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북한 무인기 논란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이슈] 북한 무인기 논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previous Knowledge

2. Situation

3. Definition

4. Problem Analysis

5. Outlook

본문내용

[이슈] 북한 무인기 논란
[Previous Knowledge]
1. 북한의 무인기
1] 무인기 개요
ㄱ. 무인기는 1980년대 이스라엘에서 처음 실전 투입된 이래 최근에 수행된 대부분의 전쟁에서 정찰•감시, 정보수집, 국지공격 등 다양한 임무분야에 사용됐음
ㄴ. 전문가들은 가까운 미래 현재 유인기가 수행하는 대부분의 역할을 대신하는 핵심 무기체계로 부상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음
ㄷ. 무인기는 사용 목적에 따라 크게 세 가지로 분류
① 시험표적용 : 각종 무기의 시험 및 운용
② 정찰용 : 적의 상황을 감시하거나 정찰 등 정보수집용
③ 공격용 및 기만용 : 적을 직접 타격하거나 증폭장치를 통해 적 레이더 상에 전투기로 허위 인식되도록 하는 기만용
2] 북한, 1990년대 부터 꾸준히 개발
ㄱ. 북한은 군사정찰위성이 없다는 약점을 극복하기 위해 1990년대부터 무인기를 공격정찰용으로 꾸준히 개발
ㄴ. 1993년부터 연간 약 35대의 대공 표적용 무인기를 생산하고 있으며
ㄷ. 우리 정보당국은 2005년 입수한 북한의 전시사업세칙(전시계획)에 무인기 운용계획이 포함된 것으로 확인되기도 했음
ㄹ. 김정일 사망 직후인 2012년 1월 김정은 역시 직접 무인항공기 시범을 참관하고 지난해 3월은 직접 무인기훈련을 지도한 바 있고
ㅁ. 2013년 5월 대남 선전 매체인 우리민족끼리는 무인기 이용해 청와대를 공격할수 있다고 위협도 하는 등 꾸준히 무인기를 개발해오고 있음
4] 320여대 무인기 보유 추정
ㄱ. 현재 북한은 5~6종, 320여대의 무인기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됨
5] 북한의 주요 무인기
① 방현-I•II
- 대공 표적 및 정찰용 무인기
- 중국 무인기 D-4를 도입해 개조
- 길이 3.23m, 고도 3㎞, 최대 시속 162㎞, 작전반경은 50km
- 유사시 유사시 20∼25㎏의 폭약도 장착 가능
- 가솔린 엔진으로 낙하산을 펼쳐 지상에 착륙하는 방식

② VR-3레이
- 정찰용 무인기
- VR-3 레이는 1990년대 말 중동국가로부터 도입
- 길이

추천자료

  • 가격20,000
  • 페이지수24페이지
  • 등록일2014.04.22
  • 저작시기2014.4
  • 파일형식기타(docx)
  • 자료번호#91478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