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전우치전』
1.1 전우치전 소개……………………………………………………(2)
1.2 전우치전을 활용한 문화콘텐츠 ………………………………(3)
1.3 전우치전의 활용방안 제시 ……………………………………(5)
2. 『장화홍련전』
2.1 장화홍련전 소개…………………………………………………(6)
2.2 장화홍련전을 활용한 문화콘텐츠 ……………………………(7)
2.3 장화홍련전의 활용방안 제시 …………………………………(9)
3. 참고문헌 및 사이트…………………………………………………(10)
1.1 전우치전 소개……………………………………………………(2)
1.2 전우치전을 활용한 문화콘텐츠 ………………………………(3)
1.3 전우치전의 활용방안 제시 ……………………………………(5)
2. 『장화홍련전』
2.1 장화홍련전 소개…………………………………………………(6)
2.2 장화홍련전을 활용한 문화콘텐츠 ……………………………(7)
2.3 장화홍련전의 활용방안 제시 …………………………………(9)
3. 참고문헌 및 사이트…………………………………………………(10)
본문내용
계 속에 도사린 결말을 예측할 수 없는 공포와 미스터리를 강조한다. 맥스무비[장화,홍련], (http://www.maxmovie.com/), 2011-11-25.
- 줄거리 : 수연, 수미 자매가 서울에서 오랜 요양을 마치고 돌아오던 날. 새엄마 은주는 눈에 띄게 아이들을 반기지만, 자매는 그녀를 꺼리는 기색이 역력하다. 함께 살게 된 첫날부터 집안에는 이상한 기운이 감돌고 가족들은 환영을 보거나 악몽에 시달린다. 수미는 죽은 엄마를 대신해 아버지 무현과 동생 수연을 손수 챙기려 들고, 생모를 똑 닮은 수연은 늘 겁에 질려 있다. 신경이 예민한 은주는 그런 두 자매와 번번이 다투게 되고, 아버지 무현은 그들의 불화를 그저 관망만 한다. 은주는 정서불안 증세를 보이며 집안을 공포 분위기로 몰아가고, 동생을 지키기 위해 안간힘을 쓰는 수미가 이에 맞서는 가운데, 집안 곳곳에서 괴이한 일들이 잇달아 벌어지기 시작한다. 그리고 작품 마지막에서 회고형식으로 설명해준다. 집에 아버지와 친엄마와 함께 두 자매가 있었는데, 아버지가 친엄마가 있었음에도 새엄마를 데리고 오고, 친엄마는 수연의 옷장에서 목매어 자살을 한다. 수연은 발견하고 울부짖다가 옷장에 깔려 죽는다. 그때 수미가 새엄마와 마주치고, 새엄마를 싫어하던 수미는 새엄마가 ‘너 지금 이 순간 후회할지 몰라 명심해’라고 말하지만, 수미는 그냥 집밖으로 나간다. 나중에 그 사실을 알게 된 수미는 죄책감과 큰 충격에 빠지고 정신병원에 입원하고 처음에 수미가 퇴원하여 집에 찾아갔을 때에는 이미 수연이 죽은 후이며 모두 수미의 상상이다. 새엄마는 같이 살고 있지 않고, 집에 있는 새엄마는 새엄마를 흉내 내는 수미이다. 따라서 수미의 정신병으로 인한 상상으로 끝을 맺는다.
※유사점 : 현대에 맞게 각색된 장화홍련전이다. 유사점은 두 자매의 비극적인 상황정도이고, 내용면에서는 많이 다르다.
2.2.3 안나와 알렉스 : 두자매 이야기 (2009)
- 원 제 : The Uninvited
- 감 독 : 토마스 가드 , 찰스 가드
- 주 연 : 에밀리 브라우닝(애나), 아리엘 케벨(알렉스), 엘리자베스 뱅크스(레이첼)
- 내용소개 : 김지운 감독의 <장화, 홍련>을 리메이크 한 할리우드 영화로서 영화 장화, 홍련과 완전히 다른 두 자매와 다른 이야기 스토리와 과격한 모습이 보이며, 철저하게 미국식으로 바꾼 영화이다. 맥스무비[The Uninvited], (http://www.maxmovie.com/), 2011-11-30.
- 줄거리 : 엄마가 화재로 죽고 난 뒤 병원에 입원했었던 애나가 집으로 돌아온다. 애나는 엄마의 전 간호사였던 레이첼과 아빠가 곧 결혼을 할 거라는 애기를 듣고는 착잡하기만 한데, 그런 그녀에게 이상한 것들이 보이기 시작한다. 그녀에게 위험을 경고하는 아이들의 유령은 바로 레이첼이 전에 일하던 집의 살해된 아이들이었다. 두 자매는 나중에 레이첼과 사투를 벌이다가 알렉스가 칼로 레이첼을 찔러죽이고 만다. 때마침 돌아온 아버지에게 알렉스는 정당방위였다고 애나는 말하지만, 유리에 비친 모습에서 한손에는 칼을 들고 피범벅 된 옷을 입고 있는 자기 자신의 모습을 보고 정신병원으로 되돌아간다. 원래이야기는 집에 아버지와 어머니의 간병인인 레이첼 두자매가 살고 있었고, 병에 걸려 아픈 친엄마는 별채에서 지내며 손목에 종을 달아, 그 종소리를 신호삼아 간병인과 딸들이 엄마돌보는 삶을 살고 있었다. 그러던 어느 날 애나의 실수로 엄마가 지내고 있던 별채에 불이 나게 되고 그 안에는 엄마의 종소리를 듣고 간 동생 알렉스가 같이 죽게 된다. 후에 정신병원에서 치료를 받던 애나가 집으로 돌아와 아버지에게 약혼녀인 레이첼은 엄마가 될 수 없다는 것을 확신시키기 위해 알렉스의 환상과 애를 쓰는 이야기이다.
※유사점 : 영화 장화, 홍련을 리메이크했지만, 철저하게 미국식으로 이야기를 바꾸어버렸다. 등장인물의 구성정도만 비슷할 뿐이다. 영화 장화, 홍련을 리메이크했다는 점만 알아두면 될 듯싶다. 너무 이야기가 선정적으로 가는 측면이 강하다.
2.3 장화홍련전의 활용방안
2.3.1 원작 장화홍련전의 기본 줄거리분석
※ 문화콘텐츠의 활용방안을 제시하기 전 고전소설 장화홍련전을 다시 분석해보았다.
① 강씨부인의 태몽
② 장화와 홍련의 출생
③ 강씨의 유언과 죽음
④ 계모의 학대 및 흉계
⑤ 장화가 낙태를 했다는 모함을 받음
⑥ 장화의 죽음과 장쇠의 부상
⑦ 홍련의 투신자살
⑧ 장화와 홍련의 원혼 관청 출현
⑨ 잇따른 부사의 죽음
⑩ 전부사의 자원부임
⑪ 전부사의 사건해결
⑫ 장화와 홍련의 감사
⑬ 윤씨를 맞아들임
⑭ 장화 자매 쌍녀로 환생
2.3.2 고전소설 장화홍련과 앞에 제시한 문예콘텐츠의 비교와 문제점.
고전 장화홍련은 귀신이 등장하는 초현실적인 측면과 권선징악의 진행방식으로 되는 단점이 있다. 그래서 2.2.1처럼 고전소설을 그대로 영화화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2.2.2와 2.2.3은 모티브만 차용해 완전히 재창조한 새로운 이야기이지만, 개인적으로 허무하다는 느낌이 든다. 두 작품 모두 현대적인 측면이 강하고, 고전소설과 직접적인 연관 측면이 적다.
2.3.3 각색방법의 제시
현대적인 측면으로 작품을 해석하지 않고 앞부분만 고전소설을 차용하되, 해피엔딩으로 전개하고자 한다. 예를 들면, 영화 <방자전>은 이몽룡보다 방자를 중심인물로 영화를 그려나간바 있다. 고전소설 장화와 홍련이 그대로 나오되, 계모에 대해 순종적인 장화와 홍련과 달리 당차고 스스로 부당한 계모의 대우에 맞서 나가는 두 자매의 이야기를 그려보는 것은 어떨까? 생각해보았다.
① 강씨부인의 태몽
② 장화와 홍련의 출생
③ 강씨의 유언과 죽음
④ 계모의 학대 및 흉계와 장화와 홍련자매의 기지.
⑤ 장화가 낙태를 했다는 모함을 받음
⑥ 장화의 가출과 전부사에게 도움을 줌.
⑦ 홍련에게 닥친 위기
⑧ 홍련이 먼저 계모에게 거짓으로 낙태했다고 말함.
⑨ 계모를 거짓말쟁이로 만듦.
⑩ 화가 난 계모가 아들 장쇠를 시켜 죽이려고 함.
⑪ 홍련의 위기상황에서 새로 부임한 전부사와 장화의 도움.
⑫ 장화와 전부사가 집으로 복귀하고 장쇠는 처벌을 받음.
⑬ 계모가 장화의 부정한 일로 다시 내
- 줄거리 : 수연, 수미 자매가 서울에서 오랜 요양을 마치고 돌아오던 날. 새엄마 은주는 눈에 띄게 아이들을 반기지만, 자매는 그녀를 꺼리는 기색이 역력하다. 함께 살게 된 첫날부터 집안에는 이상한 기운이 감돌고 가족들은 환영을 보거나 악몽에 시달린다. 수미는 죽은 엄마를 대신해 아버지 무현과 동생 수연을 손수 챙기려 들고, 생모를 똑 닮은 수연은 늘 겁에 질려 있다. 신경이 예민한 은주는 그런 두 자매와 번번이 다투게 되고, 아버지 무현은 그들의 불화를 그저 관망만 한다. 은주는 정서불안 증세를 보이며 집안을 공포 분위기로 몰아가고, 동생을 지키기 위해 안간힘을 쓰는 수미가 이에 맞서는 가운데, 집안 곳곳에서 괴이한 일들이 잇달아 벌어지기 시작한다. 그리고 작품 마지막에서 회고형식으로 설명해준다. 집에 아버지와 친엄마와 함께 두 자매가 있었는데, 아버지가 친엄마가 있었음에도 새엄마를 데리고 오고, 친엄마는 수연의 옷장에서 목매어 자살을 한다. 수연은 발견하고 울부짖다가 옷장에 깔려 죽는다. 그때 수미가 새엄마와 마주치고, 새엄마를 싫어하던 수미는 새엄마가 ‘너 지금 이 순간 후회할지 몰라 명심해’라고 말하지만, 수미는 그냥 집밖으로 나간다. 나중에 그 사실을 알게 된 수미는 죄책감과 큰 충격에 빠지고 정신병원에 입원하고 처음에 수미가 퇴원하여 집에 찾아갔을 때에는 이미 수연이 죽은 후이며 모두 수미의 상상이다. 새엄마는 같이 살고 있지 않고, 집에 있는 새엄마는 새엄마를 흉내 내는 수미이다. 따라서 수미의 정신병으로 인한 상상으로 끝을 맺는다.
※유사점 : 현대에 맞게 각색된 장화홍련전이다. 유사점은 두 자매의 비극적인 상황정도이고, 내용면에서는 많이 다르다.
2.2.3 안나와 알렉스 : 두자매 이야기 (2009)
- 원 제 : The Uninvited
- 감 독 : 토마스 가드 , 찰스 가드
- 주 연 : 에밀리 브라우닝(애나), 아리엘 케벨(알렉스), 엘리자베스 뱅크스(레이첼)
- 내용소개 : 김지운 감독의 <장화, 홍련>을 리메이크 한 할리우드 영화로서 영화 장화, 홍련과 완전히 다른 두 자매와 다른 이야기 스토리와 과격한 모습이 보이며, 철저하게 미국식으로 바꾼 영화이다. 맥스무비[The Uninvited], (http://www.maxmovie.com/), 2011-11-30.
- 줄거리 : 엄마가 화재로 죽고 난 뒤 병원에 입원했었던 애나가 집으로 돌아온다. 애나는 엄마의 전 간호사였던 레이첼과 아빠가 곧 결혼을 할 거라는 애기를 듣고는 착잡하기만 한데, 그런 그녀에게 이상한 것들이 보이기 시작한다. 그녀에게 위험을 경고하는 아이들의 유령은 바로 레이첼이 전에 일하던 집의 살해된 아이들이었다. 두 자매는 나중에 레이첼과 사투를 벌이다가 알렉스가 칼로 레이첼을 찔러죽이고 만다. 때마침 돌아온 아버지에게 알렉스는 정당방위였다고 애나는 말하지만, 유리에 비친 모습에서 한손에는 칼을 들고 피범벅 된 옷을 입고 있는 자기 자신의 모습을 보고 정신병원으로 되돌아간다. 원래이야기는 집에 아버지와 어머니의 간병인인 레이첼 두자매가 살고 있었고, 병에 걸려 아픈 친엄마는 별채에서 지내며 손목에 종을 달아, 그 종소리를 신호삼아 간병인과 딸들이 엄마돌보는 삶을 살고 있었다. 그러던 어느 날 애나의 실수로 엄마가 지내고 있던 별채에 불이 나게 되고 그 안에는 엄마의 종소리를 듣고 간 동생 알렉스가 같이 죽게 된다. 후에 정신병원에서 치료를 받던 애나가 집으로 돌아와 아버지에게 약혼녀인 레이첼은 엄마가 될 수 없다는 것을 확신시키기 위해 알렉스의 환상과 애를 쓰는 이야기이다.
※유사점 : 영화 장화, 홍련을 리메이크했지만, 철저하게 미국식으로 이야기를 바꾸어버렸다. 등장인물의 구성정도만 비슷할 뿐이다. 영화 장화, 홍련을 리메이크했다는 점만 알아두면 될 듯싶다. 너무 이야기가 선정적으로 가는 측면이 강하다.
2.3 장화홍련전의 활용방안
2.3.1 원작 장화홍련전의 기본 줄거리분석
※ 문화콘텐츠의 활용방안을 제시하기 전 고전소설 장화홍련전을 다시 분석해보았다.
① 강씨부인의 태몽
② 장화와 홍련의 출생
③ 강씨의 유언과 죽음
④ 계모의 학대 및 흉계
⑤ 장화가 낙태를 했다는 모함을 받음
⑥ 장화의 죽음과 장쇠의 부상
⑦ 홍련의 투신자살
⑧ 장화와 홍련의 원혼 관청 출현
⑨ 잇따른 부사의 죽음
⑩ 전부사의 자원부임
⑪ 전부사의 사건해결
⑫ 장화와 홍련의 감사
⑬ 윤씨를 맞아들임
⑭ 장화 자매 쌍녀로 환생
2.3.2 고전소설 장화홍련과 앞에 제시한 문예콘텐츠의 비교와 문제점.
고전 장화홍련은 귀신이 등장하는 초현실적인 측면과 권선징악의 진행방식으로 되는 단점이 있다. 그래서 2.2.1처럼 고전소설을 그대로 영화화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2.2.2와 2.2.3은 모티브만 차용해 완전히 재창조한 새로운 이야기이지만, 개인적으로 허무하다는 느낌이 든다. 두 작품 모두 현대적인 측면이 강하고, 고전소설과 직접적인 연관 측면이 적다.
2.3.3 각색방법의 제시
현대적인 측면으로 작품을 해석하지 않고 앞부분만 고전소설을 차용하되, 해피엔딩으로 전개하고자 한다. 예를 들면, 영화 <방자전>은 이몽룡보다 방자를 중심인물로 영화를 그려나간바 있다. 고전소설 장화와 홍련이 그대로 나오되, 계모에 대해 순종적인 장화와 홍련과 달리 당차고 스스로 부당한 계모의 대우에 맞서 나가는 두 자매의 이야기를 그려보는 것은 어떨까? 생각해보았다.
① 강씨부인의 태몽
② 장화와 홍련의 출생
③ 강씨의 유언과 죽음
④ 계모의 학대 및 흉계와 장화와 홍련자매의 기지.
⑤ 장화가 낙태를 했다는 모함을 받음
⑥ 장화의 가출과 전부사에게 도움을 줌.
⑦ 홍련에게 닥친 위기
⑧ 홍련이 먼저 계모에게 거짓으로 낙태했다고 말함.
⑨ 계모를 거짓말쟁이로 만듦.
⑩ 화가 난 계모가 아들 장쇠를 시켜 죽이려고 함.
⑪ 홍련의 위기상황에서 새로 부임한 전부사와 장화의 도움.
⑫ 장화와 전부사가 집으로 복귀하고 장쇠는 처벌을 받음.
⑬ 계모가 장화의 부정한 일로 다시 내
키워드
추천자료
여성인력활용의 선진화 방안
게임 콘텐츠로 활용되는 우리 설화
한류열풍의 분석과 활용 방안
월드컵 경기장 사후 활용 방안 계획과 현 상황
[교육방송][EBS][교육방송(EBS) 프로그램]교육방송(EBS)의 교육적 의의, 목표, 교육방송(EBS)...
자기주도적학습의 개념과 중요성, 자기주도적학습의 원칙과 단계, 자기주도적학습과 창의적재...
영화를 통한 다문화교육의 의의 및 필요성과 영화텍스트의 다문화교육 활용에 있어서 유의점
미디어교육의 개념과 목적, 미디어교육의 필요성, 미디어교육과 디지털시대, 미디어교육과 미...
한국 현대소설을 활용한 다문화교육의 예) 우리나라 다문화가정 자녀와 이주노동자 가정 현실...
유휴공간을 활용한 문화 창출
[예화자료]예화자료 사례1(환경보호), 사례2(절약), 예화자료 사례3(집단따돌림예방교육, 왕...
[IT][정보기술][정보기술 창조적 활용]IT(정보기술)의 개념, IT(정보기술)의 기술혁신, IT(정...
[지역사회복지론] 자신이 지역사회복지관에 근무하는 후원업무를 담당하는 사회복지사라고 가...
커뮤니케이션 (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 정형화된 제도 마련. 비공식 네트워크 활용. 적절한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