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신학(神學, theology)이란 말은 벧전 3:15에 비추어 볼 때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다고 생각하는가? 맞는 것 다 고르라 ( 전부다 ①②③④ ). 2점
① 신앙의 빛(관점)에서 하나님(신)에 대해 사유(생각)하는 학문 ②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인간 자신의 실존적 해명 ③ 하나님 존재 자체에 대한 변증 ④ 신앙인 자신의 신앙/희망에 대한 답변
1-1. 위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3문장이상으로 설명하시오. (3점).
신학이란 하나님 존재 자체에 대한 변증이다 하지만 나는 조금 다르게 표현하고싶다, 신학은 하나님의 계시를 우리의 이성을 빌려 인지할수 있도록 인식할 수 있는 방법과 그 하나님의 섭리를 발견해 내는 작업이다, 고로 모든 학문을 포함하며 모든 학문 또한 신학이다.
2. 테드 피터스(Ted Peters)는 자신의 책, 『하나님-세계의 미래』(God-the World\'s Future, 2000)에서 자신만의 독특한 용어를 사용한다. 어떤 용어들이 있는가? 해당되는 명제를 다 고르라 ( ③ ⑦ ). (2점).
① 복음의 선취(先取, prolepsis) ② 선취적 유신론 ③ 계속적인 창조 ④ 선취적 인간 ⑤ 그리스도 사역의 선현(先現, precapitulation) ⑥ 선취적 연합 ⑦ 선취적 윤리 혹은 하나님 나라의 선취적 도래 등.
2-1. 위에서 하나의 항을 골랐다면, 그것에 대해 “선취(先取, prolepsis)”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5문장 이상으로 기술하시오.(5점)
선취적 윤리란 예수의 복음적 윤리이다, 피터스는 이를 지복의 삶이라 부르며, 지복이라는 말은 미래의 하나님 나라가 미리 지금 여기에 신비한 방식으로 현존함을 보여주며, 이러한 지복의 삶에 합당한 윤리적 사유는 선취적 윤리의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피터스는 주장하고 있다, 그에게 있어서 선취적 윤린ㄴ 율법의 폭정에서 자유를 얻고 성령의 내주함을 입은 그리스도인들은 사랑의 능력으로 공동의 창조를 추구하는 윤리를 발전시킬 수 있다.
3. Dr. John Mark Hicks(『주님! 여전히 당신을 신뢰해야 합니까?』 제2장)과 Peters의 책에 따르면(p. 56-75) 우리 현대 그리스도인들은 세 가지 시대적 정황에서 살아간다고 말한다. ① 현대(근대)이전(Pre-modern) ② 현대(근대)(Modern) ③ 후기 현대(Post-modern)가 그것인데 이를 동시대적으로 함께 경험하며 살아간다는 것이다.
3-1. 그렇다면 이런 시대의 구분에도 불구하고 Hicks에 따르면 기도란 무엇인가? 3문장 이상으로 답하시오. (3점).
기도는 근본적으로 신앙인이 인격적으로 하나님과의 관계 속으로 들어가는 것이다, 기도란 당신의 백성을 찾아 나서시는 하나님과 그리고 그 하나님을 찾으려는 백성간의 친교이며 그것은 하나님이 당신의 백성과 관계, 그들 또한 그분과 관계할 수 있는 중요한 기회이다. 기도란 우리의 삶 속에서 하나님의 전적인 개입을 당연하게 받아들인다.
4. 나(정남수 교수)는 앞의 3항을 수학/기하학으로 이해하였다. 다음을 연결하라.
① 현대(근대)이전 -> (가) 3(three) -> ㉯ 【】(뒤집힌 피라밋)
② 현대(근대) -> (다) 1(one) -> ㉰ △ 혹은 □
③ 현대(근대) 이후 -> (나) 3+1(quarte/four) -> ㉮ ○
4-1. 여러분의 생각에 정 교수(Dr. Chung)는 이런 도식(그림)을 가지고 무엇을 설명하려고 하는가? 특히 “현대 이후 시대와 기독교 신앙과의 관계”에서 5 문장 이상으로 기술하시오. 5점.
포스트 모던이라고도 불리는 현대이후는 정남수 교수님의 강의에 의하면 모던의 그 너무 딱딱한 체제에서 벗어나기 위한 운동이라고 한다, 삼각형은 deism을 뜻한다. 그렇다면 종교 개혁과 포스트 모던 시대에 들리는 목소리들은 기독교에게 제발 잘좀 하라고 세상이 탄원하고 있는 목소리들인 것이다, 올바른 방향을 찾기 위한 것이다, 그렇기에, 현대 이후 시대에는 새로운 신앙, 신학이 필요하며 또한 그것이 발견된다면 지금만큼 전도하기 좋을 때 또한 없을 것이다. 우리는 그러한 원리, 선취적 의식을 발견하기 위해 진리의 길을 계속해서 추구해야 할 것이다.
5. T. Peters는 오늘날 신학적 사유(思惟, 생각)를 함에 있어서 후기-현대주의를 감안해야 한다고 말한다. 그렇다면 그의 여성 신학에 대한 그의 입장은 무엇인가? 3문장으로. 3점.
피터는 성비 용어의 선택이 참으로 예수 그리스도의 인격과 사역의 정체성을 더 잘 드러내지는 못한다고 응수한다, 오히려 예수의 인격성을 성에 맞게 어떻게 해석하고 적용하는 가가 문제일 것이라고 주장한다. 그렇게 될 때 성의 차이를 극복하고 진정한 인간성을 발견하는 그리스도인의 삶의 역동성을 가져 올 수 있다고 말한다.
6. 현대 신학/종교학/철학에서 상징(symbol), 신화(myths), 혹은 제의(祭儀, cults)등을 다음 학자들은 어떻게 해석(의미)하였는가? 서로 연결하라. 각 2점.
① R. 오토(Otto) 상관관계방법 ㉮ 궁극적(Ultimate) 관심/비존재의 위협
② P. 틸리히 누미노제(Numinouse) ㉰ 거룩하고 신비하고 두려운 경험
③ R. 불트만 실존적(existentialist)해석 ㉯ 비신화화(demythologizing)
④ M. 엘리아데 『우주와 역사』 ㉱ 상징, 신화, 제의에 의미 발견
6-1. 여러분의 생각에 상징은 여러분의 신앙에 어떤 역할을 하는가? 3문장으로. 3점.
상징, 사람은 모를
① 신앙의 빛(관점)에서 하나님(신)에 대해 사유(생각)하는 학문 ②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인간 자신의 실존적 해명 ③ 하나님 존재 자체에 대한 변증 ④ 신앙인 자신의 신앙/희망에 대한 답변
1-1. 위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3문장이상으로 설명하시오. (3점).
신학이란 하나님 존재 자체에 대한 변증이다 하지만 나는 조금 다르게 표현하고싶다, 신학은 하나님의 계시를 우리의 이성을 빌려 인지할수 있도록 인식할 수 있는 방법과 그 하나님의 섭리를 발견해 내는 작업이다, 고로 모든 학문을 포함하며 모든 학문 또한 신학이다.
2. 테드 피터스(Ted Peters)는 자신의 책, 『하나님-세계의 미래』(God-the World\'s Future, 2000)에서 자신만의 독특한 용어를 사용한다. 어떤 용어들이 있는가? 해당되는 명제를 다 고르라 ( ③ ⑦ ). (2점).
① 복음의 선취(先取, prolepsis) ② 선취적 유신론 ③ 계속적인 창조 ④ 선취적 인간 ⑤ 그리스도 사역의 선현(先現, precapitulation) ⑥ 선취적 연합 ⑦ 선취적 윤리 혹은 하나님 나라의 선취적 도래 등.
2-1. 위에서 하나의 항을 골랐다면, 그것에 대해 “선취(先取, prolepsis)”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5문장 이상으로 기술하시오.(5점)
선취적 윤리란 예수의 복음적 윤리이다, 피터스는 이를 지복의 삶이라 부르며, 지복이라는 말은 미래의 하나님 나라가 미리 지금 여기에 신비한 방식으로 현존함을 보여주며, 이러한 지복의 삶에 합당한 윤리적 사유는 선취적 윤리의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피터스는 주장하고 있다, 그에게 있어서 선취적 윤린ㄴ 율법의 폭정에서 자유를 얻고 성령의 내주함을 입은 그리스도인들은 사랑의 능력으로 공동의 창조를 추구하는 윤리를 발전시킬 수 있다.
3. Dr. John Mark Hicks(『주님! 여전히 당신을 신뢰해야 합니까?』 제2장)과 Peters의 책에 따르면(p. 56-75) 우리 현대 그리스도인들은 세 가지 시대적 정황에서 살아간다고 말한다. ① 현대(근대)이전(Pre-modern) ② 현대(근대)(Modern) ③ 후기 현대(Post-modern)가 그것인데 이를 동시대적으로 함께 경험하며 살아간다는 것이다.
3-1. 그렇다면 이런 시대의 구분에도 불구하고 Hicks에 따르면 기도란 무엇인가? 3문장 이상으로 답하시오. (3점).
기도는 근본적으로 신앙인이 인격적으로 하나님과의 관계 속으로 들어가는 것이다, 기도란 당신의 백성을 찾아 나서시는 하나님과 그리고 그 하나님을 찾으려는 백성간의 친교이며 그것은 하나님이 당신의 백성과 관계, 그들 또한 그분과 관계할 수 있는 중요한 기회이다. 기도란 우리의 삶 속에서 하나님의 전적인 개입을 당연하게 받아들인다.
4. 나(정남수 교수)는 앞의 3항을 수학/기하학으로 이해하였다. 다음을 연결하라.
① 현대(근대)이전 -> (가) 3(three) -> ㉯ 【】(뒤집힌 피라밋)
② 현대(근대) -> (다) 1(one) -> ㉰ △ 혹은 □
③ 현대(근대) 이후 -> (나) 3+1(quarte/four) -> ㉮ ○
4-1. 여러분의 생각에 정 교수(Dr. Chung)는 이런 도식(그림)을 가지고 무엇을 설명하려고 하는가? 특히 “현대 이후 시대와 기독교 신앙과의 관계”에서 5 문장 이상으로 기술하시오. 5점.
포스트 모던이라고도 불리는 현대이후는 정남수 교수님의 강의에 의하면 모던의 그 너무 딱딱한 체제에서 벗어나기 위한 운동이라고 한다, 삼각형은 deism을 뜻한다. 그렇다면 종교 개혁과 포스트 모던 시대에 들리는 목소리들은 기독교에게 제발 잘좀 하라고 세상이 탄원하고 있는 목소리들인 것이다, 올바른 방향을 찾기 위한 것이다, 그렇기에, 현대 이후 시대에는 새로운 신앙, 신학이 필요하며 또한 그것이 발견된다면 지금만큼 전도하기 좋을 때 또한 없을 것이다. 우리는 그러한 원리, 선취적 의식을 발견하기 위해 진리의 길을 계속해서 추구해야 할 것이다.
5. T. Peters는 오늘날 신학적 사유(思惟, 생각)를 함에 있어서 후기-현대주의를 감안해야 한다고 말한다. 그렇다면 그의 여성 신학에 대한 그의 입장은 무엇인가? 3문장으로. 3점.
피터는 성비 용어의 선택이 참으로 예수 그리스도의 인격과 사역의 정체성을 더 잘 드러내지는 못한다고 응수한다, 오히려 예수의 인격성을 성에 맞게 어떻게 해석하고 적용하는 가가 문제일 것이라고 주장한다. 그렇게 될 때 성의 차이를 극복하고 진정한 인간성을 발견하는 그리스도인의 삶의 역동성을 가져 올 수 있다고 말한다.
6. 현대 신학/종교학/철학에서 상징(symbol), 신화(myths), 혹은 제의(祭儀, cults)등을 다음 학자들은 어떻게 해석(의미)하였는가? 서로 연결하라. 각 2점.
① R. 오토(Otto) 상관관계방법 ㉮ 궁극적(Ultimate) 관심/비존재의 위협
② P. 틸리히 누미노제(Numinouse) ㉰ 거룩하고 신비하고 두려운 경험
③ R. 불트만 실존적(existentialist)해석 ㉯ 비신화화(demythologizing)
④ M. 엘리아데 『우주와 역사』 ㉱ 상징, 신화, 제의에 의미 발견
6-1. 여러분의 생각에 상징은 여러분의 신앙에 어떤 역할을 하는가? 3문장으로. 3점.
상징, 사람은 모를
추천자료
요한계시록신학
종말론에 대한 신학적ㆍ성서적 이해
몰몬교의 시작과 조직 및 사업 경전과 교리
오순절 신학과 개혁주의 신학 비교연구
신학 :술라이마허와 제임스 콘 비교연구
남미 해방신학자 구티에레즈
예수그리스도(예수님)의 칭호, 예수그리스도(예수님)의 몸, 예수그리스도(예수님)의 인성, 예...
그리스도(예수그리스도, 예수님)의 인격과 속죄사역, 그리스도(예수그리스도, 예수님) 자각, ...
그리스도(예수그리스도, 예수)의 신성과 부활, 그리스도(예수그리스도, 예수)의 속죄와 종말...
예수그리스도(그리스도)의 예배와 축복, 예수그리스도(그리스도)의 신적사역, 예수그리스도(...
예수그리스도(예수, 그리스도)의 주권과 속죄, 예수그리스도(예수, 그리스도)의 신성과 중재...
교의신학이란 무엇인가
[신약신학] <간추린 신약신학> 요약 _ 토마스 R. 슈라이너 저
소개글