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중국 비즈니스 문화의 특징
(1) 중국인의 상관습
(2) 중국인의 예절문화
(3) 중국 비즈니스 문화
3. 중국 비즈니스 협상
(1) 중국인의 협상관행
(2) 중국 비즈니스 협상전략
(3) 비즈니스 분쟁 관련 유의사항
4. 결론
5. 참고문헌
2. 중국 비즈니스 문화의 특징
(1) 중국인의 상관습
(2) 중국인의 예절문화
(3) 중국 비즈니스 문화
3. 중국 비즈니스 협상
(1) 중국인의 협상관행
(2) 중국 비즈니스 협상전략
(3) 비즈니스 분쟁 관련 유의사항
4. 결론
5. 참고문헌
본문내용
나 오늘날의 글로벌 시장에서 외국과의 비즈니스에서는 그들의 문화, 작게는 비즈니스 문화에 대한 이해가 바탕이 되지 않는 한, 어떠한 협상전략이라도 적절한 협상전략이라고 할 수 없을 것이다.
2. 중국 비즈니스 문화의 특징
(1) 중국인의 상관습
- 중국인은 대체로 인간관계에 있어서 다정다감하기보다는 무뚝뚝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대인관계를 매우 중요시 여기기 때문에 한번 성립된 좋은 관계는 오래 지속된다.
- 중국인은 지인의 소개를 통한 대인관계의 확장을 매우 신뢰하기 때문에 소개받은 사람에 대해 매우 호의적이다. 이것을 달리 말해 중국 비즈니스 문화의 핵심요소인 ‘관시’라고 할 수 있다.
- 중국인은 환영회, 개인적인 연회, 공적인 연회, 송별회 등 실로 많은 연회가 열린다. 서갑성, 이성민, 김종득 공저,『중국 비즈니스 문화론』, 대진, 2010, 129p
이러한 연회에 참석 시 주인의 안내에 따라 따르는 것이 예의이다.
- 중국인은 ‘손님’을 중요시 여기기 때문에 환대의 일환으로 각종 초대가 많다. 또한 이러한 초대를 받아 방문 시에는 혼자 가는 것이 바람직하며 초대자가 모르는 사람과 동행하는 것은 삼가야 한다.
- 중국인에게 식사 초대는 최고의 호의이다. 때문에 초대를 받을 경우 거절보다는 정중히 받아들이는 것이 좋다.
- 중국인은 체면을 굉장히 중요시 여긴다. “그렇다”라고 대답하고 싶은 경우에도 체면상 “아니다”라고 답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때 내심 상대가 다시금 권유해 줄 것을 바라기도 한다. 때문에 대화 중 상대의 의중을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2) 중국인의 예절문화
# 차 예절
- 중국의 차 문화는 생활 깊숙이 자리 잡고 있기 때문에 마치 우리가 물을 마시는 것과 같이 생활의 일부라고 할 수 있다.
- 중국인과 차를 마실 때 특별히 주의할 점은 없으나, 상대의 잔이 비지 않도록 하는 것과 이야기의 화제 중 정치이야기는 꺼리는 것이 좋다.
# 식사예절
- 중국인들은 식사자리에서 손님에게 멀리 떨어진 자리를 권하며 많은 음식을 접대한다. 또한 중국인들은 우리와 달리 손님이 음식을 남기는 것을 자신이 음식을 충분히 준비한 것으로 간주하여 긍정적 의미를 갖기 때문에 음식을 조금 남기는 것이 좋다.
- 음식을 그만 먹을 때는 젓가락은 자신의 젓가락받침대에 놓는다.
# 담배 예절
- 중국에서의 담배는 단순히 담배의 역할을 넘어 대인관계를 좀 더 가깝게 해줄 수 있는 매개체의 역할을 한다.
- 처음 사람을 만날 때, 담배를 권하면 피우지 않더라도 응해주는 것이 상대방의 호의를 받아들인다는 의사표시이다. 서갑성, 이성민, 김종득 공저,『중국 비즈니스 문화론』, 대진, 2010, 85p
- 자신이 다른 사람에게 담배를 권할 때에는 중상급 이상의 담배를 권하는 것이 예의다.
# 음주 예절
- 중국에서의 술의 의미는 취하기 위해 먹는 것이 아닌, 상대방의 말을 끌어내고 입을 열게 하며, 생의 애환을 흥겨움 속에 삭이고자 하는 삶의 유용한 도구로서의 의미를 갖는다.
- 손님에게 술잔을 가득 채울 만큼 술을 따르는 것은 손님을 존경한다는 의미를 갖는다. 또한 상대가 술을 거절하는 행동은 상대를 존경하지 않는다는 의미를 가지기 때문에 될 수 있으면 거절하지 않는 것이 좋다.
(3) 중국 비즈니스 문화
- 중국 비즈니스 문화를 말할 때 ‘관시’는 절대 빠질 수 없는 중요한 내용이다. ‘관시’란 쉽게 말해 ‘인맥’으로, 사회의 법제도가 미비하고 광범위한 상태에서 제도를 운용하는 개개인의 권한이 큰 중국에서 ‘관시’는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이유로 중국에서는 ‘되는 일도 없고, 안 되는 일도 없다’라는 아이러니한 말이 있을 정도다. 이화수, 『
2. 중국 비즈니스 문화의 특징
(1) 중국인의 상관습
- 중국인은 대체로 인간관계에 있어서 다정다감하기보다는 무뚝뚝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대인관계를 매우 중요시 여기기 때문에 한번 성립된 좋은 관계는 오래 지속된다.
- 중국인은 지인의 소개를 통한 대인관계의 확장을 매우 신뢰하기 때문에 소개받은 사람에 대해 매우 호의적이다. 이것을 달리 말해 중국 비즈니스 문화의 핵심요소인 ‘관시’라고 할 수 있다.
- 중국인은 환영회, 개인적인 연회, 공적인 연회, 송별회 등 실로 많은 연회가 열린다. 서갑성, 이성민, 김종득 공저,『중국 비즈니스 문화론』, 대진, 2010, 129p
이러한 연회에 참석 시 주인의 안내에 따라 따르는 것이 예의이다.
- 중국인은 ‘손님’을 중요시 여기기 때문에 환대의 일환으로 각종 초대가 많다. 또한 이러한 초대를 받아 방문 시에는 혼자 가는 것이 바람직하며 초대자가 모르는 사람과 동행하는 것은 삼가야 한다.
- 중국인에게 식사 초대는 최고의 호의이다. 때문에 초대를 받을 경우 거절보다는 정중히 받아들이는 것이 좋다.
- 중국인은 체면을 굉장히 중요시 여긴다. “그렇다”라고 대답하고 싶은 경우에도 체면상 “아니다”라고 답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때 내심 상대가 다시금 권유해 줄 것을 바라기도 한다. 때문에 대화 중 상대의 의중을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2) 중국인의 예절문화
# 차 예절
- 중국의 차 문화는 생활 깊숙이 자리 잡고 있기 때문에 마치 우리가 물을 마시는 것과 같이 생활의 일부라고 할 수 있다.
- 중국인과 차를 마실 때 특별히 주의할 점은 없으나, 상대의 잔이 비지 않도록 하는 것과 이야기의 화제 중 정치이야기는 꺼리는 것이 좋다.
# 식사예절
- 중국인들은 식사자리에서 손님에게 멀리 떨어진 자리를 권하며 많은 음식을 접대한다. 또한 중국인들은 우리와 달리 손님이 음식을 남기는 것을 자신이 음식을 충분히 준비한 것으로 간주하여 긍정적 의미를 갖기 때문에 음식을 조금 남기는 것이 좋다.
- 음식을 그만 먹을 때는 젓가락은 자신의 젓가락받침대에 놓는다.
# 담배 예절
- 중국에서의 담배는 단순히 담배의 역할을 넘어 대인관계를 좀 더 가깝게 해줄 수 있는 매개체의 역할을 한다.
- 처음 사람을 만날 때, 담배를 권하면 피우지 않더라도 응해주는 것이 상대방의 호의를 받아들인다는 의사표시이다. 서갑성, 이성민, 김종득 공저,『중국 비즈니스 문화론』, 대진, 2010, 85p
- 자신이 다른 사람에게 담배를 권할 때에는 중상급 이상의 담배를 권하는 것이 예의다.
# 음주 예절
- 중국에서의 술의 의미는 취하기 위해 먹는 것이 아닌, 상대방의 말을 끌어내고 입을 열게 하며, 생의 애환을 흥겨움 속에 삭이고자 하는 삶의 유용한 도구로서의 의미를 갖는다.
- 손님에게 술잔을 가득 채울 만큼 술을 따르는 것은 손님을 존경한다는 의미를 갖는다. 또한 상대가 술을 거절하는 행동은 상대를 존경하지 않는다는 의미를 가지기 때문에 될 수 있으면 거절하지 않는 것이 좋다.
(3) 중국 비즈니스 문화
- 중국 비즈니스 문화를 말할 때 ‘관시’는 절대 빠질 수 없는 중요한 내용이다. ‘관시’란 쉽게 말해 ‘인맥’으로, 사회의 법제도가 미비하고 광범위한 상태에서 제도를 운용하는 개개인의 권한이 큰 중국에서 ‘관시’는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이유로 중국에서는 ‘되는 일도 없고, 안 되는 일도 없다’라는 아이러니한 말이 있을 정도다. 이화수,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