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주차…………………………………………………………………………01p
◇ 스마트한 학습으로의 여행 개요
◇ IT발달과 미래 생활
◇◇ 정리 ◇◇
2주차…………………………………………………………………………03p
□ 디지털 시대 교수자의 역할
□ 디지털 시대 학습자의 역할
□ 디지털 학습을 위한 성공적인 학습전략 & 학습관리 전략
▪▪▪ 정리 ▪▪▪
3주차…………………………………………………………………………09p
◇◇ 컴퓨터 발달과 교육적 활용
◇ 발달과정
◇◇ 컴퓨터의 교육적 활용 유형
◇ 학습 관리 도구로서의 컴퓨터
◇ 학습 지원 도구로서의 컴퓨터
▪▪ 정리 ▪▪
4주차…………………………………………………………………………15p
◇ ICT 활용 교육의 개념
▪▪ ICT 교육▪▪
5주차…………………………………………………………………………17p
◇ 이러닝의 개념
◇ 이러닝의 정의
◇ 이러닝의 특성
◇ 이러닝의 특징
6주차…………………………………………………………………………21p
◇ 이러닝에 대한 쟁점
◇ 이러닝의 장점
◇ 이러닝의 제한점
◇ 이러닝의 장점
7주차…………………………………………………………………………24p
◇ 이러닝은 어떻게 이루어질까
◇ 성공적인 이러닝을 위한 구성 요소 - 사업적으로 컨텐츠 / 시스템 / 서비스
◇ 이러닝 주요 요소
◇ 스마트한 학습으로의 여행 개요
◇ IT발달과 미래 생활
◇◇ 정리 ◇◇
2주차…………………………………………………………………………03p
□ 디지털 시대 교수자의 역할
□ 디지털 시대 학습자의 역할
□ 디지털 학습을 위한 성공적인 학습전략 & 학습관리 전략
▪▪▪ 정리 ▪▪▪
3주차…………………………………………………………………………09p
◇◇ 컴퓨터 발달과 교육적 활용
◇ 발달과정
◇◇ 컴퓨터의 교육적 활용 유형
◇ 학습 관리 도구로서의 컴퓨터
◇ 학습 지원 도구로서의 컴퓨터
▪▪ 정리 ▪▪
4주차…………………………………………………………………………15p
◇ ICT 활용 교육의 개념
▪▪ ICT 교육▪▪
5주차…………………………………………………………………………17p
◇ 이러닝의 개념
◇ 이러닝의 정의
◇ 이러닝의 특성
◇ 이러닝의 특징
6주차…………………………………………………………………………21p
◇ 이러닝에 대한 쟁점
◇ 이러닝의 장점
◇ 이러닝의 제한점
◇ 이러닝의 장점
7주차…………………………………………………………………………24p
◇ 이러닝은 어떻게 이루어질까
◇ 성공적인 이러닝을 위한 구성 요소 - 사업적으로 컨텐츠 / 시스템 / 서비스
◇ 이러닝 주요 요소
본문내용
리, 학적 관리를 지원하는 시스템
- 인터넷의 보급과 함께 전자 게시판, 전자 칠판, 채팅방, 메모판, 메일 등 교수자와 학습자, 학습자 상호간의 상호작용을 지원하는 기능 포함
: 채팅, 쪽지, 게시판 등 비/실시간 모든 기능들이 LMS 에서 지원 해주는 것들이죠
학습 내용 제시 + 학습 관리 지원 + 상호작용 지원
학습관리시스템의 주요 모듈 (제공자 입장에서 봄)
- 수강생 등록
- 수강신청
- 학습 과정 제공
- 학습자 로그 추적
: 언제 학습을 시작해서 언제 마쳤는지 등 출석과 연관된 개념
- 테스트 기능
: 퀴즈, 형성평가 등
학습관리시스템의 주요 역할
- 학습과정 개발 및 제공
: 이러닝이라는 학습 내용을 제공해주기 위함
- 학습자 지원
: 학습자가 용이하고 편리하게 학습할 수 있도록 효율적인 학습창, 진도체크, 상호작용 제공
- 기관 업무와의 관계
: 이러닝을 관리하는 입장에서 중요한 부분으로, 그 수업에 있어 중도탈락을 했는지 안 했는지 등 체크할 수 있게 되어 성적 반영에 용이 (학사 행정)
학습관리시스템의 활용
- 학습자 : 이러닝 학습 환경에 접속해 강좌 콘텐츠 수강, 다양한 학습활동 참여
- 교수자 : 학습자와 상호작용
- 운영자 : 학사관리, 학습자 관리, 교수자 관리 등
2) 학습 콘텐츠 관리 시스템 (LCMS)
LCMS (Learning Contents Management System)
- 학습컨텐츠관리시스템으로, 학습컨텐츠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운영하기 위해 필요한 기능을 모두 모아놓은 시스템
- 개별화된 이러닝 컨텐츠를 학습객체의 형태로 만들어 이를 저장하고 조합하여 학습자에게 전달하는 일련의 시스템 (IDC, 2004)
: 이를테면 몇 주차, 몇 교시 등 개별화된 것을 객체 형태로 만들어, 해당 시기에 조합하고 쓸 수 있도록 관리하는 것이 그 예.
(LCMS 도움이 아니라면 우리는 1주차부터 16주차까지 뒤범벅되어 들어야 되겠죠)
: 컨텐츠들을 주제별로 모아서 추후 재활용, 공유, 효율적 제공에 도움을 주기 위함이다.
LCMS 예시
- 관리자 페이지에서 볼 수 있는 시스템이라, 일반 학생들이 보기는 어려운 환경이다.
학습컨텐츠관리시스템의 구성
- LMS
: 학습과정을 모니터링하고 그 결과에 따라 적절한 피드백을 함
- CMS
: Contents Managemant System
: 학습컨텐츠를 만들고 수정/보완하기 위한 부분
LMS 와 LCMS
LMS
LCMS
목적
이러닝의 학습 효율성과 수월성을 위한 수단
주요 활용 대상
학습자와 최종 학습 컨텐츠를 관리하고 학습자, 교수자, 과정 운영자를 위한 시스템
최종 학습 컨텐츠를 포함하는 모든 단계의 산출물 및 개발 과정을 관리하는 설계자, 개발자 등을 위한 시스템
차별점
컴피턴시 맵핑 (Competency mapping)을 지원하는 경우 일부 있음
LMS보다 훨씬 복잡한 내부 프로세스를 가짐
개개인의 학습자들의 모든 학습객체에 대한 접근을 분석해서 학습자들이 어떻게 학습을 하는지, 어떤 컨텐츠들이 많이 사용되고 어떤 것들이 사용되지 않는지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해줌.
3) 이러닝 인력
- 이러닝 사업 관련 업무를 행하는 자
- 이러닝 기획 및 컨설턴트, 내용 전문가, 교수 설계자, 컨텐츠 개발자, 시스템 개발자, 서비스 운영자를 포괄
- 이러닝 외의 업무를 수행하더라도 이러닝 업무 겸업 시 이러닝 종사자로 본다.
이러닝 기획자 및 컨설턴트
기업 또는 조직의 경영철학 및 이념에 따른 교육의 기획, 교육목적을 이룰 수 있는 교육과정 및 시스템 개발을 기획함
← 이러닝이 개발되어 운영되는 프로세스
① 분석 : 학습자/학교 특성 분석, 학습내용 전달 전략 분석 등 이러닝 기획자 및 컨설턴트가 빛을 발하는 단계
② 설계 : 분석 결과를 조합해서 가장 최적화된 교육 과정 설계
③ 개발 : 설계 결과대로 개발
④ 실행 : 샘플로 제작
⑤ 평가 : 제작 후 시험해보고 다시 피드백 가능
내용 전문가 (교수, 교사, 강사) 분석 단계
- 교육과목(과정)에 대한 전문가 (교수, 교사, 강사 등)
: 영어 과목의 내용 전문가 → 영어 교사
경영학 과목의 내용 전문가 → 경영학 교수
교수 설계자 설계 단계
- 교육 과목을 이러닝 과정으로 만드는 과정에서 사용자 편의를 고려하여 교육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설계하는 자로서 컴퓨터와 인간과의 교육공학적
인터페이스 분야 전문가.
- 이러닝에 있어 가장 중요한 인력 중 하나로, 내용전문가는 내용을 잘 알고는 있으나 어떤 식으로 전달해야 학습자가 잘 받아들일 수 있는가에 대한
전문가는 아니므로.
컨텐츠 개발자 개발 단계
- 이러닝을 위한 LMS, LCMS 또는 솔루션 및 그 부분의 개발을 위해 컴퓨터 프로그래밍에 참여한 기술 인력으로 H/W, S/W 및 네트워크 등 모든 분야의
컴퓨터 응용기술을 포함
- 이러닝 구조에 맞게 컨텐츠 (이러닝 교재 표함) 개발
서비스 운영자 평가 단계
- 이러닝 시스템의 운영과 유지보수에 참여하는 자로서, H/W, S/W 및 네트워크 등 이러닝의 모든 컴퓨터 환경을 운영, 유지 보수, 관리하는 자와
교육서비스 과정의 운영관리 요원을 모두 포함
- LMS, LCMS 등과 연계하고 업로딩 시키는 등
- 실제로 이러닝 서비스를 주차대로 제시하고 이러닝 서비스의 질을 관리함
Q. 성공적인 이러닝 구성요소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콘텐츠 개발
2) 이러닝 자원
3) 이러닝 솔루션
4) 행정적 지원
A. 성공적인 이러닝을 구성하는 주요 구성요소는 컨텐츠 기획 및 설계, 컨텐츠 개발, 이러닝 시스템 인프라, 이러닝 솔루션,
이러닝 과정의 운영, 행정적 지원 등이다.
Q. 학습컨텐츠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운영하기 위해 필요한 기능을 모아 놓은 시스템을 (학습컨텐츠관리시스템) 이라고 한다.
A. LCMS (Learning Contents Management System)
Q. 이러닝 인력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이러닝 기획자 및 컨설턴트
2) 교수
3) 교수설계자
4) 시스템 관리자
A. 이러닝과 관련된 이러닝 시스템을 관리하는 관리자가 아닌 포괄적 시스템 관리자는 이러닝 인력으로 볼 수 없다.
- 인터넷의 보급과 함께 전자 게시판, 전자 칠판, 채팅방, 메모판, 메일 등 교수자와 학습자, 학습자 상호간의 상호작용을 지원하는 기능 포함
: 채팅, 쪽지, 게시판 등 비/실시간 모든 기능들이 LMS 에서 지원 해주는 것들이죠
학습 내용 제시 + 학습 관리 지원 + 상호작용 지원
학습관리시스템의 주요 모듈 (제공자 입장에서 봄)
- 수강생 등록
- 수강신청
- 학습 과정 제공
- 학습자 로그 추적
: 언제 학습을 시작해서 언제 마쳤는지 등 출석과 연관된 개념
- 테스트 기능
: 퀴즈, 형성평가 등
학습관리시스템의 주요 역할
- 학습과정 개발 및 제공
: 이러닝이라는 학습 내용을 제공해주기 위함
- 학습자 지원
: 학습자가 용이하고 편리하게 학습할 수 있도록 효율적인 학습창, 진도체크, 상호작용 제공
- 기관 업무와의 관계
: 이러닝을 관리하는 입장에서 중요한 부분으로, 그 수업에 있어 중도탈락을 했는지 안 했는지 등 체크할 수 있게 되어 성적 반영에 용이 (학사 행정)
학습관리시스템의 활용
- 학습자 : 이러닝 학습 환경에 접속해 강좌 콘텐츠 수강, 다양한 학습활동 참여
- 교수자 : 학습자와 상호작용
- 운영자 : 학사관리, 학습자 관리, 교수자 관리 등
2) 학습 콘텐츠 관리 시스템 (LCMS)
LCMS (Learning Contents Management System)
- 학습컨텐츠관리시스템으로, 학습컨텐츠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운영하기 위해 필요한 기능을 모두 모아놓은 시스템
- 개별화된 이러닝 컨텐츠를 학습객체의 형태로 만들어 이를 저장하고 조합하여 학습자에게 전달하는 일련의 시스템 (IDC, 2004)
: 이를테면 몇 주차, 몇 교시 등 개별화된 것을 객체 형태로 만들어, 해당 시기에 조합하고 쓸 수 있도록 관리하는 것이 그 예.
(LCMS 도움이 아니라면 우리는 1주차부터 16주차까지 뒤범벅되어 들어야 되겠죠)
: 컨텐츠들을 주제별로 모아서 추후 재활용, 공유, 효율적 제공에 도움을 주기 위함이다.
LCMS 예시
- 관리자 페이지에서 볼 수 있는 시스템이라, 일반 학생들이 보기는 어려운 환경이다.
학습컨텐츠관리시스템의 구성
- LMS
: 학습과정을 모니터링하고 그 결과에 따라 적절한 피드백을 함
- CMS
: Contents Managemant System
: 학습컨텐츠를 만들고 수정/보완하기 위한 부분
LMS 와 LCMS
LMS
LCMS
목적
이러닝의 학습 효율성과 수월성을 위한 수단
주요 활용 대상
학습자와 최종 학습 컨텐츠를 관리하고 학습자, 교수자, 과정 운영자를 위한 시스템
최종 학습 컨텐츠를 포함하는 모든 단계의 산출물 및 개발 과정을 관리하는 설계자, 개발자 등을 위한 시스템
차별점
컴피턴시 맵핑 (Competency mapping)을 지원하는 경우 일부 있음
LMS보다 훨씬 복잡한 내부 프로세스를 가짐
개개인의 학습자들의 모든 학습객체에 대한 접근을 분석해서 학습자들이 어떻게 학습을 하는지, 어떤 컨텐츠들이 많이 사용되고 어떤 것들이 사용되지 않는지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해줌.
3) 이러닝 인력
- 이러닝 사업 관련 업무를 행하는 자
- 이러닝 기획 및 컨설턴트, 내용 전문가, 교수 설계자, 컨텐츠 개발자, 시스템 개발자, 서비스 운영자를 포괄
- 이러닝 외의 업무를 수행하더라도 이러닝 업무 겸업 시 이러닝 종사자로 본다.
이러닝 기획자 및 컨설턴트
기업 또는 조직의 경영철학 및 이념에 따른 교육의 기획, 교육목적을 이룰 수 있는 교육과정 및 시스템 개발을 기획함
← 이러닝이 개발되어 운영되는 프로세스
① 분석 : 학습자/학교 특성 분석, 학습내용 전달 전략 분석 등 이러닝 기획자 및 컨설턴트가 빛을 발하는 단계
② 설계 : 분석 결과를 조합해서 가장 최적화된 교육 과정 설계
③ 개발 : 설계 결과대로 개발
④ 실행 : 샘플로 제작
⑤ 평가 : 제작 후 시험해보고 다시 피드백 가능
내용 전문가 (교수, 교사, 강사) 분석 단계
- 교육과목(과정)에 대한 전문가 (교수, 교사, 강사 등)
: 영어 과목의 내용 전문가 → 영어 교사
경영학 과목의 내용 전문가 → 경영학 교수
교수 설계자 설계 단계
- 교육 과목을 이러닝 과정으로 만드는 과정에서 사용자 편의를 고려하여 교육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설계하는 자로서 컴퓨터와 인간과의 교육공학적
인터페이스 분야 전문가.
- 이러닝에 있어 가장 중요한 인력 중 하나로, 내용전문가는 내용을 잘 알고는 있으나 어떤 식으로 전달해야 학습자가 잘 받아들일 수 있는가에 대한
전문가는 아니므로.
컨텐츠 개발자 개발 단계
- 이러닝을 위한 LMS, LCMS 또는 솔루션 및 그 부분의 개발을 위해 컴퓨터 프로그래밍에 참여한 기술 인력으로 H/W, S/W 및 네트워크 등 모든 분야의
컴퓨터 응용기술을 포함
- 이러닝 구조에 맞게 컨텐츠 (이러닝 교재 표함) 개발
서비스 운영자 평가 단계
- 이러닝 시스템의 운영과 유지보수에 참여하는 자로서, H/W, S/W 및 네트워크 등 이러닝의 모든 컴퓨터 환경을 운영, 유지 보수, 관리하는 자와
교육서비스 과정의 운영관리 요원을 모두 포함
- LMS, LCMS 등과 연계하고 업로딩 시키는 등
- 실제로 이러닝 서비스를 주차대로 제시하고 이러닝 서비스의 질을 관리함
Q. 성공적인 이러닝 구성요소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콘텐츠 개발
2) 이러닝 자원
3) 이러닝 솔루션
4) 행정적 지원
A. 성공적인 이러닝을 구성하는 주요 구성요소는 컨텐츠 기획 및 설계, 컨텐츠 개발, 이러닝 시스템 인프라, 이러닝 솔루션,
이러닝 과정의 운영, 행정적 지원 등이다.
Q. 학습컨텐츠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운영하기 위해 필요한 기능을 모아 놓은 시스템을
A. LCMS (Learning Contents Management System)
Q. 이러닝 인력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이러닝 기획자 및 컨설턴트
2) 교수
3) 교수설계자
4) 시스템 관리자
A. 이러닝과 관련된 이러닝 시스템을 관리하는 관리자가 아닌 포괄적 시스템 관리자는 이러닝 인력으로 볼 수 없다.
추천자료
이동통신단말기범죄의 실태분석과 대응방안
유비쿼터스의 정의 및 발전방향
MPLS VPN 프로젝트
유비쿼터스 정보기술을 활용한 전자장부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전자결제]전자결제(전자결제제도)의 정의와 종류, 전자결제(전자결제제도)의 현황, 전자결제...
[제한적본인확인제]제한적 본인확인제 무엇이 문제인가? -제한적 본인 확인제 논란의 배경과 ...
소셜커머스 정의및 소셜커머스 특성및 미국과 한국의 소셜커머스 비교분석과 국내 소셜커머스...
웹2.0 시대와 가가채팅의 공존
[사회복지조사론] 대중매체와 청소년 성비행의 관계
[소셜 미디어 (Social Media)] 소셜미디어의 정의, 소셜미디어의 현황, 소셜미디어 영향, 소...
인터넷상의 개인정보보호(個人情報保護)에 관한 논의(본인확신수단의 필요성 및 인터넷 본인...
[정보사회와디지털문화] 다양한 정보기기의 발전에 따른 개인자유의 침해 사례를 살펴보고 개...
[가족상담및치료] 우리가족의 문제를 체계론적 시각에서 분석해보고 문제해결을 위한 과정을 ...
청소년 관련 문제 중 가장 심각하다고 생각되는 주제를 정하여 개념 문제점 현황과 실태 개입...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