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독일 프랑크푸르트
2. 이탈리아 밀라노
3. 네덜란드 로테르담
4. 프랑스 리옹
5. 프랑스 파리
6. 영국 글래스고
2. 이탈리아 밀라노
3. 네덜란드 로테르담
4. 프랑스 리옹
5. 프랑스 파리
6. 영국 글래스고
본문내용
150실 등)
관광산업의 일자리 창출 노력
- 평생교육을 통한 관광산업 종사자 육성 및 지원 (2000년 현재 28,400명→2007년 9% 증가)
- 관광업.숙박업을 첫 번째 직장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동기부여
- 실업자 관광 및 여가산업 부문에 흡수할 수 있도록 관련 산업과의 협력
세계일류 서비스를 목표로 하는 관광종사자 육성
- 교육 관광.산업간 협력체제 추진
- 주요 무역단체와의 협력을 통한 관광서비스 개선
민간과 관광산업부문간의 협력관계 개선
- 다방면의 협력관계 개발 전략 및 실천계획 수립 전파
- 연구개발을 통한 관광 비즈니스 지원 및 새로운 기회 창출
- 수범사례 발굴 및 전파
글래스고의 이미지와 브랜드 홍보 및 마케팅 강화
- 글래스고 마케팅 캠페인 개발
- 세계 주요 도시에서 글래스고로 오는 새로운 항공서비스 개발 지원
5) 도시 로고의 제정 및 새로운 도시 랜드마크 건립(6)
시는 도시의 로고를 정하여 글래스고의 새로운 이미지를 창출하고자 하였다. 1990년 대 1차 관광개발계획 추진 때부터 ‘Glasgow's Miles Better’라는 브랜드로 도시를 홍보하였고 대표적 문화 이벤트를 통하여 글래스고의 도시정체성(Identity)를 심화시키려고 노력하였다. 2004년 3월부터는 1억8천3만 파운드의 예산으로 ‘품격있는 글래스고(Glasgow :Scotland with style)’를 도시 슬로건으로 정하고 그에 맞는 로고를 제작하여 글래스고의 이미지를 세계에 홍보하고 있다.
그 결과 181,000명의 관광객의 증가, 21백만 파운드의 지역경제 유발효과를 창출하는 등 관광산업에 긍정적으로 작용하였다는 평가를 받았다. 한편 산업혁명의 중심지로서 글래스고가 융성하였던 시절, 중공업의 중심지였고 많은 선박들이 드나들었던 클라이드강 유역에는 21세기 글래스고의 랜드마크가 계속 들어서고 있다.
강가의 창고와 조선소가 있던 자리는 공원과 정원이 있는 아름다운 주거공간으로 바뀌었고, Norman Foster가 디자인한 스코틀랜드 전시회의 센터(SECC), 자하 하디드(Zaha Hadid)의 교통박물관 등을 비롯한 많은 현대식 건물이 세워졌다. 특색 있는 디자인과 함께 특색 있는 디자인과 함께 IMAX영화관, 최신식 천문관, 가상체험관 등 최신시설이 갖추어진 것으로 유명한 ‘글래스고 과학 센터’와 360도 회전하는 127m의 글래스고 타워는 명소가 되어 2001년 7월 개관 이후 매년 많은 관광객을 끌어들이고 있다. 대서양 만에는 BBC와 Scottish TV가 운영하는 디지털미디어본부(Digital Media Campus)가 세워졌고, 클라이드 강을 가로지르는 여러 개의 다리가 새로 건설되거나 건설 계획 중에 있다.
또한 하구를 개발하는 글래스고 항만 정비 공사를 추진하고 있다. 이 공사는 스코틀랜드 전시 및 회의 센터(SECC)와 클라이드 터널 사이에 있는 130 에이커의 미개발지구를 정비하는 사업이다. 2009년 완공을 목표로 2만 명 인구가 일하고 생활하고 여가를 즐길 수 있는 주택가, 상업지구, 비즈니스구역, 위락지구 등을 건설하는 대공사로서 도시쇠퇴와 함께 황폐해졌던 클라이드 강을 재탄생시키기 위한 시의 종합개발계획이다. 민자와 유럽연합의 지원 등 10억 파운드 예산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 계획에서 주거 및 상업지구 건설로 2,500가구의 주택이 6단계로 나뉘어 건립될 예정으로 1차로 2003년 651개 가구가 분양되었다. 상업지구로는 93천㎡ 대지에 소매, 레저시설이 들어설 예정이다.
또한 강변 산책로를 조성하고자 하였는데 시내에서 강으로 연결하는 통로로서 1차로 2004년 말 450m의 접근로가 개설되었다. 4백만 개의 돌로 산책로를 만든 것은 친환경적인 측면을 고려한 것 외에도 과거 빅토리아 시대의 영광을 미래에 재현하자는 상징적 의미도 있다고 한다.
글래스고는 마케팅 전략의 가장 유명한 사례로 ‘ Glasgow's Mills Better'라는 캠페인을 통해 시작되었다. 특정 유형의 시장, 관광, 서비스 산업을 겨냥하였고, 도시경제를 촉진하는 수단으로서 상징적 이벤트와 (예를 들어 이벤트 1990) 예술에 대한 관심을 보였다. 즉 예술의 경제적 중요성을 산술적으로 계산하여 문화 관광 산업을 집중적으로 육성, 서비스 업계의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였다.
또한 유럽 문화도시 선정과 맞물려 도시를 문화적으로 변모, 각종 축제와 이벤트로 관리하고유치하여 글래스고 중심 산업을 문화·예술 산업으로 전환하였다. 한편 외부적 도시이미지의 개선과 더불어, 지역주민의 애향심을 부추기는 내부적 소비에도 적극적인 고려를 하였다. 이러한 캠페인과 더불어 중심지역의 강화와 공항 등의 도시하부구조 개선에 초점을 둔 개발전략을 결합시킴으로서 마케팅 전략을 극대화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그러나 도시 마케팅을 지나치게 강조하여 문화를 경제적 수단으로만 이용하였을 뿐 뚜렷한 문화적 통합 정책은 없기 때문에 장기적인 비전이 없는 단기적 성공으로 끝날 가능성 도 있다. 따라서 1990년의 성과물을 장기적으로 이용하여 지속적으로 도시가 발전하기 위해서는 정치적 정책이 뒷받침 되어야 할 것이다.
글래스고의 성공요인은 지역의 현안문제를 정확히 파악하고 이에 대한 적절한 정책방향의 설정에 있었다고 보여진다. 또한 외곽지역의 신도시개발을 통해 지역의 경제 사회적 문제들의 일시적인 해결에 치중하기 보다는 여러 어려움이 따르는 도시 중심부의 재생을 선택함으로서 결과적으로 도시의 지속가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또한 과거 성장을 거듭했던 시기에 건축된 여러 건축물들을 재활용하여 지역의 역사성과 정체성을 보존하는 방향으로 도시재생을 추진함으로서 문화도시 전략에 성공적으로 기여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문화도시 전략을 추진함에 있어 다양한 조직들을 운영하였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즉 민관협력 체제를 바탕으로 하는 비영리단체의 활성화를 도모하는 동시에 이러한 단체에게 독립적인 역할을 부여하여 자율과 책임을 바탕으로 정책을 수행할 수 있게 함으로써 지속적인 도시개발을 이룰 수 있도록 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글래스고 광장>
<글래스고 대학>
관광산업의 일자리 창출 노력
- 평생교육을 통한 관광산업 종사자 육성 및 지원 (2000년 현재 28,400명→2007년 9% 증가)
- 관광업.숙박업을 첫 번째 직장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동기부여
- 실업자 관광 및 여가산업 부문에 흡수할 수 있도록 관련 산업과의 협력
세계일류 서비스를 목표로 하는 관광종사자 육성
- 교육 관광.산업간 협력체제 추진
- 주요 무역단체와의 협력을 통한 관광서비스 개선
민간과 관광산업부문간의 협력관계 개선
- 다방면의 협력관계 개발 전략 및 실천계획 수립 전파
- 연구개발을 통한 관광 비즈니스 지원 및 새로운 기회 창출
- 수범사례 발굴 및 전파
글래스고의 이미지와 브랜드 홍보 및 마케팅 강화
- 글래스고 마케팅 캠페인 개발
- 세계 주요 도시에서 글래스고로 오는 새로운 항공서비스 개발 지원
5) 도시 로고의 제정 및 새로운 도시 랜드마크 건립(6)
시는 도시의 로고를 정하여 글래스고의 새로운 이미지를 창출하고자 하였다. 1990년 대 1차 관광개발계획 추진 때부터 ‘Glasgow's Miles Better’라는 브랜드로 도시를 홍보하였고 대표적 문화 이벤트를 통하여 글래스고의 도시정체성(Identity)를 심화시키려고 노력하였다. 2004년 3월부터는 1억8천3만 파운드의 예산으로 ‘품격있는 글래스고(Glasgow :Scotland with style)’를 도시 슬로건으로 정하고 그에 맞는 로고를 제작하여 글래스고의 이미지를 세계에 홍보하고 있다.
그 결과 181,000명의 관광객의 증가, 21백만 파운드의 지역경제 유발효과를 창출하는 등 관광산업에 긍정적으로 작용하였다는 평가를 받았다. 한편 산업혁명의 중심지로서 글래스고가 융성하였던 시절, 중공업의 중심지였고 많은 선박들이 드나들었던 클라이드강 유역에는 21세기 글래스고의 랜드마크가 계속 들어서고 있다.
강가의 창고와 조선소가 있던 자리는 공원과 정원이 있는 아름다운 주거공간으로 바뀌었고, Norman Foster가 디자인한 스코틀랜드 전시회의 센터(SECC), 자하 하디드(Zaha Hadid)의 교통박물관 등을 비롯한 많은 현대식 건물이 세워졌다. 특색 있는 디자인과 함께 특색 있는 디자인과 함께 IMAX영화관, 최신식 천문관, 가상체험관 등 최신시설이 갖추어진 것으로 유명한 ‘글래스고 과학 센터’와 360도 회전하는 127m의 글래스고 타워는 명소가 되어 2001년 7월 개관 이후 매년 많은 관광객을 끌어들이고 있다. 대서양 만에는 BBC와 Scottish TV가 운영하는 디지털미디어본부(Digital Media Campus)가 세워졌고, 클라이드 강을 가로지르는 여러 개의 다리가 새로 건설되거나 건설 계획 중에 있다.
또한 하구를 개발하는 글래스고 항만 정비 공사를 추진하고 있다. 이 공사는 스코틀랜드 전시 및 회의 센터(SECC)와 클라이드 터널 사이에 있는 130 에이커의 미개발지구를 정비하는 사업이다. 2009년 완공을 목표로 2만 명 인구가 일하고 생활하고 여가를 즐길 수 있는 주택가, 상업지구, 비즈니스구역, 위락지구 등을 건설하는 대공사로서 도시쇠퇴와 함께 황폐해졌던 클라이드 강을 재탄생시키기 위한 시의 종합개발계획이다. 민자와 유럽연합의 지원 등 10억 파운드 예산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 계획에서 주거 및 상업지구 건설로 2,500가구의 주택이 6단계로 나뉘어 건립될 예정으로 1차로 2003년 651개 가구가 분양되었다. 상업지구로는 93천㎡ 대지에 소매, 레저시설이 들어설 예정이다.
또한 강변 산책로를 조성하고자 하였는데 시내에서 강으로 연결하는 통로로서 1차로 2004년 말 450m의 접근로가 개설되었다. 4백만 개의 돌로 산책로를 만든 것은 친환경적인 측면을 고려한 것 외에도 과거 빅토리아 시대의 영광을 미래에 재현하자는 상징적 의미도 있다고 한다.
글래스고는 마케팅 전략의 가장 유명한 사례로 ‘ Glasgow's Mills Better'라는 캠페인을 통해 시작되었다. 특정 유형의 시장, 관광, 서비스 산업을 겨냥하였고, 도시경제를 촉진하는 수단으로서 상징적 이벤트와 (예를 들어 이벤트 1990) 예술에 대한 관심을 보였다. 즉 예술의 경제적 중요성을 산술적으로 계산하여 문화 관광 산업을 집중적으로 육성, 서비스 업계의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였다.
또한 유럽 문화도시 선정과 맞물려 도시를 문화적으로 변모, 각종 축제와 이벤트로 관리하고유치하여 글래스고 중심 산업을 문화·예술 산업으로 전환하였다. 한편 외부적 도시이미지의 개선과 더불어, 지역주민의 애향심을 부추기는 내부적 소비에도 적극적인 고려를 하였다. 이러한 캠페인과 더불어 중심지역의 강화와 공항 등의 도시하부구조 개선에 초점을 둔 개발전략을 결합시킴으로서 마케팅 전략을 극대화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그러나 도시 마케팅을 지나치게 강조하여 문화를 경제적 수단으로만 이용하였을 뿐 뚜렷한 문화적 통합 정책은 없기 때문에 장기적인 비전이 없는 단기적 성공으로 끝날 가능성 도 있다. 따라서 1990년의 성과물을 장기적으로 이용하여 지속적으로 도시가 발전하기 위해서는 정치적 정책이 뒷받침 되어야 할 것이다.
글래스고의 성공요인은 지역의 현안문제를 정확히 파악하고 이에 대한 적절한 정책방향의 설정에 있었다고 보여진다. 또한 외곽지역의 신도시개발을 통해 지역의 경제 사회적 문제들의 일시적인 해결에 치중하기 보다는 여러 어려움이 따르는 도시 중심부의 재생을 선택함으로서 결과적으로 도시의 지속가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또한 과거 성장을 거듭했던 시기에 건축된 여러 건축물들을 재활용하여 지역의 역사성과 정체성을 보존하는 방향으로 도시재생을 추진함으로서 문화도시 전략에 성공적으로 기여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문화도시 전략을 추진함에 있어 다양한 조직들을 운영하였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즉 민관협력 체제를 바탕으로 하는 비영리단체의 활성화를 도모하는 동시에 이러한 단체에게 독립적인 역할을 부여하여 자율과 책임을 바탕으로 정책을 수행할 수 있게 함으로써 지속적인 도시개발을 이룰 수 있도록 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글래스고 광장>
<글래스고 대학>
추천자료
[마케팅] 화장품 아모레퍼시픽(태평양) 롤리카 렘피카 - 해외진출성공사례
[대안학교][대안교육]대안학교와 대안교육의 개념 이해, 대안학교(대안교육)의 해외사례 및 ...
한식 세계화를 위한 전략,한식세계화 현상황,문제점,한식해외진출성공사례,한식SWOT분석,앞으...
SSM(기업형슈퍼마켓)규제논란 찬성,반대입장분석및 해외사례분석
일자리확충을 위한 정부의 일자리 정책 분석, 일자리 확충 해외사례, 나의 의견
[국내 도매업의 현황과 발전방향] 도매업의 발전방향 - 국내 도매업을 중심으로 (국내 도매업...
[ 독거노인 문제점과 해결방안 ] 독거노인의 개념,원인,관련정책분석과 독거노인 해외사례분...
안락사 개념,유형,찬성반대입장 분석및 안락사 해외사례와 국내판례분석과 안락사에 대한 나...
[비정규직 발표 PPT] 비정규직 개념,원인분석과 국내,해외사례분석및 비정규직 찬반논의와 해...
외국인노동자(이주노동자) 개념,분류,영향과 외국인노동자 국내 정책분석및 해외정책사례와 ...
[안락사 연구] 안락사 정의,종류와 찬반의견정리및 안락사 국내,해외사례연구와 안락사 대안...
[평생교육 활성화방안] 평생교육 정의,발전과정,필요성연구및 평생교육 주요내용과 정책분석...
저출산 개념,원인,문제점분석/ 저출산 국내,해외정책사례분석/ 저출산문제 해결방안제언과 느...
4차 산업혁명의 개요와 문제점 및 대응방안(우리나라와 해외사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