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스피스 문제점 및 해결방안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호스피스 문제점 및 해결방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문헌고찰
1) 호스피스란?
2) 호스피스의 목적
3) 호스피스의 역사
4) 호스피스와 삶의 질
5) 호스피스와 죽음

Ⅲ. 호스피스 현황
1) 한국의 호스피스 현황
2) 현재 제공되는 호스피스 서비스 유형 및 내용
-호스피스 기관의 운영 형태
- 호스피스 서비스 제공 형태

Ⅳ. 기관소개

IIV. 호스피스의 문제점 및 해결방안

V. 결론

VI. 나의 견해 및 소감

VII. 참고 문헌

본문내용

의나 들으며 두 번의 프로젝트를 통해 논문을 쓰는 훈련을 하게 되었다. 처음에는 기말고사를 보지 않는다는 것에 좋아했었지만, 프로젝트를 하면서는 두 개의 프로젝트와 기말고사를 모두 감당하기가 쉽지 않다, 어렵다 하는 생각이 들었다. 하지만 지금 기말고사도 한 과목의 시험을 앞두고, 마지막 프로젝트의 소감문을 작성하고 있는 지금은 또 생각이 바뀌었다. 비록 힘들긴 했지만 확실히 이렇게 두 번을 하고 나니 배우는 것도 많고, 논문도 많이 보게 된 것 역시 좋은 기회였다는 생각이 든다. 앞으로 나는 어떤 사회복지사가 될 것인가에 대해서도 생각하게 되었다. 도움이 많이 되었다고 생각하고, 남은 대학생활 2년의 방향성도 잡을 수 있게 된 것 같아서 좋다고 느끼고 있다.
[팽채옥]
말기 암에 걸린 친구의 할머니 힘든 투병의 이야기를 듣고 마음이 너무 아팠다. 병원에 계신 할머니에게 도움이 주고 싶은데 할 수 있는 거 하나도 없어서 나도 호스피스사역을 해야겠다는 생각을 가지게 되었다. 말로만은 쉬운데 종종 이유로 실천에 그렇게 쉬지 않은 것이다. 이번에 교수님이 저에게 호스피스관련 발표주제를 주셔서 너무 감사하다. 왜냐하면 내가 그 것을 대해 알고 싶어서 제대로 못 하고 있는 일에 대해 제대로 할 수 있는 기회를 주시기 때문이다. 발표를 준비하는 중에 병원에 계신 할머니 돌아가신다는 소식을 듣게 되어서 죽음이라는 부분에 대해 깊이 생각해봤다. 처음에는 죽으면 삶을 끝난 것이다 호스피스 바로 죽음이다 계속 연관시켜 나름대로 생각해봤다. 새로운 태어남이 있는 게처럼 죽음도 있다. 죽음은 우리의 삶을 속에 피할 수 없는 부분이다. 타고르의 시중에서 이렇게 말을 하고 있다. 많은 사람들이 죽음은 사랑하는 사람을 우리로부터 무자비하게 격리시킨다고 생각한다. 믿음이 돈독한 사람들까지도 이렇게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사랑하는 사람이 죽으면 그가 우리를 떠나는 것이 아닙니다. 그들은 우리와 함께 있단다. 그들이 어떤 어둡고 먼 곳으로 가는 것이 아니다. 그들은 단지 영원한 세계를 시작하는 것이다. 우리는 아직도 이 어두운 세상 속에 있으므로 그들을 볼 수 없는 것이다. 그러나 하늘의 빛으로 가득한 그들의 영적인 눈이 항상 우리를 지켜보고 있으며 그들의 완전한 기쁨을 같이 나눌 수 있는 날을 기다리고 있다. 우리는 모두 하늘나라를 위해 태어났다. 우리는 한 사람씩이 눈물의 인생을 끝내고 영원한 행복이 있는 사랑의 세계를 시작하는 것이다. 이 시에서 말하는 것처럼 호스피스라는 것은 죽음까지 섬기는 것이 아니라 죽음 이후의 삶, 영원한 삶을 살 수 있도록 소망을 주는 것을 기관방문을 통해 알게 되었다.
우리나라에는 아직까지 지역사회 여건에 알맞은 다양한 호스피스 모델이 확립되어 있지 못한 실정이지만 시법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사업을 통해 우리나라 실정에 알맞은 호스피스 모델을 개발할 수 있는 계기가 되지 않나 라는 생각이다. 호스피스 사역은 병원 가족 사회에서 소외되어 여러 가지 고통에 처해 있는 말기 환자들 뿐만 아니라 그의 가족에게 다가가 그들의 외로움과 아픔을 싸매주며 인가의 기본적인 욕구를 충족시켜 주기 위해 애쓰는 사랑의 운동이다. 앞으로 우리나라에서도 생명을 소중히 여기도 절망적인 죽음 앞에서 고통당하는 이웃을 도와주며 더불어 살아가는 아름다운 사회를 만들어가는 데 이바지하는 사라의 호스피스 활동이 활발히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VII. 참고문헌
김시영(2008), "호스피스 완화의료",『 J Korean Med Assoc 51 (2008)』, pp. 505-506.
강화정 ,김분한 ,전미영(1997), “호스피스 요원의 죽음의식에 대한 연구”, 『성인간호학회지』, pp. 453-461.
노유자 ,김남초 ,이선미(1996), “한국 호스피스의 현황과 전망에 관한 연구”, 『호스피스논집』, pp. 5-17.
박광덕(1995), “호스피스 자원봉사자 활용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박금자(2006),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자원봉사활동 만족도와 삶의 의미”, 『종양간호학회지』, pp. 104-110.
박영희(2004), “한국 불교호스피스의 현황과 과제”, 『淨土學硏究』, pp 335-358.
손선영(2007), “호스피스 완화간호와 삶의 질“ , 『간호학탐구』, pp. 121-134.
윤성(2010), “호스피스 삶의 마지막을 함께하는 도반”, 『석림』, pp. 98-111.
윤영호(2009), "바람직한 임종을 위한 호스피스-완화의료 및 사회적 대책", 『 J Korean Med Assoc 52 (2009)』880-885
한국 호스피스협회(2012).
한영란김인홍(2008), "말기 암 환자의 삶의 질과 주 돌봄자의 보담관에 관한 보건소 호스피스 사업의 효과", 『농촌의학지역보건』, pp. 59-70.
혜도, 1997, "사회문제로서의 죽음과 호스피스에 대해", 『僧伽』, 292-306
혜도(2000), “한국 호스피스 프로그램과 운영현황에 대한 고찰”, 『석림』, pp. 99-123.
홍영선(2008), "한국 호스피스의 과거, 현재, 미래" 『 J Korean Med Assoc 51 (2008)』509-516
Miller SC(2003), “Hospice enrollment and pain assessment and management in nursing homes.“.
Calor(2008), "Positive aspects of the caregiving experience in hospice", falseSpence.
Jessica F.(2010), "A study of public knowledge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Madonnia University.
SR Connor(2009), "U.S. hospice benefits.", Hospice and Palliative Care Organization.
R Hunt(1998), "Coverage of cancer patients by hospice services, South Australia, 1990 to 1993", Community Hospice Programme
  • 가격2,5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14.04.30
  • 저작시기2014.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1587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