련된 급성통증
실습일지
* 자궁근종이란?
(1) 빈도
(2) 원인
(3) 유형
(4) 증상
(5) 근종의 2차변성
(6) 자궁근종과 임신
(7) 치료 및 간호
<간호사례 연구기록>
1) 간호력
(1) 일반적 특성
2) 월경력
3) 현병력
4) 과거병력
2) 건강검진
(1) 신체사정
(2) 임상적 의의
(3) 진단을 위한 검사
(4) 최종 진단명
3) 치료계획과 치료방법
3) 간호진단 목록
4)간호과정
간호진단 1 : 복강경 수술과 관련된 수술 후 회복지연
간호진단 2 : 수술과 관련된 급성통증
실습일지
본문내용
불임으로, 이전에 분만에 이르지 못했더라도 임신을 했던 적이 있었던 경우를 이차성 불임으로 세분할 수 있다.
* 원인
1) 남성 요인
2) 난소 기능 저하
3) 배란 장애
4) 난관 손상, 결찰(매듭), 또는 난관주위 유착
5) 자궁경관 또는 면역학적 요인
6) 자궁인자
7) 면역학적 이상, 감염, 심한 전신적 질환
8) 원인 불명: 난관, 난관주위 유착을 동반하지 않는 자궁내막증 포함
* 치료
1. 배란장애 환자에서의 배란유도
배란유도란 배란이 안 되는 환자에서 수술 또는 약물 투여로 배란이 되도록 도와주는 것을 말하며, 과배란유도란 배란이 되는 환자에서 더 많은 난포를 얻어서 임신율을 올리기 위하여 주사용 과배란유도제를 투여하는 것을 말한다.
2. 인공수정
정자를 인공적으로 여성의 생식기 내로 주입해주는 것으로 자궁경관요인, 항정자항체 등의 면역학적 요인 및 남성요인으로서 무정자증, 희소정자증 등에 이용된다. 효과적인 정자의 농축을 위하여 다양한 과정의 정자 처리 과정을 거친다. 배우자 인공수정(artificial insemination of husband; AIH)은 정상 정액을 가진 남성이 성기능장애, 해부학적 결핍 등으로 정액을 질 내로 전달하지 못할 때 시행하며, 공여자 인공수정(artificial insemination of donor; AID)은 무정자증의 경우에 고환 내에서 정자를 얻을 수 없을 때 시행된다. 유전 질환이나 성병이 없고 피수정자와 신체 특징이 같은 정상 정액을 가진 남성이 제공자가 된다. 기술적인 방법으로는 자궁 내 인공수정(intrauterine insemination; IUI), 자궁경관 내 인공수정(intracervical insemination; ICI), 질 내 인공 수정(intravaginal insemination; IVI) 등이 있으나 현재는 자궁 내 인공수정이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시술 시기가 중요하며, 따라서 배란 시기를 정확히 예측하는 것이 임신율을 높이는 관건이다. 자연 배란 주기를 이용하는 경우는 드물며, 임신율을 높이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경구 또는 주사용 과배란유도제와 병용한다. 3개월 내에 50%, 6개월 내에 90%에서 임신이 된다.
3. 체외수정시술(IVF-ET)
난자를 채취하여 시험관 내에서 수정시키고 배아를 다시 자궁 내로 이식하는 방법이다. 체외수정시술의 적응증으로는 한쪽 혹은 양측성 난관폐쇄, 이전 수술로 인한 난관의 상실, 자궁경관 요인, 정자 감소증 등의 남성요인, 항정자항체 등의 면역학적 요인, 원인 불명의 불임, 그리고 자궁내막증, 중등도의 남성인자 불임 등이 있다. 체외수정시술을 시행할 때에는 임신율을 높이기 위해 다수의 난자를 얻어야 하는데 앞에서 설명하였던 배란유도제를 이용하여 과배란유도(controlled ovarian hyperstimulation; COH)를 시킨다. 과배란유도제의 종류는 배란 유도에서 설명하였던 것과 같으며, 특히 최근 성선자극호르몬분비호르몬 작용제의 도입으로 많은 수의 질 좋은 성숙 난자를 얻을 수 있도록 하여 체외 수정시술 시 임신율을 높이는 데 큰 공헌을 하였다.
체외수정시술은 성선자극호르몬분비호르몬 작용제(GnRH agonist) 성선자극호르몬 투여에 의한 과배란유도 후 난포의 크기가 17~18 mm 에 도달하면 난자의 최종 성숙을 유도하는 태반성 성선 자극 호르몬(r-hCG 5,000 IU)를 피하 주사하고, 36시간 후에 질식 초음파 유도하에 난포를 모두 체외로 흡인하여 난자를 얻는다. 이를 시험관내에서 미리 준비된 정자와 수정시켜 약 이틀간 배양 후 4~10 세포기 단계의 배아(embryo)를 다시 자궁 내로 이식한다. 이식하는 배아의 수는 각 시술 센터마다 상한선을 정해 놓고 있으며 영국의 경우에는 3개 이상은 이식하지 못하도록 법으로 규정하였다. 최근에는 5일간 배양한 후 포배기(blastocyst stage) 상태의 배아를 이식함으로써 임신율의 상승을 보고하고 있다. 수정률은 약 70~80%, 임신율은 약 25~30%, 아기를 집으로 데리고 올 수 있는 비율(take-home baby rate)은 15~20% 정도이다.
소감 및 건의사항
힘들게 인공수정으로 아이를 가진 산모가 유산을 해서 마음이 몹시 언짢았다. 분만실에서 분만이 진행되는데 아기가 우는 소리가 들리지 않아서 괜히 기분이 이상했다.
2010년 2월 3일 수요일 / Duty : Evening / ○○대학교병원 31병동
교과내용
▶ 일혈 발생시 중재방법 (Treatment of extravasation)
1) 일혈이 의심되거나 발생되면 즉시 항암제 주입을 중단한다.
2) IV Root는 제거하지 말고 그대로 둔다.
3) IV Root에 주사기를 연결하여 남아 있는 항암제와 혈액을 5-10cc 까지 흡인한다.
4) 만일 흡인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cannula를 통해 antidote를 주입하지 말고 cannula를 제거한다.
5) 일혈 부위를 올려주고 직접 압박하지 않도록 한다. 스테로이드 연고 도포 후 멸균dressing 한다.
6) 일혈된 주사 부위에 약제에 따라 antidote를 적용한다.
Doxorubicin, Mitomycin, Dactinomycin 일혈시 hydrocortisone과 DMSO(Dimephyl sulfoxide)를 사용한다.
7) 약제에 따라 냉 요법 또는 온 요법을 1회 30분씩 하루에 4~6회 반복하고 상태에 따라 24~48시간 동안 시행한다.
8) 일혈이 일어난 부위에 멸균 폐쇄 드레싱을 시행한다.
9) 간호기록에 일혈 시간, 바늘 등의 크기, 삽입 부위, 약물투여순서, 일혈된 약물의 양, 통증, 발적 등에 대해 기록하고 즉시 주치의에게 알린다.
10) 일혈 부위의 기능, 움직임 정도, 통증, 발적, 표피박리, 궤양, 괴사 발생에 대해 지속적인 관찰, 기록한다.
11) 필요시 피부과나 성형외과 전문의에게 의뢰한다.
소감 및 건의사항
젊은 나이에 부인과 질환인 난소암에 걸린 환자분을 모시고 초음파실을 다녀왔다. 배에 복수가 차서 힘들어 하시는 모습을 보고 마음이 언짢았다. 많이 쇠약해지셔서 너무 많이 마르시고 극진히 옆에서 간호하는 어머님을 보고 참 안
* 원인
1) 남성 요인
2) 난소 기능 저하
3) 배란 장애
4) 난관 손상, 결찰(매듭), 또는 난관주위 유착
5) 자궁경관 또는 면역학적 요인
6) 자궁인자
7) 면역학적 이상, 감염, 심한 전신적 질환
8) 원인 불명: 난관, 난관주위 유착을 동반하지 않는 자궁내막증 포함
* 치료
1. 배란장애 환자에서의 배란유도
배란유도란 배란이 안 되는 환자에서 수술 또는 약물 투여로 배란이 되도록 도와주는 것을 말하며, 과배란유도란 배란이 되는 환자에서 더 많은 난포를 얻어서 임신율을 올리기 위하여 주사용 과배란유도제를 투여하는 것을 말한다.
2. 인공수정
정자를 인공적으로 여성의 생식기 내로 주입해주는 것으로 자궁경관요인, 항정자항체 등의 면역학적 요인 및 남성요인으로서 무정자증, 희소정자증 등에 이용된다. 효과적인 정자의 농축을 위하여 다양한 과정의 정자 처리 과정을 거친다. 배우자 인공수정(artificial insemination of husband; AIH)은 정상 정액을 가진 남성이 성기능장애, 해부학적 결핍 등으로 정액을 질 내로 전달하지 못할 때 시행하며, 공여자 인공수정(artificial insemination of donor; AID)은 무정자증의 경우에 고환 내에서 정자를 얻을 수 없을 때 시행된다. 유전 질환이나 성병이 없고 피수정자와 신체 특징이 같은 정상 정액을 가진 남성이 제공자가 된다. 기술적인 방법으로는 자궁 내 인공수정(intrauterine insemination; IUI), 자궁경관 내 인공수정(intracervical insemination; ICI), 질 내 인공 수정(intravaginal insemination; IVI) 등이 있으나 현재는 자궁 내 인공수정이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시술 시기가 중요하며, 따라서 배란 시기를 정확히 예측하는 것이 임신율을 높이는 관건이다. 자연 배란 주기를 이용하는 경우는 드물며, 임신율을 높이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경구 또는 주사용 과배란유도제와 병용한다. 3개월 내에 50%, 6개월 내에 90%에서 임신이 된다.
3. 체외수정시술(IVF-ET)
난자를 채취하여 시험관 내에서 수정시키고 배아를 다시 자궁 내로 이식하는 방법이다. 체외수정시술의 적응증으로는 한쪽 혹은 양측성 난관폐쇄, 이전 수술로 인한 난관의 상실, 자궁경관 요인, 정자 감소증 등의 남성요인, 항정자항체 등의 면역학적 요인, 원인 불명의 불임, 그리고 자궁내막증, 중등도의 남성인자 불임 등이 있다. 체외수정시술을 시행할 때에는 임신율을 높이기 위해 다수의 난자를 얻어야 하는데 앞에서 설명하였던 배란유도제를 이용하여 과배란유도(controlled ovarian hyperstimulation; COH)를 시킨다. 과배란유도제의 종류는 배란 유도에서 설명하였던 것과 같으며, 특히 최근 성선자극호르몬분비호르몬 작용제의 도입으로 많은 수의 질 좋은 성숙 난자를 얻을 수 있도록 하여 체외 수정시술 시 임신율을 높이는 데 큰 공헌을 하였다.
체외수정시술은 성선자극호르몬분비호르몬 작용제(GnRH agonist) 성선자극호르몬 투여에 의한 과배란유도 후 난포의 크기가 17~18 mm 에 도달하면 난자의 최종 성숙을 유도하는 태반성 성선 자극 호르몬(r-hCG 5,000 IU)를 피하 주사하고, 36시간 후에 질식 초음파 유도하에 난포를 모두 체외로 흡인하여 난자를 얻는다. 이를 시험관내에서 미리 준비된 정자와 수정시켜 약 이틀간 배양 후 4~10 세포기 단계의 배아(embryo)를 다시 자궁 내로 이식한다. 이식하는 배아의 수는 각 시술 센터마다 상한선을 정해 놓고 있으며 영국의 경우에는 3개 이상은 이식하지 못하도록 법으로 규정하였다. 최근에는 5일간 배양한 후 포배기(blastocyst stage) 상태의 배아를 이식함으로써 임신율의 상승을 보고하고 있다. 수정률은 약 70~80%, 임신율은 약 25~30%, 아기를 집으로 데리고 올 수 있는 비율(take-home baby rate)은 15~20% 정도이다.
소감 및 건의사항
힘들게 인공수정으로 아이를 가진 산모가 유산을 해서 마음이 몹시 언짢았다. 분만실에서 분만이 진행되는데 아기가 우는 소리가 들리지 않아서 괜히 기분이 이상했다.
2010년 2월 3일 수요일 / Duty : Evening / ○○대학교병원 31병동
교과내용
▶ 일혈 발생시 중재방법 (Treatment of extravasation)
1) 일혈이 의심되거나 발생되면 즉시 항암제 주입을 중단한다.
2) IV Root는 제거하지 말고 그대로 둔다.
3) IV Root에 주사기를 연결하여 남아 있는 항암제와 혈액을 5-10cc 까지 흡인한다.
4) 만일 흡인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cannula를 통해 antidote를 주입하지 말고 cannula를 제거한다.
5) 일혈 부위를 올려주고 직접 압박하지 않도록 한다. 스테로이드 연고 도포 후 멸균dressing 한다.
6) 일혈된 주사 부위에 약제에 따라 antidote를 적용한다.
Doxorubicin, Mitomycin, Dactinomycin 일혈시 hydrocortisone과 DMSO(Dimephyl sulfoxide)를 사용한다.
7) 약제에 따라 냉 요법 또는 온 요법을 1회 30분씩 하루에 4~6회 반복하고 상태에 따라 24~48시간 동안 시행한다.
8) 일혈이 일어난 부위에 멸균 폐쇄 드레싱을 시행한다.
9) 간호기록에 일혈 시간, 바늘 등의 크기, 삽입 부위, 약물투여순서, 일혈된 약물의 양, 통증, 발적 등에 대해 기록하고 즉시 주치의에게 알린다.
10) 일혈 부위의 기능, 움직임 정도, 통증, 발적, 표피박리, 궤양, 괴사 발생에 대해 지속적인 관찰, 기록한다.
11) 필요시 피부과나 성형외과 전문의에게 의뢰한다.
소감 및 건의사항
젊은 나이에 부인과 질환인 난소암에 걸린 환자분을 모시고 초음파실을 다녀왔다. 배에 복수가 차서 힘들어 하시는 모습을 보고 마음이 언짢았다. 많이 쇠약해지셔서 너무 많이 마르시고 극진히 옆에서 간호하는 어머님을 보고 참 안
키워드
추천자료
자궁암의 원인과 증산 진단 및 치료
<간호실습레포트> OR - LAVH (복강경을 이용한 질식 자궁적출술)
수술장 case study - myoma uterine, TVH(문헌고찰 포함)
자궁절제술 정의, 치료 및 간호
모성케이스(자궁선근증)
LAVH(복강경하 질식 자궁적출술)
[모성간호] 자궁절제술(TAH,Histrectomy) case study
복식전자궁적출술(TAH)과 간호
질식자궁절제술 TVH
부인암 - 자궁경부암, 자궁내막암, 난소암, 질암
자궁육종 sarcoma of uterus &#8211; 자궁평활근육종 Ieiomyosarcoma of 케이스 스터디 C...
TAH (Total Abdominal Hysterectomy) 복식 전 자궁 절제술 (간호과정 포함)
[간호] 복식 자궁 적출술
간호실습) 부인과 자궁선근종부인과실습병원실습간호학과실습간호학과casestudy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